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일 : 2021년 5월 1일(토)
날 씨 : 흐림, 때때로 비
장 소 : 보은 삼년산성
기 분 : 뿌듯해요
충청북도 보은군에 있는 삼년산성(三年山城)에 다녀왔다.
삼년산성~~삼년산성~~ 이름은 많이 들어 봤는데, 내가 여기를 다녀 올 줄이야?!
『三國史記』 에는 성을 쌓는데 3년이 걸려 '삼년산성(三年山城)'이라 부른다 기록되어 있고, 『세종실록지리지』충청도/청주목/보은현에는 '오항산석성(烏項山石成)'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 · 『충청도읍지』에는 '오정산성(鳥頂山城)'으로 기록되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vHDll/btq3WmsckR3/aLvHa2T16aWepf7fcYnT4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mmoHl/btq3TKOpXEm/0k91y9SBTRgRSJBTpYKty0/img.jpg)
【답사코스】 1.8km
1번(서문지)-3번(아미지)-4번(암각자)--->
11번(서북치성)--->6번(보은사, 화장실)--->
10번(북동치성) ---> 9번(동문지) --->
8번(남동치성)--->7번(남문지)
【소요시간】
2시간 30분
(천천히 걷고, 이야기 듣고, 사진 찍고, 열심히 보느라)
산성 한 바퀴를 도는 동안 날이 맑았다, 추웠다, 비가 내렸다, 그쳤다를 반복했다.
![](https://blog.kakaocdn.net/dn/cjgNgK/btq3UcX8hO0/lOxnSI6Gi3JvbEbDw4B9F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I5th2/btq3TbFFvbL/eZHsgKtrUhmkzA4wLCvVB0/img.jpg)
왜 삼년산성을 쌓았을까?
삼년산성은 신라가 삼국통일의 전초기지로 쓰려고 심혈을 기울여 축조한 요새였다. 자비 마립간 13년(470)에 완공했는데, 성을 쌓는 데 화강암 약 1천만 개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5세기 한반도는 백제와 신라가 연합해 고구려의 남진을 저지하던 시대였고, 그래서 견고한 성이 필요했기에 산성을 축조했다고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n03pP/btq3YTW6zkV/mouLuvfdpObg3TlxpEU4u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XhL3/btq3UtFuU75/KwmrUK128j0C5HliVNyom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fuPud/btq3TKVgwXZ/TrjstFKdyW7g4r1J1IDEH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hnFfc/btq3Ts8cJW4/mcRRxFrcCeTuM9wvGNlGU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24U0m/btq3TbFFuqH/F79QKpqkSlVp0wBUWAdXG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Wn98H/btq3VhRX3m5/H6zgE5LimF0pulyyjcqKP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DjfQP/btq3VhdxX2z/3NbwheKRDUYEeE4pKKDUc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VwdSo/btq3UtyKA74/EAc3EWYkQ4qwaj2chAwSH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s2Ehy/btq3TateUSM/SnR9z8Ij8qZkXtI3OPP1l1/img.jpg)
성벽의 경사도가 거의 80도(?) 정도 되어보인다. 경사도가 크고, 성벽도 높아 보고 있으면 아찔하다.
와 정말 어찌 저렇게 성을 쌓았을까.
납작돌들이 촘촘히 쌓여있는데, 보면 앞면을 맞춰 쌓아 면에 매끈매끈하다. 갈코리 같은것도 하나 걸릴 것 같지 않아 숨이 턱 막힌다.
![](https://blog.kakaocdn.net/dn/cp7TJl/btq3XtxBMlr/iMKOZ5vqWbK5NeT5MXhNt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BsR7Q/btq3TsAv4xU/7Ap7cHKN79zfzWp1ljbt2K/img.jpg)
중요한 물구멍!
역시 어딜가나 건물에서는 물빠짐이 가장 중요하다.
만약에 산성안에 물이 빠지지 않고 고인다면?
당연히 물이 고여 지반이 약해지고, 성이 무너지겠지?
또 고인 물이 한겨울 액체가 얼으면서 팽창해(초등3 과학에 나와요), 성이 무너지겠지?
이래저래 물은 잘 빼내줘야 한다.
아래 사진은 동쪽 성벽을 관총하는 수구이다.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르기때문에 당연히경사지게 만들었고, 속 안을 보면 경사에 턱을 주어 만들었다. 턱을 준 이유는 혹시 저 구멍을 통해 적이나(몸집이 정말 작아야 할듯?) 들짐승이 들어 올 것을 대비해서라 한다. 턱이 있어 몸이 걸리기 때문에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뱀 같은 연체 동물만 통과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2wSIA/btq3VgMhJ7w/3IKBHleObrVKMG3Mqa8VRk/img.jpg)
구멍 모양이 오각형이다.
사각형으로 만들기가 훨씬 시웠을 텐데, 오각형이다.
