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439

"규보형 세상이 왜 이래?" 어쩌다 쓰게 된 이규보 이야기 책을 쓰게 되었습니다. 고려 최고의 술꾼이자 문인으로 꼽히는 백운거사 이규보(1168-1241)의 삶과 생각을 한 번 길어올려 보았습니다. 글솜씨와 술 실력은 누구도 인정치 않을 수 없었지만, 고고하게 살지는 못한 이규보입니다. 하지만 그랬기에 저는 그에게 더 끌렸다고나 할까요. 사람, 그 옛날을 산 사람 이야기가 궁금했기 때문입니다. 이 책에 등장하는 이규보는 완전무결한 영웅이 아닙니다. 배 나오고 머리 벗겨진, 허당끼 넘치는 동네 아저씨입니다. 그러나 역사책 속엔 그런 이의 자리가 거의 없지요. 이규보도 이란 문집이 남지 않았던들 그저 글 잘하는 문인이란 인물평 한 줄로만 남았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운이 좋게도 이규보의 글은 살아남았습니다. 그리고 그와 그가 살던 시대를 고스란히 담아 오늘에 전해줍.. 2024. 4. 12.
소호 김응원(1855-1921)의 묵란 墨痕香沁影欹斜 먹 흔적에 향기 스미고 그림자 비껴있는데 紙上參差盡着花 종이 위에 길고 짧은 선 다 꽃을 피웠고나 흥선대원군의 청지기였다는 이야기가 전할 정도로 한미한 출신이었던 김응원, 그러나 그는 발군의 서화 실력으로 20세기 초 한국 예술계에 군림한 인물이다. 특히 그는 난초에 뛰어났다. 출신 때문에 그의 그림도 흥선대원군의 아류에 지나지 않는다는 이들도 있지만, 실제 그가 남긴 작품을 보면 '석파란'과 다른 자기만의 세계를 구축하려 무진 애쓴 흔적이 보인다(그 노력이 성공적이었는지는 둘째치고). 이 묵란도 그런 김응원의 노력과 성취를 보여주는 한 사례이다. 난초 잎에 리듬을 주어 길게 뽑아내는 모습은 아직 석파 태공의 태를 못벗었고 확실히 그보단 약간 미숙해보인다. 하지만 한편으로 가시덤불 속에서 .. 2024. 4. 4.
조선시대에는 책 겉표지를 별로 신경쓰지 않았을 것 같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았다. 비단으로 감싸거나 따로 포갑包匣을 두는 경우는 논외로 하더라도, 능화판 무늬를 다르게 한다거나, 이름난 서가書家에게 부탁해 제첨題籤을 따로 써붙인다거나 해서 책의 겉모습을 서로 다르게 만들었다. 언뜻 보면 비슷비슷해보이지만, 집어들고 만져보면 엄연히 개성이 다르다. 고수들은 능화판 무늬를 보고 책의 연대나 수요처를 알 수 있다고 할 정도다. 근대로 접어들면 책 겉표지가 더 다채로워진다. 울긋불긋한 그림을 넣는가 하면 아예 화가가 장정을 맡아 표지와 내지, 북케이스를 디자인하기도 한다. 표지만 보고 아 이건 누가 장정한 책이구나, 어떤 내용의 책이겠구나 짐작하는 분들이 계시기도 하다. (사진은 국립제주박물관 소장 ) 2024. 4. 2.
안중근 의사 순국 114주년을 맞아 동양의 대세를 생각하니 어둑어둑 뜻있는 사내가 어찌 편히 잘 수 있으랴 화해의 판 이루지 못해 오히려 강개하거늘 정략을 고치지 않으니 참으로 불쌍하도다. 안중근 의사가 돌아가신 날. 114년 전 오늘. 2024. 3. 26.
메이지정부가 와카야마현에 내린 조선 표류민 대우 법령 조선은 바다를 즐기지 않았다. 바다 밖에서 온 것들은 물리치기 일쑤였고, 바다 밖으로 나가는 것은 매우 두려워하였다. 사방이 바다인 제주의 경우, 거기서 나는 토산품은 꼬박꼬박 공물로 바치라 하면서 정작 거기 사는 사람이 배를 타고 나가는 일은 크게 경계하였다. 오죽하면 1629년(인조 5)부터 근 200년간 제주 사람은 육지에 올라오지 말라는 출륙금지령을 다 내렸을까. 그래서 탐라 시절엔 분명 대단했을 제주의 조선술은 퇴화를 거듭, 진상품을 나르고 조금 멀리 나가 고기잡는 데 쓰인 '덕판배'나 연안에서 고기 낚는 데 쓰는 '테우' 정도만 남았다. 고유섭 선생 표현처럼 '바다를 엔조이한' 장보고 시절엔 상상도 할 수 없었을 일이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바다에 나가야 하는 사람들이 있게 마련이다. 고기잡.. 2024. 3. 20.
예의의 시대를 부르짖은 어윤적, 하지만 행적은... 정도로 풀이할 수 있을까? 일제강점기 명인 서화가 여럿 실린 기념첩 속에서 만난 글씨다. 그런데 글씨가 가냘픈 건 둘째치고, 오종종하고 끝마무리가 서툴다는 느낌이 강하다. 균형도 안맞고. 뭔가 잔뜩 주눅이 들었다고나 해야 할까. 그래서 누가 썼나 보니 어윤적魚允迪(1868-1935)이란 인물이다. 이 사람이 누군지는 다음 소개로 갈음한다. 1868년 8월 25일 출생했다.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치덕(穉德), 호는 혜재(惠齋)이다. 참봉 어창우(魚昌愚)의 아들이다. 대한제국기에 외부 번역관, 용천부윤, 국문연구소 위원 등을 지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중추원 참의, 조선사편수회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1935년 2월 3일 사망했다. 한학을 수학하다가 1894년 8월 탁지아문 주사로 관직생활을 시작했다. .. 2024.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