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33 까맣고 작은 돼지, 넘치는 꿩 19세기의 조선의 돼지를 묘사한 외국인의 기행문에 많이 나오는 이야기다. 조선의 돼지는 까맣고 작은데성장이 느리고 처음 봤을 때 테리어 만한 크기에 놀랐다는 증언도 있다. 거대한 비육의 양돈만 보아온 우리로서는 불과 백년 전까지 우리 농촌 마을에 이런 돼지가 대부분이었다는 것은 상상하기도 힘들다. 이것이 불과 100년전 조선 전체에 있던 돼지의 모습이다. 꿩에 대해서는-.들에 꿩이 너무 많아 산길을 갈 때 계속 꿩을 쫒아 내며 가야 할 지경이었다고 한다. 왜 19세기 말까지도 한국에서 꿩이 소비가 닭 고기 소비를 압도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기록이다. 들판에 가면 꿩이 지천이니 닭을 힘들게 키울 필요가 없는 것이다. 실제로 부북일기 등 일기를 보면 꿩사냥을 한 번 나갔다 하면 기본이 백마리씩 잡아와서 주.. 2024. 9. 30. 20세기가 만든 한국사의 클리셰 앞에서 이야기 한외침--격퇴--민족문화창달의 클리셰문화를 누려도 꼭 민족고유의 것이어야 더 평가받고 쳐들어오는 적을 물리치기 위해 얼마나 조상들이 고생을 했는가에 집중하는 역사기술은사실 그 전통을 따져보면 20세기 이전으로 소급되기 어렵다. 한국사의 기술은 20세기 이전에는 이런 류의 주제를 무한반복하며 쓰여지는 역사가 아니었다. 20세기 식민지시대를 거치며 만들어진 것이 바로 이러한 클리셰의 반복에 의한 역사로, 이 역사의 포맷을 21세기 지금까지도 우리는 계속 이어받아 쓰고 있다. 이러한 역사관이 과연 한국사를 제대로 그리고 있는 것인지한 번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여러분들은 외침을 물리치고 민족문화 창달을 위해 살아오고 있는가? 그렇지 않고 더 많은 인생의 뭔가가 있다면, 우리 조상들도 그렇게 .. 2024. 9. 30. 무한 반복재생하는 한국사의 클리셰 요즘 한국사 교과서로 난리다. 필자는 다른 측면에서 한국사 교과서에 대한 불만이 있다. 한국사는 필자가 보기엔 이렇다. (외침)--(격퇴)--(민족문화의 창달)--(외침)--(격퇴)--(민족문화의 창달)--(외침)--(격퇴)--(민족문화의 창달)이후 무한 반복. 고조선부터 시작해서 2024년 현재까지 한국사는 이 클리셰의 무한 반복이다. 외침, 격퇴, 민족문화의 창달 외에는 한국사는 할 말이 없는 것인가? 그렇다면 우리 조상들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외침을 격퇴하고 민족문화를 창달하기 위해 오늘날을 살아가고 있다는 것인가? 필자의 말이 의심스럽다면 우리 교과서에서 저 위의 세 가지 빼고나면 생각나는것이 뭐가 있는지 한 번 되짚어 보자. 필자 생각에는 한국사라는 건 Story of Korea가 되어.. 2024. 9. 30. 일본인류학회지: 한국의 관점에서 본 "삼중구조 모델" https://www.jstage.jst.go.jp/article/asj/advpub/0/advpub_240806/_article/-char/ja/ 韓国の観点から見た「三重構造モデル」© 2024 一般社団法人日本人類学会www.jstage.jst.go.jp 일전에 일본에서 화제가 되었던 일본인 삼중구조모델에 대한 우리 쪽 관점에 대한 이야기가 논문화되었다. 야요이인 기원론에 대한 필자를 포함한 한국쪽 연구의 첫발이 되겠다. #일본인의기원 #삼중구조론 2024. 9. 29. 신간 예고: 한국 법의인류학 연구 성과 출판의 이정표를 자부하며 필자가 법의인류학자인가 라고 누군가 묻는다면 솔직히 그렇다고 자신있게 대답은 못하겟는데, 그 이유는 필자가 하는 일이 이 분야에 한 발은 걸쳐 놓았지만 또 그렇다고 해서 법의인류학자로서의 일에만 전념한 사람은 아니기 때문이다. 국내에는 필자보다 더 법의인류학자로 자부할 만한 분이 많다. 그럼에도 필자와 서울대 법의학교실 이숭덕 교수가 함께 편집하고 경희대 홍종하, 서울대 조소희 연구교수들이 편집을 조력한 이 책을 자부하며 내놓는 이유는, 필자가 지난 20년간 몸담아 활동해 온 서울대 법의학연구소가그야말로 불모지나 다름 없는 상황에서 딛고 일어나 이제는 국제적으로 어깨를 나란히 하여 경쟁할 수 있는 수준까지 도약해 온그 성과를 일부나마 이 책에 담아 낼 수 있어서이다. 이 책에 기고하신 분들은 저마다 자기.. 2024. 9. 29. 과학적 사고의 첫발은 관찰 과학이 태동하는 시기 대개는 관찰의 수준이 올라가는 데서 과학적 사유가 시작된다. 과학혁명의 첫발이 해부학과 천문학에서 시작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인체에 대한 관찰과 천체에 대한 관찰 기록 이것이 곧 근대과학을 만드는 첫발이라는 말이다. 따라서 어떤 사회의 과학적 사유의 맹아를 보고자 한다면 그 사회의 관찰 수준을 보면 된다. 예를 들어 조선시대의 과학적 사유의 수준을 보려면 최한기가 지동설을 알았네 아니네 이런 것은 과학적 사유와 아무 상관도 없다. 세계가 둥글다는 것을 알았네 아니네 이런 것은 과학과는 아무 상관도 없다는 말이다. 이보다는 과학적 사유의 첫발이라 할 관찰과 기록의 풍조가 식자들 사이에 일어나는가 이것이 근대과학의 태동에 있어 훨씬 중요하다. 관찰기록 하나 없이 하늘이 아니라 지구가 .. 2024. 9. 29.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33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