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5.09. 수도국산 달동네 박물관
박물관 전시공간 자체를 수도국산 달동네 모습으로 연출한 재밌는(박물관 역사를 알면 마음이 아픈)박물관입니다.
당시에도 '수도국산'이 붙은 박물관 이름의 의미가 궁금했습니다. 산은 산인 것 같은데, 수도국?
![](https://blog.kakaocdn.net/dn/IXtCr/btrelS2LYta/YvbIWlQHTMdAmx2PwR36wK/img.jpg)
수도국산의 원래 이름은 만수산(萬壽山) 또는 송림산(松林山)이었습니다. 송림산(松林山)은 실제로 산언덕에 소나무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송현(松峴)', '송림(松林)' 등 의 지명도 여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만수산', '송림산'으로 불리던 이름이 '수도국산(水道局山)'으로 불리게 된 데에는 탁지부(度支部)에 수도국(水道局)을 신설하고, 이곳에 수돗물을 담아 두는 배수지를 설치하면서부터 '수도국산'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Ru1mC/btrepwdw9fI/PmE6jx9WSLIb7tN7EATIuK/img.jpg)
시기적으로 물이 귀했던 것도있지만, 지역적으로 보아도 인천은 본래 물이 적고 수질도 나빠서 개항 이후 증가한 인구와 선박으로 물 확보가 큰 고민이었다고 합니다. 당시 이런 물부족을 해결해 주었던 것이 송현동에 설치한 배수지였던 것이지요!
![](https://blog.kakaocdn.net/dn/bPMQGL/btrelRvV1bJ/SD50gsnSpnbjt5uzRArhk1/img.jpg)
이런 산비탈의 동네에 일제강점기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고, 6·25 전쟁 이후에는 피난민들이 대거 몰려와 임시로 집을 지어 살았고, 1960~70년대에는 산업화가 시작되면서 전라·충청 지역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이곳으로 모여들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산꼭대기까지 다닥다닥 집들이 들어 차면서 수도국산 달동네가 만들어 졌다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fuzye/btreiRDgePJ/guh1ynLojWyUrm3S0kzEHk/img.jpg)
어느 마을 마다 가가호호 사연없는 집들이 없겠지만은 여기 수도국산 달동네야 말로 사연이 참 기구합니다.
일제강점기부터 줄곧 더 이상 기댈 곳도 없는 사람들이 모여 들어와 서로 부대끼며 때로는 기대며 살아온 곳이었던 거지요.
![](https://blog.kakaocdn.net/dn/m1ZMW/btreiRDgfEU/i6kl9pPsgDdKhjyxCqcIM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IkZPU/btreoTGNDl4/IZ1kkqTKV8JZbWTffKIGp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siVDK/btreiRDgdYZ/UVAD5viBvp9Qkdx67Q1Am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Qr7lF/btreh1TFnGB/KbKiotujYihmKyWZnGwq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1rP1W/btreh1F7edk/0X3VnnQR1JDIcQckcyypX1/img.jpg)
전시 공간 자체를 수도국산 달동네 모습으로 연출했습니다. 집집마다 이어지는 좁은 골목을 걸으며 불켜진 창문으로 달동네 집 안 모습을 힐끔 힐끔 쳐다 보았습니다.
전봇대에 붙어 있는 전단지이며, 집 벽에 붙어 있는 포스터 등 1960~70년대 달동네 모습을 그대로 재현했습니다.
사실 그 당시에 살지 않아 잘 모르겠지만, 텔레비전 속에서 옛날 모습을 보여주는 것과 오버랩이 되기도 하고, 같이 간 선생님께서 비슷하다고 하셨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6eASa/btrehCT8wKo/o8XBr5MrJfAUDXiJnax16K/img.jpg)
전시를 볼 때도 그랬고, 지금 다시 전시실 사진을 봐도 전체적으로 색이 어둡고 칙칙합니다.
왜이렇게 어둡고 칙칙할까 생각해보니, 그 당시 달동네 모습을 재현한 것인데 알록달록하고 쨍하게 밝은 것도 맞지 않겠구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이렇게 색이 무체색으로 칙칙했다고 합니다.
건물에 페인트 칠하는 건 정말 언감생심이고, 바닥은 연탄재로 늘 시컴시컴하고, 지붕도 기름 발라 두어 때끼고하니 시커멍 했다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eTznX/btrelTggI7d/6B2NFroSBkfSe71uwPGkQ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HZMx/btreot9q011/hXykYvIY2uYc1dEqCbQmdK/img.jpg)
신발을 벗고, 달동네 집 안을 들어가 볼 수 있어 조용히 들어가 보았습니다.
방안을 찍지 못했는데, 더도 덜도 없이 지금 화면에 보이는 모습 그대로 아주 작습니다. 성인 여자 4명정도 들어가면 다닥다닥 저 상을놓고 앉아 있을 정도.
![](https://blog.kakaocdn.net/dn/bUIanc/btrerzOmqyW/DaMKknmkWbrF8wNMUxY6e1/img.jpg)
다른 집을 방문해 보니, 다섯 가족이 상에 둘러 앉아 뭔가를 하고 있습니다.
각에 뭔가를 붙이는 것 같은데, 성냥인가요? 무슨 내용인지 아시는 분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rNUAq/btreh2SyrsO/7Y8RmMuakw7eTVxkRp00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1QYJR/btrerzgw4Jc/dpkDTp7LXBmfKqK6N2tem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4mwUZ/btrerANgHMV/kW5q7ALTjHOrApv1a17SB0/img.jpg)
전시 때문에 이렇게 집집마다 불을 환하게 켜 둔것이지, 실제 달동네 집들은 최소한의 불만 사용해서 지냈겠지요?
![](https://blog.kakaocdn.net/dn/Ksr35/btrerznhUg5/Jc6fK5uEhDEV6bs49cWib1/img.jpg)
수도국산 달동네 박물관, 가끔씩 생각나는 박물관입니다.
달동네 모습을 그대로 전시로 연출한 부분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무엇보다 비슷한류의 다른 박물관의 생활사 전시에 비해 현실감도 있으면서 또 전시라는 목적을 잊지 않고, 보여 줄 부분은 잘 정돈하여 보여 주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yhaQK/btrepvTefMf/xD3Bu28K6Ek2SDyoenVTW0/img.jpg)
박물관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니, 어린이를 위한 '달동네 놀이체험관'도 있었습니다.
2019년에 갔을 때는 제가 미처 보지 못한 건지, 아니면 뒤에 다시 단장한 건지는 모르겠습니다. 달동네를 컨셉으로 어떻게 어린이 체험관을 구성했는지 볼 겸 다시 박물관에 방문하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네이버 지도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
map.naver.com
인천광역시 동구 수도국산 달동네 박물관
AM 09:00 ~ PM 18:00 (매표마감은 관람종료 30분전) 매주 월요일, 1월1일, 설날 및 추석날 당일 휴무 더보기
www.icdonggu.go.kr
'여송은의 뮤지엄톡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평도시유적전시관] / 특별전시 /화신백화점 / 2021.09.09. (0) | 2021.09.10 |
---|---|
동네를 내려다 보는 어영대장 신정희 (0) | 2021.09.08 |
활기참 한숟갈 필요한 [신두리 사구센터] (0) | 2021.09.06 |
풍납토성 옆 사선아파트 (0) | 2021.09.04 |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기획전시 / 효령 : 회암사에 담은 불심 (2021.08.29.) (0) | 2021.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