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왕조실록은 왜 활자인쇄인가
초야잠필
2025. 2. 11. 09:53
반응형
필사한 예외도 있지만
실록은 활자본으로 안다.
왜 활자인가.
달랑 다섯 부 아닌가?
읽기 쉽게 활자를 썼다고 할지 모르지만
조선시대 외교문서 등 정자체로 써내려간 필사본을 보면
충분히 아름답다.
충분히 가독률도 좋다.
그렇다면 다섯 부를 활자인쇄한다는 것은
무슨 메리트가 있었을까?
경제적 이득이 있었을 것 같지도 않다.
이런 경우 필자가 보기엔,
짐작을 해보자면
교정 때문이 아니었을까.
필사를 다섯 부를 하면
교정을 다섯 번을 해야 한다.
필사를 해놨으니 빨간색으로 표시를 할 수도 없다.
활자를 쓰면 한 부 먼저 인쇄하여
그것을 계속 교정하고 OK하면
다섯부 쭉 밀면 된다.
이때는 제대로 먹을 안먹은 부분이 있는지만 보면 되는것 아니겠는가?
필자가 보기에는
몇 부를 찍었는가, 이것이 정말 중요한 것 같다.
활자본을 달랑 다섯 부 만들자고 했다면
경제적 이유 외에 다른 이유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