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중건: 1865년-1868년.
병인박해: 1866년
제너럴 셔먼호 사건: 1866년
병인양요: 1866년
당백전 주조: 1866년
오페르트의 남연군묘 도굴: 1867년
![](https://blog.kakaocdn.net/dn/bhTYn2/btspxaE0vrw/Xd8u4Iweb7H1PhjwSycuN0/img.jpg)
생각할수록 어처구니 없는 사건이 경복궁 중건이다.
더 심각한 것은 이렇게 누란의 위기에서 지은 궁궐에 고종 일가는 딱 27년 살았다.
을미사변(1896년) 때문이기는 하지만 아관파천 후 경복궁으로 다시는 돌아가지 않고
1897년부터는 덕수궁을 다시 짓기 시작했다.
하긴 이런 삽질 덕에 우리는 서울 중심부까지 관광객을 부른다.
오늘날 관광객을 부르는 경복궁, 덕수궁 두 궁궐은 나라를 바꿔 먹은 궁궐이었던 셈이다.
1882년 임오군란 당시 명색이 나라라는 곳에서 왜 군인들 봉급도 1년을 못 주고 있었는지 알 만 할 것이다.
필자 개인 생각이지만, 고종 일가가 조금만 머리가 돌아가는 인간들이었으면 나라는 안 망했다는 생각이다.
머리가 안 돌아가는 인간들이 지들 맘대로 할 수 있는 절대권력을 누리며 그나마 있어야 할 최소한의 애국심도 없었던 상황-.
그러면 나라가 안 망할 도리가 없다.
고종일가가 궁궐을 세 번 (경복궁 한번, 덕수궁 2번) 짓는 동안 일본으로 유학보낸 대한제국 국비 유학생들은 본국에서 지원이 끊겨 거지처럼 이국땅을 떠돌아야 했다.
나라가 망한지 36년.
해방이 되고 보니 온 국민이 까막눈이고 소작 부쳐 먹는 그대로였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30/2020063000112.html
나라가 유학 보낸 그들을, 나라가 버렸다
나라가 유학 보낸 그들을, 나라가 버렸다 박종인의 땅의 歷史 218 갑오년 조선 관비유학생 甲午年 朝鮮 官費留學生
www.chosun.com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이 눈에 어른거렸을 임오군란 군인들 (0) | 2023.08.02 |
---|---|
월급없이 군인을 부려먹던 왕조 (0) | 2023.08.02 |
사기史記와 장량張良 (0) | 2023.08.01 |
필자 근황, 고대문명 연구를 마무리하며 (0) | 2023.07.31 |
[唐詩] 최호崔顥 장간행長干行 (0) | 2023.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