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1821

이화여대박물관 뿌리는 상허 이태준? 내가 회고록 읽기를 좋아하는 편인데, 이런 글들을 훑다보면, 이런저런 새로운 정보를 많이 접하게 되거니와, 근자에 한번 훑은 국어학자 일석(一石) 이희승(李熙昇·1896~1989) 자서전 《다시 태어나도 이 길을》 역시 그런 회로록 중 하나다. 내가 읽은 판본은 도서출판 선영사에서 2001년 11월 25일 1쇄가 나온 2016년 4월 20일 간행 그 재판이어니와, 그 원판은 이 책에 붙은 저자 서문에 의하면, 1975년 11월 8일에 시작해 이듬해 1월 26일까지 '나의 이력서'라는 제목 아래 《한국일보》에 연재한 글을 원바탕으로 삼고, 이후 "약간의 보충과 오기(誤記)가 뚜렷한 개소(個所)를 정정(訂正)하여" 1977년 한국능력개발사에서 나온 것이라 한다. 생몰년에서 보듯이 94세로 장수한 일석의 그 .. 2018. 8. 12.
궁주宮主 원주院主 전주殿主 《화랑세기》가 공개되었을 무렵, 저들 용어가 다시금 세간, 엄밀히는 고대사학계에 오르내렸다. 이들 용어는 《화랑세기》 곳곳에 등장하는 까닭이다. 이들은 실은 고려사를 무대로 하는 곳에 빈출한다. 《삼국사기》에는 단 한 번도 보이지 않고, 《삼국유사》에는 딱 두 군데만 등장하는 것으로 안다. 나아가 《해동고승전》에도 한군데 보이거니와, 그 등장 맥락이 《삼국유사》의 그것과 같다고 기억한다. 그런 까닭에 《화랑세기》 출현 이전에는 이것이 고려시대 봉작인데, 시대를 거꾸러 거슬러 올라가 신라시대에 붙지 않았나 하는 의심이 제법 많았다. 그런 의심이 이런 용어로 넘쳐나는 《화랑세기》가 출현하면서, 텍스트 자체가 위작이라는 의심으로 번지기도 했다. 내 기억에 이들이 대표하는 용어 문제로 가장 많은 심혈을 기울여 .. 2018. 8. 12.
서원이나 향교엔 왜 은행나무가 많을까? 지금의 서울 성균관대학교는 그 이름을 성균관에서 따왔다. 그런 까닭에 그 역사 전통 또한 조선시대 국립대학에 해당하는 성균관에서 구하기도 하거니와, 하지만 이는 역사를 늘리기 위한 엿가락 조작의 결과이니, 이런 논리대로라면, 그런 국립대학이 모름지기 조선시대이겠는가? 고려시대에도 그런 학교가 있었고, 신라시대에도 그 원조로써 국학(國學)이 있었으며, 그것을 더욱 거슬러가면 고구려 소수림왕 때 국학으로 역시 뿌리를 구할 수 있거니와, 하지만 뿐이랴? 그 뿌리 역시 다시 거슬러 올라가면 중국으로 쳐들어가니, 성균관은 공자를 시조로 삼거니와, 공자학단 그 자체가 곧 성균관인 셈이다. 지금은 삼성그룹으로 재단이 넘어간 성균관대학은 그 직접 뿌리가 해방 직후인 1946년에 있으니, 이때 저명한 유학자 출신 꼬장꼬.. 2018. 8. 11.
신라가 삼국 중 고대국가 성립이 가장 늦었다는 망발에 대하여 고대 한반도를 분할한 왕조, 특히 고구려와 백제에 대해 신라가 발전 속도가 가장 더디다 해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 말하는 신라가 가장 빠른 기원전 57년이라는 기록을 믿을 수 없다는 주장은 망발에 다름 아니다. 나는 신라가 삼국 중에서도 한반도 동남쪽 귀퉁이에 치우쳐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는 지정학적 위치가 가장 불리했고, 실제로 그러했으므로, 발전 속도가 가장 느렸다고 믿지도 않을뿐더러, 설혹 그렇다고 해서 삼국 중 건국연대가 가장 늦어야 한다는 발상은 하늘에 있는가 땅에 있는가? 같은 논리대로라면 지금의 세계 최강국 미국은 건국 연대가 다른 강국들에 견주어 가장 빨라야 하는 거 아닌가? 미국 건국은 이제 겨우 200년 지났을 뿐이다. 함에도 이런 얼토당토 않은 주장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더 얼토.. 2018. 8. 6.
냉수리비는 초기 문자생활 자료가 아니다 고대사로 먹고산다는 사람들이 하는 말 중에 재음하면 새빨간 거짓말로 들통나는 일이 한둘이 아니어니와, 신라 문자 생활사로 국한해 말한다면, 현재까지 발견된 초기 신라 금석문에 드러난 문장을 그들의 초기 문자 생활자료로 설명하는 압도적 견해도 그것을 대표하는 거짓말 중 하나다. 현재까지 신라 금석문 발견 현황을 간단히 정리하면서 그 초기 자료들을 볼진대, 포항 영일 냉수리 신라비(이하 냉수리비)가 추정대로라면 신라 지증왕 재위 4년(503), 울진 봉평 신라비가 대략 이십년가량 늦은 법흥왕 11년(524)으로 건립시기가 추정되거니와, 현재까지 발견된 신라 초기 금석문으로는 가장 최근에 발견된 포항 중성리비는 냉수리비보다 몇년 빠른 걸로 본다. 이후 신라인이 남긴 금석문으로 진흥왕 순수비와 같은 시대 창녕 .. 2018. 8. 2.
"봉평비 노인奴人은 부곡部曲" 울진 봉평비에 등장하는 노인을 부곡, 혹은 그 원류로 지적한 것은 아마 이 기사가 처음이 아닐까 한다. 이건 내 발견이라 자부하는데, 기자가 지랄 같은 것은 본인의 발명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항상 객관화하는 형식을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본격적으로 다룬 논문은 고려시대 부곡 전공인 국민대 박종기 선생에 의해 2년 뒤에 제출되었다. 나는 지금도 봉평비에 보이는 노인奴人이 부곡이거나, 혹은 그 전신이라 확신한다. 내가 기억하기에 박종기 선생은 문제의 발표를 한국고대사학회 주최 학술대회에서 발표했는데, 이를 두고 격렬한 논쟁이 있었다 하며, 그 논쟁은 시종 일관 부곡설을 반대한다는 것이었다. 그 발표는 나중에 한국고대사학회 기관지에 실렸다. 연합뉴스 | 입력 2004.03.04. 10:23 (서울=연합뉴스.. 2018. 8.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