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차노는 전술한 것처럼 등산과 스키, 휴양의 도시였는데
이곳으로 30여년전 5천년 된 외치 할아버지께서 이 도시로 강림하시면서
이 도시는 그 성격이 일변하게 되었다.
먼저 외치를 보존하고 관련된 유물을 연구하기 위한 전용 박물관이 건설되었으니,
그것이 앞서 설명한 남티롤 고고학 박물관(South Tyrol Museum of Archaeology)이다.
이 도시에는 외치 연구만을 위해 움직이는 연구소도 하나 있다.
미라를 위한 연구소인데, Institute for Mummy Studies라 한다.
https://www.eurac.edu/en/institutes-centers/institute-for-mummy-studies
Institute for Mummy Studies
Snapshots of the past times that help us to gain unique insights into our present. By studying skeletons and mummies from all over the world and from different historical periods, we gain knowledge on...
www.eurac.edu
이 연구소도 규모는 크지 않지만,
지금까지 외치를 대상으로 시행한 많은 과학적 연구는 이 연구소를 통해 거의 이루어졌다.
최신 과학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한 많은 성과는 이 연구소가 아니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도대체 뭘 이런 곳까지? 라고 생각하기 쉽겠지만
여기는 유럽의 고고학자, 인류학자에게는 꽤 잘 알려진 곳이다.
이 도시에 거점을 둔 박물관과 연구소가 긴밀히 연대하여
5,000년 된 유럽 최초의 미라, 외치를 연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여기에서는 인류학 관련 학회도 자주 열린다.
필자의 연구실도 학회에 여러 번 참가할 기회가 있었다.
*** previous article ***
[외치이야기-4] 볼차노 풍경
[외치이야기-4] 볼차노 풍경
외치에 대해 이야기 하자면 볼차노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외치가 알프스 꼭대기에 발견된 후 이 도시에 정착하기까지는 사실 우여곡절이 많은데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먼저 볼
historylibrary.net
'미라 이야기: 신동훈 & 김태식 > 1-외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치이야기-7] 알프스의 삼대 북벽 (2) | 2025.01.28 |
---|---|
[외치이야기-6] 알피니즘 (2) | 2025.01.28 |
[외치이야기-4] 볼차노 풍경 (2) | 2025.01.27 |
[외치 이야기-3] 시체 보러 줄을 선 사람들, 볼차노 외치박물관 (2) | 2025.01.27 |
[외치 이야기-2] 현대 미라 연구의 표준 (1) | 2025.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