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6.19.(토) 날씨 맑음
수업 답사로 계족산성에 다녀왔습니다.
어제 바로 포스팅 하려고 했는데, 지쳐서 잠들었습니다. 하하ㅎㅎ
![](https://blog.kakaocdn.net/dn/cQSffd/btq7Ed6vKaS/kuJSglDm6RUNsGmmrqHk0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x9FNO/btq7DVdYqrS/fANG1q0rGIrz1sHya87dM1/img.jpg)
저희는 올라갈 때 정동산림욕장 주차장쪽에서 계족산성으로 가는 다이렉트 코스로 올라갔습니다. 1시간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대신 경사가 가파랐습니다.
내려올 때는 외곽순환도로(?) 처럼 가장자리를 빙 둘러 내려왔습니다. 시간은 많이 걸렸지만, 나무그늘과 함께 평지를 걸을 수 있어 꽤 괜찮았습니다.
8시 등산 - 13시 30분 하산.
모두 걷기만 한 건 아니고, 계족산성에서 성곽•성내 시설 등을 보며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6v1n/btq7CSI23el/zOzQMsejBtKPoVifB83Iq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aZnc/btq7CUz5AJA/lT4OZqdDFBKPaIMA1PjR9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DhzFw/btq7DsJO9Er/kfBXLGVufPrMkmsbuPDXH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JlmoO/btq7DU0s6Ua/L9YdV5I36LJ4jKW6lkCr3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8IhXb/btq7GzVyOgu/tOacyLYTkuHztjUtA4TpB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I9Yxt/btq7FhU8xKz/m4vw7RxiCeDWz7FMGgGxRk/img.jpg)
곡성-북벽은 정비중이라 가까이에서 볼 수 없었습니다. 대신 먼 발 치서 볼 수 있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HQGKL/btq7Fh1EY09/OCeofOxE94KxZ4DMuPXUf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7tbc/btq7DspxZcu/pEmxYJakUq70IZjWct8yV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gwEW/btq7Gz2j9vE/DNkWQrkN6VGT9oW1EzHcK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Nxxe/btq7CSCsYSd/KWgKFcfyAOxTCrtDgQtzK0/img.jpg)
계족산성 서문지로 돌아 갔습니다.
오 드디어 끝이 보입니다!!! (는 무슨? 산에 올라 왔으면 내려 가는 일 도 있잖아??)
![](https://blog.kakaocdn.net/dn/dOG7IL/btq7DUF75FV/RKlFeLWhambGHHXcZKL3y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OobJ/btq7CFJUMx1/1MgwNuW8yFL0YOSyRs9EE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TXAT/btq7HEIP6zx/TdunoEvlSBVyubIgBXob11/img.jpg)
서문터는 계족산성 서벽에서 약간 북쪽으로 치우친 곳에 위치합니다. 그리고 서벽은 계족산성에서 가장 높은 산등성이의 바깥 경사면에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znSL/btq7CS98LEf/RICQsAqmNWHd1kfSuaUoEK/img.jpg)
계족산성 자료를 보면서 “그래서 신라에서 쌓았다는 거야, 백제에서 쌓았다는 거야.” 했었는데요, 계족산성 안내판은 계족산성을 백제에서 쌓았다고 적고 있습니다. (그런 뉘앙스가 팍팍)
안내판 내용
계족산성은 삼국시대 때 대전이 신라의 침입을 방어하는 관문 역할을 하면서 많은 산성이 만들어지던 시기에 중심 역할을 했던 산성이다. 계족산성 봉황정에서 북종쪽으로 약 1.3km 떨어진 지점에 있는 산봉우리에 머리띠를 두르듯 돌로 쌓은 산성이다. 남북으로 긴 사각형에 가까운 모양이며, 둘레는 1,037m로 대전 광역시 안에 있는 산성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뒷부분 생략)
![](https://blog.kakaocdn.net/dn/bfNoEf/btq7C3wNzsW/QzOMBlSn5OfyZxVbktwnlk/img.jpg)
앞서 말씀 드렸듯이 계족산성은 대전관내에 축조되어 있는 40여개소의 산성들 뿐만 아니라 대전 인근 산성들 중에서도 규모가 큰 편에 속합니다.
그래서 수장급의 지휘소가 마련되어 백제·신라 간의 통로를 감시하는 역할을 했고, 백제부흥운동 시에는 백제부흥군의 주요거점으로 사비와 웅진부성에 주둔중인 당군을 신라군과 격리하고 고립시켜 백제왕통을 회복시키려는 계획을 수행하기도 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gDP98/btq7DTNZUlW/846mdfgMJxFZKSEQZw1IGK/img.jpg)
또한 대전 계족산성 조사 당시 100개체 이상의 백제 토기편과 기와편이 수습되었고, 그 중 특히 “우술(雨述)”명 와편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미루어 보아 계족산성을 삼국시대 백제에서 쌓았을 것으로 추측합니다.
