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현장

후기 청동기시대, 궁전 이후 시대의 크레타 LATE BRONZE AGE POSTPALATIAL PERIOD(1300-1100 BC), 무덤 신전(1)

by taeshik.kim 2024. 10. 26.
반응형

그리스 령 크레타 섬 주도 이라클리오 소재 이라클리고 고고학 박물관 Heraklion Archaeological Museum 상실전시 코너 중 후기 청동기시대 LATE BRONZE AGE POSTPALATIAL PERIOD(1300-1100 BC) 대문 설명은 아래와 같다.

그것을 살피기 전에 미노아문명을 설명하는 저쪽 고고학 시대 구분 이야기를 잠깐 이야기하겠다. 

POSTPALATIAL PERIOD란 글자 그대로는 palace, 곧 궁궐이 등장한 이후 시대를 말한다. 미노아 문명에서 대략 궁궐이라 일컫는 건축물이 등장한 시기를 기원전 19세기 무렵으로 보는 듯하니,

크게 보아 이를 기점으로 그 전시대를 프리프레이셜Prepalatial, 곧 궁전 등장 이전 시대라 보며, 이후를 포스트퍼레이셜Postpalatial이라 하는 것이다. 

 

ㅈㅜ





YETEPH EnoXH TOY XAAKOY  METANAKTOPIKH EPIOAOE  
(1300-1100 n.X.)  

LATE BRONZE AGE  
POSTPALATIAL PERIOD  
(1300-1100 BC)  


 

 

저 섹션 그리스 설명은 아래와 같다. 이를 알아볼 사람 몇 되지 않을 테니, 그런갑다 하고 넘기기로 한다. 


OIKIEMOI . TA IEPA . OI TADOI  
METá TnV TENIKń nTÚon TOU avakTópOU TnG KVwooÚ EkieÍnoUy Ta loxupá Kévtpa EfoUoÍaç Ka ðIoíknanq TwV nponYoÚpevwv  nepióðwv xai n Zwń ouvexilstai HIkpÉç Koivótnteç, Ta onfria Eival hiKpá HE OTOIXEIÚÕEIC EYKQTAOTÁOEIG yia tnv egunnpétnon  aVayKÚV TOU kaônuepivoú Biou. O1Kigyof O€ OpEIVÉÇ KaI ðUanpÓaITEÇ nEpIoxéç paptupoúv ty avaoçákEia NOu npoékuye  npos TO TéXoc TG nepióðou ^óYw TI, hetakivnons nan uguov npoc tnv Kpńitn;  InhavTikó póno OT ZwŃ| Evóç OlKIGhoÚ TIc HEtavaktopikńic nepióðou éXouv ta Iepá Twv ElðUAwV TnG Oeáç pe uļwuéva xépia,  ○ KÚpIOC Xúpo, TOU IEpoÚ nEpIaHBável wpátia He npooßaon OE YEITOVIKÓ  aúnEIo xúpo yia tV térEon TEnEToupyIÚV OTo  KOIVOTIKÓ MafaIo Ta nń\iva elowka efval! heya\ou heyéOouc He tunonoinhevn xeipovopia úywons  Xepovohía Útwans TwV xepiuv kai OpnakEutiká  oúpßola. ○ eonNiouóç Twv iepúv nepiÀápßave akópa ow\nywtá akeún, ßwufokouç kal tpánelec npoooopuv. H unaiopia  ðnhóoia Aatpeía OUVExÍLETaI kal a' autńV TV nepioðo. Xapaktnpiotiká nepintwon n &llhateia TWV lEpwv> otnv Ayía Tpiáða,  ónou ßpéÔnkav no\á nń\va KaI xáAKIva EIðu\ia taúpwv, avopwnÓuopowy Elðw\Íwv kal QavTaoTiklv óvwy.  TnS nEpIóðou efval pikpúv ðIaotáoew Xafeutof @aAqpociðeic Kal KTIOTOÍ Bo\wtoÍ, KuŲeloEiðefc ń op@oyúviol,  Ta KtEpÍouata eíval \íya kai taneivá, kupiwc nń^iva ayyeia Kal  KoOhńHata anó uahópaļa. Inopaðikéc KtEpÍoEic pe ónka kal  xáAKIva OkeÚn avanapáyouv ŒE xahn^ótepo eníneðo To éOipo Tnç SIGKEKPihEvns tańs TWV npoyevÉotepwv nepióðwv. ITO TéÀOG  TIs nepiÓðou ÕIadfðetai to é0 iho TIS kaUons twy vEKpúv KaI tonoBétans twy OotÚy aE tapikoúç nioouc.   