이 모양에도 과학의 원리가 숨어있는데, 이렇게 구멍을 오각형으로 만들면 빈공간(삼각형)이 생겨 공기압때문에 물이 더 잘 빠져나간다고 한다. (오...그렇군)
![](https://blog.kakaocdn.net/dn/bGASqy/btq3TMejtT1/ErC46bwVJX5kKDUxltarok/img.jpg)
갑자기 저 수구가 낙엽에 의해 뭐 여러가지 이유에 의해 막혀 수구 앞쪽이 물이 고여 난리 난 상황이 그려졌다. 물이 고이고 또 물을 빼고도 한동안은 질퍽질퍽 진흙탕일 것 같은 아수라장 상황.
“야!!!! 수구 막혔다! 저기 뚫어야 하는데 마땅한 거좀 가져와봐!!”
“넵!!”
“야 장난하냐? 너는 호미를 가져오면 쓰것냐?? 너가 해볼래?? 확 진짜!!”
![](https://blog.kakaocdn.net/dn/MN76A/btq3TstLj5y/1azfLyuKIVp0HC2hz9rRRK/img.jpg)
고분군
삼년산성과 양성산성 주변 고분군은 신라가 5세기 후반부터 6세기경 추풍령로와 계립령 西路를 이용해 금강 상류지역을 거점 영역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와 관련된 된 기록이 『三國史記』 新羅本紀에서 확인된다. 자비마립간대부터 소지마립간대의 축성기사를 통해 선산-상주(도나성, 답달성)지역을 기점으로 소백산맥을 넘어 충북 영동(광석성, 좌라성)-옥천(구례성, 사시성, 굴산성)-보은(삼년산성)-청주(前 청원 ; 일모성) 일대에 산성을 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Qmvga/btq3YTJKV1C/oNkfkcXucNaqBFEzxRAZk1/img.jpg)
또한 소지마립간대 483년과 488년에 두 차례에 걸쳐 일선군에 순행한 사실이 이 지역의 중요성을 엿 볼 수 있고, 『三國史記』 地理志에 일찍부터 三年山郡(보은) · 古尸山郡(옥천) · 屈山縣(청산) · 吉同郡(영동) · 召羅縣(황간) 등이 모두 신라의 영역으로 기재되어 있는 점이 확인된다.
![](https://blog.kakaocdn.net/dn/bIkMxo/btq3XsFrH6R/9MeWA4beY0AdAgsQCYuUC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YZzp/btq3TMejudh/nyH4Yb2vvrzjyeWFnMK4e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oyf3v/btq3XsTb7eY/VZAyrDMY9hXcVf9tiLKGLk/img.jpg)
오래 보아야 보인다?
산성 유적은 나한테 생소한 분야이고, 솔직히 내 관심선 밖의 문화유적이었다. ‘그 시대에 이렇게 높은 성을 쌓았구나.’ ‘힘들었겠다...’ 정도?
너무할 정도로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역시 많이 보고, 관심가져야 조금씩 보이는 것 같다. 이제 나는 산성에 대해 아주 조금씩 관심의 싹이 움틀움틀 트고 있다. 산성초보자!
역시 나한테는 ‘어떻게 쌓았는지’ 보다도 ‘산성을 왜 쌓았는지’, ‘그래서 이 산성을 그 시대에는 어떻게 활용했는지’가 더 관심사항이긴 하다. 하지만 이런 이야기를 이해하고 또 나만의 이야기로 풀으려면 아직도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 지금은 정직하게 발굴 보고서 보고 현장에서 직접보고 확인하고, 기초를 다지고 있다.
여러분들에게 산성으로 이런 발굴보고서 내용들과 그 외 것들을 잘 녹여(?) 나만의 문화유적 이야기를 들려드릴 날을 꿈꿔본다.
![](https://blog.kakaocdn.net/dn/dupBYj/btq3UbE5hzx/yyaob8ytpK2ihZzs0p1SBK/img.jpg)
***
충북 보은군 보은읍 성주1길 104 (보은읍 어암리)
보은삼년산성
충북 보은군 보은읍 성주1길 104
map.kakao.com
보은 삼년산성(報恩 三年山城)
- 사적 235호(지정일 : 1973. 5. 25)
- 명칭변경 2011.7.28.(삼년산성 →보은삼년산성)
- 소재지 : 보은군 보은읍 성주1길 104(어암리)
- 규 모 : 약 1.8km
- 시 대 : 삼국시대(신라)
**참고자료
● 충청북도 · 한국성곽학회, 2007, 『韓國 中部內陸圈 山城郡의 基礎資料 調査報告書』
● 충청북도, 2008, 『한반도 중부 내륙지역 산성 Ⅰ 삼년산성』
'여송은의 뮤지엄톡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성 공룡알 화석산지, 자체가 뮤지엄! (0) | 2021.05.03 |
---|---|
지쳐 제대로 보지 못한 양성산성(壤城山城) (0) | 2021.05.02 |
양성산성 조사 보고서 (0) | 2021.04.29 |
저도 10만 찍은 영상이 있습니다만... (0) | 2021.04.25 |
(예고편) 화성 공룡알 화석산지 리뷰 (0) | 2021.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