(雨述명 와편 발견과 관련하여 교수님의 에피소드를 들었는데요, 이건 교수님 허락을 받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ㅎㅎ)
660년 백제가 망하고 난 뒤에는 당연히 신라에서 성을 사용했겠지만요.
계족산성에 관해 제가 찾아 본 자료, 교수님의 말씀 등을 미루어 처음 계족산성을 쌓은 나라는 백제가 아닐까 저는 생각합니다. (참고로 저는 이 부분으로 논쟁하고 싶지 않습니다. 하하)
![](https://blog.kakaocdn.net/dn/d96iZ4/btq7DVyvjaU/TKn20buShHm88GndOa95j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yYHVV/btq7CUfM8gz/VEYHwaK9JP0vz3KGkYeZu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nDz2z/btq7C4QdXFl/81WtxFA7N9BrncKWvg5Zm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QHyhn/btq7DUsQvoR/lvoR8zCZ0c4MZBU430ysA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kY358/btq7GAUdiN0/MYi5tfXqGpiyEvktyY9Llk/img.jpg)
계족산성봉수대는 서울까지 전달되는 다섯 가지 봉화로 중 남해 금산에서 영동, 옥천을 거쳐 서울로 연결되는 제2거(第二炬) 봉화로의 간봉(間烽)에 속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pq87I/btq7EdZZDrI/zt8iEmwMtGutT6tfra5K4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4bvcN/btq7HDQWt8b/phAsix1J22pjEGLCSTxwx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CZ1r/btq7EeLkQbz/BESI4BxGvKZO0bTxoESJI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p8zQB/btq7FgWflmN/ERdoxD2EPdJeqxZN8NC0o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tQqvz/btq7DsXoSdX/ADZyKPQpyUqmFOquYfAeQ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6Ygap/btq7HEvijRR/ikXob7Gs8xyQVHcGdgNpH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VH2T/btq7DsXDWek/XBlNdQlvqrmdlXLwgK61J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m92SD/btq7GBFAMb7/N2kKTyL7djJoYtd1Zk7R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qDzf/btq7EzhqxdH/WtCrjXxmBj2XLVIC7gSK1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GmcLH/btq7HD4d790/iOHIxVqAgqp8Jf9xlkRMp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KsYD/btq7DtvtmIx/PEybbrfGBrz87AKEwBQkN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yMxat/btq7DUMSlG3/zhwQn8MzEZQnmwfvbwh9e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rpdAP/btq7FhtPlL7/GjcwkMVVY4MBcfTHlQ09f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vecf/btq7C4JrIom/B06Wfr6dPp3YqRW47ERyY1/img.jpg)
흙길을 밟으며 내려가니 기분이 좋아~~~~
![](https://blog.kakaocdn.net/dn/LsSdP/btq7C3KyytO/WDxghbSZHUkLqBVvJF13N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aKqV1/btq7Fht4Pd1/Q1LUlSL5We6OuMoYSaoi9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Qcamr/btq7GBMDIld/AL2ODjLrAaRkMXiChRAT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eHjNw/btq7HECjhQO/M2kQQQUZnnorAJPinuF8ak/img.jpg)
계족산성 답사 시마이!!
점심은 띠울석갈비본점에서 석길비랑 냉면!!!
마무리 멘트 없습니다!! 끝!!
종 목 : 사적 제355호
명 칭 : 대전 계족산성(大田 鷄足山城)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면적 : 82,032㎡
지 정 일 : 1991.10.25.
소 재 지 : 대전 대덕구 장동 산85 외
시 대 : 삼국시대
대전 계족산성
대전 동구 효평동
http://naver.me/GFfdtazL
대전 계족산성 : 네이버
방문자리뷰 5 · ★4.6 · 대전에서 가까운 여행지
m.place.naver.com
'여송은의 뮤지엄톡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해녀박물관 (2021.06.16.) (0) | 2021.06.21 |
---|---|
세종 비암사(碑巖寺) (2021.06.19.) (0) | 2021.06.20 |
용암이 만든 동굴, 만장굴 (2) | 2021.06.18 |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브라이드고래(Balaenoptera edeni) (4) | 2021.06.18 |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익숙하지만 다른 민속전시실 (2) | 2021.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