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물학적 죽음2

탈상脫喪과 49재齋, 거상居喪을 줄이기 위한 몸부림 탈상은 글자 그대로는 상복을 벗는다는 뜻이라, 이 탈상을 통해 비로소 상주는 일상으로 돌아간다. 탈상하지 아니한 기간이 바로 상중喪中인데, 이 상중을 얼마로 삼느냐 해서 孝를 절대 가치로 앞세운 동북아시아에서도 적지않은 논란이 있었으니 공자가 3년상을 제기한 이래, 이것이 줄곧 대세였을 듯하지만, 이 3년상도 실상을 따지면 27개월과 25개월 설로 맞섰고, 아주 혹가다가 액면대로 해석해서 36개월을 지내는 일도 있었지만, 대세는 아니다. 27개월과 25개월은 권력투쟁도 끼어 후한시대 이래 동아시아 경전해석의 양강 구도를 형성한 정현인가 마융인가 어디를 따르느냐에 따라 정해졌다. 이 3년상은 공자 당대에 벌써 너무 길다고 문제가 되어, 논어를 보면 누구더라? 그의 제자 중에서도 열라 부자로 공자의 시종일관.. 2024. 1. 11.
무령왕은 두 번 죽어야 했다 백제 무령왕릉武寧王陵을 측면에서 잘라 본 모습이다. 왜 등잔을 설치했을까? 무덤은 죽은 자가 사는 집이니 그 근간 모델은 생전의 그것과 똑같다. 그래서 그냥 그대로 생각해야 할까? 그렇다면 관념에 의한 죽음은 시점은 언제인가? 생물학적 죽음과 관념적 죽음은 다르다. 이 두 죽음 사이에 위치하는 기간이 무덤을 이해하는 키워드가 있다고 나는 본다. 생물학적 시점의 죽음이 선언되고서 관념적 죽음이 선언되기까지 27개월이 필요했다. 이를 거상居喪이라 하며 빈殯이라 한다. 그렇다면 이 27개월간 무령왕은 죽었을까 아니 죽었을까? 아니 죽었다. 진정한 죽음은 두 죽음이 합치하는 시점에서 비로소 성립한다. 이 무덤은 유감스럽게도 두 죽음이 합치하는 시점의 그것을 증언하는 집이 아니다. (2016.4.10) 2020. 4.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