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연산2

신주神主용 밤나무와 장성 수연산 아들 태어나 밤나무 심어 신주 깎을 정도로 자라면 죽고, 딸 태어나 오동나무 심어 가구 짤 정도 자라면 시집간다는 옛말이 있다. 더구나 신주용 밤나무는 닭울음소리를 듣지 않은 것으로 한단 말이 있었다. 그만큼 민가와 먼 곳이어야 한다는 말이다. 장성군 오늘날 수연산은 왕실에서 쓸 신주용 밤나무를 기르는 봉산이었다. 당시에는 장성군 삼계면, 삼서면, 동화면이 영광 땅이었기 때문에 영광이라 한 것이다. 봉상시 관원이 도제조, 제조의 뜻으로 보고한 것을 우승지 김화진(金華鎭, 1728~1803)이 아뢰기를 “봉상시에서는 나라에서 쓸 신주神主 재목인 밤나무 봉산封山을 호남 영광군靈光郡 영축산嶺鷲山에 새로이 정하겠다는 뜻으로 초기草記를 올려 윤허를 받든 이후 낭청郎廳을 보내야 적간摘奸하였더니 산세가 깊숙하고 깨끗.. 2020. 10. 7.
김조(金照 1774~1853), 〈수연사에 들어가며 [入隨緣寺]> 수연사에 들어가며 [入隨緣寺] [朝鮮] 김조(金照 1774~1853) 인적도 없는 산에 앉으니 홀연 나도 없는 듯 정신이 피곤해 책도 내던지고 은거를 꿈꾼다 해질녘 돌아가매 매미 울지 않아 적막하고 하늘 높이 떠가는 기러기는 홀로 날아간다 인적 없는 창에 해 비치니 불로장생 비결이요 무너진 담에 꽃 피었으니 틀림없는 수묵화네 지금 돌아갈 동계마을 동쪽 몇 리면 되는데 그대 좋은 시상 떠올랐다고 오라고 손짓하네 空山坐我忽如無, 神倦抛書夢五湖. 落日歸來蟬寂寞, 長天浮去鴈高孤. 虛窓日暎金丹訣, 破壁花生水墨圖. 此去東溪東數里, 君詩有得手相呼. 수연사(隨緣寺)는 전라남도 장성군 영축산(靈鷲山)에 있던 유서 깊은 사찰이며 수연사가 있으므로 그 산을 수연산(隨緣山)으로 일컫기도 한다. 水蓮寺(수련사), 秀蓮寺(수련사.. 2018. 1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