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blog.kakaocdn.net/dn/ci0Dzp/btsE9ZfRWj2/Dj2yPATjvHuKAate3BkhM0/img.jpg)
이것이 중국사회과학원 홈피에서 제공하는 거란 遼나라 시대 진국공주陳國公主와 그의 남편을 합장한 무덤 단면도와 평면도라,
물론 발굴보고서를 보면 더 좋은 도판을 얻겠지만, 웹에서 제공하는 꼴을 저래서 도면 상태도, 해상도도 형편없다.
바쁜 시간에 언제 보고서 일일이 찾아 캡처하거나 스캔하겠는가?
저걸 AI 증폭기로 돌려봤다.
![](https://blog.kakaocdn.net/dn/bgBAS2/btsE6HgpoAd/OeRnCR4QIK3mtnpdGJTgz1/img.jpg)
이렇게 나온다.
웬간한 거지 같은 도면만 있어도 AI 이용하면 저리 깨끗한 도면을 얻는다.
다음 같은 진국공주 부부묘 저 중에 이실耳室이라 해서 저쪽 툭 튀어나온 열쇄 구멍 모양 하나를 본다.
![](https://blog.kakaocdn.net/dn/b1vyIC/btsE8DdiMnp/qigDhBEvTJxtj1KAAttvuK/img.jpg)
사회과학원 제공 도판이 이 꼬라지다.
이 놈들도 문제다. 저걸 어찌 사용하란 말인가?
저걸 AI로 증폭해 봤다.
![](https://blog.kakaocdn.net/dn/bZ6VVM/btsE96FXga8/tvYUlDAYkkhRl71nSFgNaK/img.jpg)
이렇다.
![](https://blog.kakaocdn.net/dn/Z8axu/btsE2BnsFwc/whtEQ8PjtdkoRfI3y9Gl21/img.jpg)
같은 진국공주묘 투시도다. 일본 쪽 어느 홈페이지에 보이는 것인데, 이것도 실은 저것을 다룬 책자인가 특별전인가에서 등장한 것으로 저걸 어찌 사용하겠는가?
저 역시 AI로 증폭해 봤다.
![](https://blog.kakaocdn.net/dn/bHEEVn/btsE7thFqNe/yu1CFSLe8bjrfu577grFrK/img.jpg)
놀랍지 않은가?
AI는 고고학에도 혁명이다.
반응형
'문화재현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01 독일풍경] (10)베를린 ④ 더딘 걸음...from 장남원 (2) | 2024.02.24 |
---|---|
[국내 박물관 현황과 연혁] 예천박물관 (1) | 2024.02.23 |
구글어스를 변형한 개성 만월대 (2) | 2024.02.19 |
근심 잊기 - 망우忘憂 (2) | 2024.02.19 |
구글어스로 탐험하는 개성 만월대 (3) | 2024.0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