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BY7Xh/btrXrUBXNdF/ai4y6HivuezollI5tnEaK0/img.jpg)
<탐라국통신>
제주시에서 성산 쪽으로 가려면 흔히 시원하게 뚫린 번영로를 타게 된다. 그 길을 타고 쭉 가다보면 나오는 동네가 봉개동이다.
거기서 오른쪽으로 난 길을 따라 구불구불 올라가노라면 '明道岩마을'이란 빗돌을 만나고, 다시 거기서 오른쪽 샛길로 접어들어 약간 올라가면 제법 넓은 터전 위에 높직한 축대, 그 위에 비석 하나가 얹힌 광경을 만난다.
![](https://blog.kakaocdn.net/dn/O8hpV/btrXz0BaNmH/hyOTZvPLDXSBeJLKAs2hgk/img.jpg)
사실 이 터는 안세미오름이란 오름의 분화구다. 제주가 한창 들끓던 시절 여기서도 화산폭발이 있었던 건데, 그 시간이 지난 뒤 사람들이 모여살게 된 것이다.
왜 여기 이렇게 높직한 축대를 쌓았느냐하면, 옛날 여기 살았던 한 선비를 기리려함이다. 그 선비는 김진용金晉鎔이다.
조선 중기를 산 그는 진사시에 급제해 상경한 뒤 참봉 벼슬을 받았다. 하지만 사양하고 낙향한 뒤 후학 양성에 힘을 쏟았다.
지금 오현단 자리에 장수당藏修堂이란 집을 지어 유생을 기르자는 제안을 제주목사에게 올려 관철시킬 정도로 지역 사회에서 그의 영향력이 적지 않았다.
![](https://blog.kakaocdn.net/dn/MhqMU/btrXz02eWXC/gknzYxAv1KKyAUOyF1qKCk/img.jpg)
그가 사망한 뒤, 제주 유림들은 그를 향현사鄕賢祠에 모시고 제를 지냈다. 하지만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 이후 향현사도 자취를 감췄다.
그러다가 60년대 들어, 김진용이 은거하며 살았던 이곳 명도암마을에 유허비遺墟碑를 세워 그를 기리게 된 것이다.
높직이 올린 축대(김진용 선생 생전에는 없었을)를 올라 비석을 본다.
![](https://blog.kakaocdn.net/dn/bbXTa8/btrXwivvQqM/7punLkbicVauOsX9ZysWCk/img.jpg)
비신만 2m는 족히 되지 싶은데 기단이 하도 높아서인지 오히려 왜소해보인다. 비문은 국한문혼용체인데 국어학자 이숭녕李崇寧이 짓고 서예가 김충현金忠顯이 썼다.
김충현이 즐겨 쓴 예서와 고체古體인데, 40대 글씨라 그런지 원숙한 느낌은 아니다. 실험작에 가깝다 해야할까. 눈으로 비문을 쓸어 채우니 탁본처럼 글자가 선명해진다.
![](https://blog.kakaocdn.net/dn/4Y2yx/btrXqDUO0pK/EdnqTYLMQWFoLGnT60w4G1/img.jpg)
때는 겨울이라 눈보라가 휘몰아치니 이야말로 세한시절인데, 서울의 부귀영화를 뒤로 하고 고향에 내려와 살았던 향현鄕賢의 자취가 더욱 그립다.
'探古의 일필휘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묘지명 최고 인기 작가는 누구? (0) | 2023.02.09 |
---|---|
낙방한 친구를 위로하는 이상국 시 한 편 (1) | 2023.02.05 |
할아버지의 장인어른의 장인어른도 할아버지 (0) | 2023.01.29 |
생각도 안 한 금점판, 실록 충남반세기 (0) | 2023.01.28 |
작전회의보단 스테이크가 더 중요할 수도 있는 법 (0)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