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학9

변신은 숙명, 내가 화학을 심각히 고민한 이유 앞선 많은 글에서 나는 작금 학계 풍토를 성토하며 변해야 함을 역설했거니와 그런 나는 도대체 어떤 점에서 새로운 것들을 던졌냐 자문하면 결국 공중에다 대놓고 침을 뱉는 행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고 고백할 수밖에 없다. 내가 한창 그 돌파구로써 도교를 착목하면서 이른바 신라 화랑도란 것도 알고 보면 간단해서 위진남북조시대 중국대륙을 강타한 도교 일파 중 신천사도 오두미도의 신라식 버전이며 나아가 비슷한 맥락에서 도교학은 실상 90프로가 약물학, 특히 우리가 한의학이라 요새는 통칭하는 그 약학임을 주창하며 무엇보다 신라 적석목곽분을 수놓는 그 무수한 금은옥金銀玉 역시 광물로서 약물이기도 하다는 점을 소리 높여 외치고 또 한편으로는 그 신학의 발현이라는 측면에서 이른바 진흥왕순수비는 봉선대전의 기념물이요.. 2023. 7. 11.
역사, 이젠 무한재생 반복 그만 둘 때다 아무리 좋은 영화 드라마도 세 번 보면 지겹다. 한데도 지난 백년을 똑같은 소리로 무한재생반복하는 데가 있다. 청중이 달라진다는 이유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같은 레퍼토리로 무한반복재생 키를 눌러놓고는 우리를 따르라 한다. 너흰 여전히 무지몽매하니 선각자인 우리의 가르침에 따라야 한다는 주문은 단 한 번도 잊은 적이 없어 언제나 청중을 군림한다. 역사학이다. 역사는 좋아하나 아무도 역사학도를 좋아하지 않는다. 지들은 사명이라 외치며 지들은 이것이야말로 진리며 지들이야말로 그것을 독점한다는데 아무도 그들을 반기지 않는다. 지들만의 철옹성에 갇혀 그 밖을 향해서는 사이비라 공격하고 유사라 비난하며 돌려앉아서는 지들끼리 낄낄거린다. 전라도천년사가 이덕일의 문제인가? 이덕일만 꺼꾸러뜨리면 될 거 같은가? 나는 청.. 2023. 6. 22.
얻어터져야 하는 역사 501년인가 작성 문서로 간주되는 포항 중성리비. 503년 문서로 인정하는 영일 냉수리비 524년 문서인가 하는 울진봉평비.. 이들 문서에 드러난 신라는 고도의 법률국가다 지나치게 문서행정 법률행정이 세분화했다. 이 그림을 보지 못한 채 당시 신라가 부체제였네 중앙집권권력이 성립하지 않았네 하는 헛소리가 횡행한다. 이런 헛소리 남발하는 자들이 언필칭 그 분야 대가인양 활보하는 무대가 신라 상중고기다. 그들에게 필요한건 몽둥이 찜질이다. 조정 대신 서너놈이 화백이라는 이름으로 한여름 원두막에서 가운데다가 왕은 시동처럼 앉혀놓히고는 모여서는 수박 짤라 먹고 아이스커피 한 잔 때리며 이 놈 죽일까 저 놈 죽일까 하고는 국정을 운영했다는 설레발이 난무하는 무대가 신라사다. 전라도천년사? 있지도 아니한 마한이라는.. 2023. 6. 3.
굳이 역사 관련 이야기를 블로그에 적는 이유 최근에 필자가 여러가지 역사 이야기를 블로그에 적는 이유는 심심풀이 삼아 적는 것은 물론 아니며 앞으로의 연구작업과 관련이 있다. 향후 작업에는 문헌 사학의 성과를 크게 반영하고자 하는데 외연을 확인하고자 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간혹 이야기가 빗나가 너무 멀리 가기도 하는데 양해가 있기를. 다만 나중에 시간이 흐르면 알게 되겠지만, 지금까지 해오던 작업과 많이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며 뼈대에 살을 붙이는 작업이 될 것이다. 결국 학문의 최종 목표는 스토리텔링이며 (올해 노벨의학상이 왜 네안데르탈인에게 주어졌는지를 생각해 보라. 고대 DNA연구자는 이번 수상자 외에도 많았다) 스토리텔링에는 역사학 만한 것이 없다. 필자도 이제 나이 50대 중반을 넘어서 회갑을 바라보기 시작했는데, 연구전체를 꿰뚫는 스토리.. 2022. 12. 27.
족보가 조작됐다를 증명하는 것이 역사학은 아니다 역사학은 조작됐다 아니다를 증명하는 학문이 아니다. 이건 개돼지도 3년만 교육하면 하는 일이다. 한국 역사학은 팩트를 史實로 호도했으며, 죽을 때까지 이 팩트를 밝히는 것이 역사학의 본령으로 알았다. 족보에 대한 글을 읽어보면 요약하자면 족보는 조작이 너무나 많아 믿을 수 없다는 것이었다. 역사학은 조작됐다 아니다를 판정하는 학문이 아니다. 조작됐었다면, 누가, 왜, 무엇 때문에 이런 일들을 했는지를 밝히는 데서 비로소 역사학이 시작한다. 누가, 왜 조작했는지를 궁구하는데서 역사학은 비로소 휴머니즘의 문턱에 들어선다. 족보 조작은 조선후기에 빈발했다고 알지만, 실은 그 극성은 식민강점기였다. 단군 이래 족보 발간이 가장 왕성했던 시대가 바로 식민지시대였고, 그에 따라 조작한 족보 역시 이 시대에 쓰나미처.. 2021. 9. 11.
학예연구사가 되기 위한 관련 학과는 무엇일까? 지난 주 장수문화원의 초청으로 ‘학예연구사와 큐레이터’라는 제목으로 특강을 다녀왔습니다.(불러주신 문화원 관계자분들과 장수군 이현석 학예연구사님께 감사드립니다.) 어느 덧 학예연구사 10년 차가 넘다보니 학예연구사 직업 소개, 진로체험 관련 강의가 종종 들어옵니다. 진로체험이다보니 주로 학예연구사를 꿈꾸는 학생들이 대상인데 학예연구사를 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무엇을 전공해야 하냐는 질문을 자주 듣습니다. 사실 학예연구사 분야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전공을 따지는 것이 의미가 없지만, 현재 공무원 학예연구사 채용 공고를 기준으로 본다면 대부분 ‘역사(국사)학’, ‘문화재학’, ‘고고학’, ‘미술사학’, ‘박물관학’, ‘민속학’ 등의 전공을 요구하고 있다고 설명해 줍니다. 그래서 그런지 대학교의 관련 학과 .. 2021. 9.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