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학문의 세밀가귀

by 초야잠필 2023. 7. 22.
반응형



학문의 바탕은 세밀가귀가 맞다. 

기본적으로 논문 쓰기란 아웃복싱이다. 

인파이터가 되기 어렵다는 말이다. 

그러다 보니 연구실에서 생산된 데이터로 논문을 쓰면 아웃복싱을 하게 되고 다 쓰고 나면 싸움에서 살아 남을 수 있는 fact만 소복히 남는다. 

그 fact를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하다 보니 논문의 결론에는 형해화한 구조물만 만들어 진다. 

20년을 했어도 골조만 완성된 학문적 구조물이 서 있고 전체 건물의 모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그 때문이다. 

사람 한 평생이 별것 있겠는가? 

하고 싶은 공부를 하고 그럴 듯한 스토리를 남기는 것이 결국 학문의 마지막 목적일진대, 

60세 이후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르는 인생은 바로 그 골조에 벽을 세우고 시멘트를 발라 미장하고 장식을 달아 전체 스토리를 화려하게 완성해 보는 것. 

그것이 되겠다. 

필자의 60세 이후 연구 편력의 촛점은 거기에 맞춰져 있고, 그 방법론으로 인문학적 기법을 과감히 동원한 드라이 랩으로 방향을 정했다 하겠다. 

Wet lab을 포기하는 대신 스토리를 위해 인문학적 연구기법을 과감히 도입하는 것이 다음 단계의 시도가 될 것이며 여기에 필자의 60세 이후 인생이 걸려있다. 


인문학적 상상력은 학문의 스토리텔링에 활기를 불어 넣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c) 신동훈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