 

저에 대한 영어 안내판이다. 


SETTLEMENTS . SANCTUARIES . TOMBS  

Following the destruction of the palace of Knossos, the powerful centres of authority and administration of the previous  periods disappeared, and life continued in small communities.

Houses were small, with basic facilities to meet everyday  needs.

Settlements in mountainous and inaccessible areas reveal the insecurity that arose towards the end of the period,  due to the movement of populations to Crete.  


정착촌, 신전, 그리고 무덤   

크노소스 궁전이 파괴된 후 이전 시대의 강력한 권위와 행정 중심지는 사라졌고 작은 공동체에서의 생활은 계속되었다.

집은 작았으며 일상적인 필요를 충족할 수 있는 기본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산이 많고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의 정착촌은 크레타 섬으로의 인구 이동으로 인해 이 기간 말기에 발생한 불안을 드러낸다.

 

 




Shrines with idols depicting the goddess with upraised arm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life of Postpalatial centres. The shrine included rooms opening onto an adjacent courtyard for performing communal rituals. 

The clay figurines are large, their arms raised in a stylised gesture, and accompanied by religious symbols. The shrines were also equipped with tubular vessels, small altars and offering tables. 

팔을 치켜든 여신을 묘사한 조각이 있는 성소[신전]는 궁전 이후 시대 센터의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신사에는 공동 의식을 수행하기 위해 인접한 안뜰로 이어지는 방이 포함되어 있다.

점토 조각상은 크고, 양식화한 몸짓으로 팔을 치켜들고 있으며, 종교적 상징이 동반되어 있다. 사당에는 대롱 모양 그릇, 작은 제단, 제단 테이블도 갖춰져 있었다.

 



Open-air public worship continued in this period, too. A typical example is the "Square of the Shrines" at Agia Triada where many clay and bronze figurines of bulls, humans and imaginary beasts were found.

The tombs of this period are small, rock-cut chamber tombs and built beehive-shaped or rectangular tholos tombs.  

The grave offerings are few and humble, consisting mainly of clay vessels and glass-paste jewellery.

이 시대에도 야외 공중예배는 계속되었다. 전형적인 예는 황소, 인간, 상상의 짐승의 점토와 청동 조각상이 많이 발견된 아기아 트리아다(Agia Triada)의 "성지 광장 Square of the Shrines"이다.

이 시기 무덤은 작은 암석을 깎아 만든 방형 무덤과 벌집 모양 또는 직사각형 톨로스형 무덤 tholos tombs으로 구성된다.  

무덤에 바치는 제물[껴묻거리 부장품]은 소수이며 소박하며 주로 점토 그릇과 유리 반죽으로 만든 장신구로 구성된다.

 



Occasional offerings  of weapons and bronze vessels reproduce, on a smaller scale, the custom of illustrious burial of the preceding eras.

At the end of the period, the custom of burning the dead and placing the bones in funerary urns became widespread .

가끔 무기와 청동 그릇을 부장하기도 하는데, 이는 이전 시대들의 매장 관습을 소규모로 재현한 것이다.

이 시대 말에는 죽은 사람을 불태워 유골을 항아리에 넣는 풍습이 널리 퍼졌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