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발채2

은행나무 아래, 온주와 대식오라버니(1) 여송은 온양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온양, 마을 곳곳마다 가을 추수로 한창입니다. 누런 금빛으로 일렁이던 논들은 조금씩 머리를 깎기 시작했습니다. 어느 집은 이미 가을 걷이가 끝났고, 어느 집은 아직도 벼를 베느라 일꾼들 허리가 손에든 낫처럼 피질 못합니다. 부짓깽이도 덤벼댄다는 그 바쁜 가을, 이 마을 최고 큰집이 최참판댁도 당연 예외는 아닙니다. 최참판댁 마당에서는 쉴 새 없이 일꾼들은 수확한 벼를 타작하고, 한 켠에서는 섬에 나락을 넣고, 아낙들은 삼삼오오 모여 디딜방아를 찧습니다. 경직도(耕織圖) 일부-타작(打作)하는 풍정 총 10폭 중 타작하는 풍정을 담은 폭이다. 장정 두명이 넓직한 나무 혹은 돌 같아 보이는 곳에 볏단을 내리 쳐서 곡식의 낟알을 거두고 있다. 곡식을 내리치는 이 넓직한 것을 '개.. 2019. 9. 20.
줄줄이 유물 이야기-염소할아버지와 지게 박물관 2전시실인 '한국인의 생업실'을 보고있자면 정겹다. 매우 옛날 사람(?)이 아니기에 모두 보던 물건은 아니지만, 어린시절 동네 할머니·할아버지들이 사용하던걸 봤기에 낯설지 않다. 그 중 '지게'가 좋다. 지게의 길이며, 크기이며, 등태(등이 닿는 부분으로 짚으로 퉁퉁하게 엮어 만든다)의 위치이며, 어깨끈의 길이며, 하다못해 지겟작대기의 길이이며 어느 하나 지게를 메는 이를 고려하지 않은 부분이 없다. 모든 물건이 그렇고, 더욱 일상에서 먹고사는 데 필요한 물건이기에 사용하는 이가 불편하지 않게 참 인체공학적(?)으로 만들었다. 박물관 2전시실에 전시어 있는 '바지게' 20세기 143.5×61.5 소나무·싸릿대·짚 '바지게'는 많은 양의 짐을 싣기 위해 싸리나 대오리로 둥넓적하게 엮어 만든 바소거리.. 2019. 8.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