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라 이야기: 신동훈 & 김태식/1-슈겐도와 일본 미라 이야기36 [슈겐도와 일본 미라 이야기] (22): 신불습합과 슈겐도 신불습합이라 하니 어마어마해 보이지만 사실 아무 것도 아니다. 우리나라도 절에는 도교 전통에서 유래하는 칠성각이나 산신각이 있다.정통불교에서 다루지 않는 신앙의 대상이 불교에 포섭되어 숭배된다면 그것도 일종의 신불습합이라 볼 수 있겠다.그리스도교가 전래된 유럽에서도 기독교 전래 행사에 전래 이전의 풍습이 포섭된 흔적을 볼 수 있는데예를 들어 크리스마스의 기원은 예수탄생보다 훨씬 그 기원이 거슬러 올라가는, 이교도적인 그 무엇이 모습을 바꾼 것이라는 주장-. 이것도 유럽판 신불습합이라 할 수 있겠다. 일본사에서 백제로부터 불교가 전래된 초기,불교를 믿을 것인가 말것인가 하는데 대한 논의에서소가씨가 불교의 수용을 권한 데 반해 불교를 배척한 物部씨와 中臣씨는일본에는 고유한 수많은 신이 있는데 외국의 신을 숭.. 2025. 1. 26. [슈겐도와 일본 미라 이야기] (21): 즉신불을 슈겐도 이야기로 풀어간 까닭 일본에 가 보면 즉신불은 대개 밀교진언종 사찰에 모셔져 있다. 사실 밀교진언종 자체에 즉신불이 확고한 교리로 포함되어 있는 것은 아닌 듯하다. 밀교진언종은 개창자인 구카이 당대에 즉신불 비스무리한 이야기가 잠깐 나올 뿐에도시대까지 진언종에서 즉신성불을 목표로 수행했다는 뚜렷한 증거가 없는 듯 하기 때문이다. 한편 슈겐도의 경우-. 그 기원은 명확히 불교와는 무관한 자연숭배의 원시적 종교에서 발전해 나온 것이 분명한데이 슈겐도는 수련의 최종 목적을 즉신성불에 두고 있다. 따라서 일본의 즉신불은-. 슈겐도의 전통에 따라 즉신성불 수행을 하여 만들어진 즉신불이 밀교진언종 사찰에 모셔지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즉신불이 한 쪽 다리는 슈겐도에 두고또 다른 다리는 불교 진언종에 두고 있는 것-. 이는 바로 일본 특.. 2025. 1. 25. [슈겐도와 일본 미라 이야기] (번외 6): 일본 밀교진언종의 개조 구카이[공해空海, 774~835] 아래는 이전에 필자가 구카이에 대한 쓴 글로 슈겐도 이야기의 번외로 고쳐 싣는다. *** 일본에서 밀교진언종 쿠카이空海는 굉장히 유명하다. 우리의 원효나 의상 정도 되는 무게가 있다. 일본 불교계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밀교진언종의 사실상 개조이기 때문에그가 처음 일본에 밀교를 들여와 이식한 과정은 굉장히 잘 알려져 있다. 일본 측 설명에 의하면, 그는 중국밀교의 정통을 이은 혜과의 사랑받는 제자로그가 죽었을 때 구카이는 친히 스승 혜과를 기리는 비문을 짓기도 했다는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사실 일본측 주장이 과장된 측면이 많다. 역사 기록을 보면 당나라로 건너간 구카이는 고생고생하다가마침내 목적한 혜과를 만난지 반년만에 혜과恵果가 죽어버렸다.따라서 쿠가이가 과연 어느 정도로 비중있는 혜과의 제.. 2025. 1. 25. [슈겐도와 일본 미라 이야기] (20): 즉신불 기원 일본의 전승에 의하면 그 나라최초의 즉신불은 구카이空海라 한다. 구카이는 일본의 밀교진언종 홍법대사를 말한다. 당나라 유학에서 밀교를 배워 온 구카이는 고야산高野山에서 입적했는데 구카이가 세운 일본진언밀교에서는 즉신성불이란 곧 육신을 가진 그대로 우주와 일체가 되는 것을 말한다.따라서 구카이는 그가 입적한 고야산 高野山 영묘霊廟에서 가부좌를 튼채 명상의 수련을 지금도 계속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믿거나 말거나의 전승은 구카이가 사후 다비식을 치루었다는 역사기록을 볼 때전혀 전설에 불과하다는 것이 학계의 결론이지만죽은 후 시신이 사멸하지 않고 아직도 수련을 계속하고 있다는 이러한 전승이야말로즉신불 성립의 사상적 배경이 되는 것으로 생각한다. 구카이의 즉신불 전승이 그가 중국에서 받아온 밀교 전통과.. 2025. 1. 25. [슈겐도와 일본 미라 이야기] (19): 미라와 영생불멸 흔히 미라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미라가 만들어지는 동기를 영생불멸을 꿈꾸는 인간의 욕망 때문으로 풀이하는 경우를 본다. 예를 들어 이집트 미라의 경우, 죽은후에 사후세계를 준비하는 영생불멸의 희구. 이러한 욕망이 죽은 후 미라로 탈바꿈하는 결과를 낳았다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 필자도 나름 세계각지 미라에 대한 연구를 20년이 넘게 해온 결과를 가지고 이야기하자면, 미라라는 것은 이러한 개인적, 이기적 동기로만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말하고 싶다. 미라가 만들어지는 이유는 수도 없다. 인공적으로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고,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으며 자연적이라고 해도 아주 추운 곳에 있어 시신이 썩지 않거나 너무 건조하거나아니면 우리나라 조선시대 미라처럼 특수한 구조의 무덤 안에서 우연하.. 2025. 1. 25. [슈겐도와 일본 미라 이야기] (18): 수백년에 걸친 즉신성불卽身成佛의 꿈 슈겐도修験道 성자의 즉신불卽身佛을 처음 보는 사람은 경외심 보다는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고 본다. 그도 당연할 것이 시신을 미라화해서 거기에 가사를 입혀 놓고 전시해 놓은 후 경배하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좋은 감정이 생기기가 힘들 것이다. 그런데 슈겐도 즉신불의 경우사진으로 대면하는 경우와 직접 즉신불이 모셔진 사찰을 방문하여 배견하는 경우상당한 차이가 있었다는 점을 이야기 하고 싶다. 앞에서 이야기한 즉신불 사찰 혼묘지本明寺 외에 필자가 직접 방문한 다이니치보大日坊라는 절도 그렇다. 이 절은 정식 이름이 瀧水寺大日坊으로도쿠가와 막부 3대장군 이에미쓰徳川家光[1604~1651, 재위 1623~ 1651)의 유모 가쓰카노 쓰보네 (春日局)의 기진을 받아 그 권위를 더했었다고 한다. 이 절이 지금 유.. 2025. 1. 25.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