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1418

해바라기 그림 한 방 박아주고 런던 안착과 더불어 곧장 내쇼날갤러리로 날았으니 시간이 엄써서였다. 금욜은 아홉시까정 야간 개장..숙소에 짐 풀 시간도 모자라 트라팔가 광장에 지인더러 짐 지키라 하고는 쏜살 같이 갤러리 사방을 뛰어다녔다. 고흐 썬플라워 하니 몇번 방이라 하기에 디립다 가서 보곤 한 방 두 방 세 방 네 방까지 박았다. 다들 이쪽이 관심인지 관람객 쏠리지만 내가 왔단 말에 저리 됐다. 작두질 그림도 보아주곤 돌아서니 광장엔 밤이 내렸더라. 2019. 8. 24.
명승 유원지로서의 단양 사인암 단양 사인암이다. 국가지정문화재 중 하나인 명승明勝이다. 문화재로서의 명승은 근대의 발명품이다. 하지만 그 용어는 다른 지정 문화재와는 달리 연원이 오래이고 또 그 근본 개념 자체는 거의 변화가 없는 희유의 케이스다. 《승람勝覽》에도 각 지역별로 명승을 소개한다. 이 사인암은 유원지화한 지 오래다. 이런 변화를 문화재라는 관점에서는 부정으로 보는 시각이 없지 않다. 하지만 나는 다르게 본다. 문화재라 해서 언제까지나 골방 유리창안에 온습도 조절장치와 함께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2019. 8. 21.
불교사찰 자리에 선 광주광역시 무양서원武陽書院 광주광역시 광산구 무양서원武陽書院은 그 이전에 틀림없이 바로 이곳, 혹은 주변에 절터가 있었다. 서원 건축에 쓴 석부재 중에 석탑 부재가 보인다는 점이 그 증거다. 탑을 쪼개서, 혹은 무너진 탑 부재들을 그대로 서원 기초물로 재사용했다. 기존 불교사찰, 혹은 그 터를 서원 향교로 재활용한 일은 많은데 숙수사宿水寺를 때려부순 영주 소수서원, 영국사를 때려부순 서울 도봉서원이 그렇다. 2019. 8. 19.
벽에 걸린 그림 촬영하는 방법 일례 벽에 걸린 미술품 사진 촬영 때 고민은 왜곡이라, 이 왜곡을 보정하는 방식으로 내가 나름대로 터득해 쓰는 수법 중 하나거니와, 나중에 들으니 이쪽 업계 전업적 종사자들도 거개 이 방식을 쓴다고 한다. 미술품이 보는 사람 눈높이에 맞게 걸려있다면야 상대적으로 왜곡에서 자유로울 수 있겠지만, 거개 높이가 맞지 않는다. 이걸 내 눈높이에서 그대로 찍으면 사진이 쭈구러지기 마련이라 아래 그림이 그러하다. 이 때 나는 반셔터 상태(혹은 초점 위치 조절도 가능)에서 초점을 그림 중앙에 맞춘 다음, 그걸 최대한 왜곡하지 않는 레벨로 촬영하니 예컨대 다음 사진과 같다. 보기가 적당하지 않을 수 있지만, 대략 그렇다는 점을 감안해 주기 바란다. 이 보기도 왜곡이 발생했지만, 대략 왜곡이 없거나 적다고 상상해 주기 바란다.. 2019. 8. 19.
양저문화良渚文化 옥기玉器 : 옥단식玉端飾 jade end ornament 옥단식玉端飾 jade end ornament 절강浙江 여항余杭 요산유지瑤山遺址 7호묘七號墓 출토 중국 신석기문화 중 하나인 양저문화良渚文化 옥기의 하나로 절강성 항주 양저유지박물관良渚遺址博物館 소장품이다. 옥단식이란 말은 현대 고고학자들이 붙인 명칭으로, 옥으로 만든 끝 장식이라는 뜻일 듯하다. (2015.8.15) 2019. 8. 17.
개독들의 절대 성전 만종 L'Angélus / the Angelus / 晩鐘 코딱지만한 이 그림이 침소봉대한 까닭은 교과서 때문이었다. 누구 글이었는지 모르나 이 그림을 소재로 삼은 글 한 편이 국어교과서에 수록됨으로써 적어도 내 세대엔 프랑스 미술, 나아가 밀레라고 하면 이 만종을 떠올리게 된다. 각인이 얼마나 무서운지를 알려주는 한 보기다. 뭐 그 글을 다시 읽어봐야겠지만, 종교적 경건성을 말해주는 일화로써 어떤 농부 부부가 밭일을 하다가 교회 종소리를 듣고 기도한다 뭐 이랬던 거 같다. 지가 그러지 못하니, 부럽다 이거겠지. 개독들을 위한 절대의 성전, 그것이 바로 만종이었다. 문제는 그 성전이 개독만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는데 한국사회의 비극이 초래한다. 성전...그건 너희만을 위한 것이지, 그것을 왜 남들한테 강요한단 말이더냐 이 개독들아. 파리 오르세미술관에서. 그건 그.. 2019. 8.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