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 SNS에 양성산성(壤城山城)관련 자료를 어떻게 구할 수 있는지 포스팅을 했었다. 감사하게도 많은 선생님들께서 도움을 주셔 충북대학교 박물관에 있다는 걸 알게 되었고(등잔 밑이 어둡다), 나는 바로 박물관으로 전화를 따르릉 했다.
![](https://blog.kakaocdn.net/dn/Fio96/btq3KRzOFzq/NySG2HCrPVb2chLGgKuW30/img.jpg)
아주 친절한 선생님이 전화를 받으셨고, 감사하게도 이렇게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더구나 복권이라 가져도 된다 길래 ‘감사합니다!’ 하고 넙죽 받았다.
다시 한번 정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혹시 여송씨가 산성(山城)으로 논문을 쓰나 궁금하실 수도 있겠지만, 아니다. (너무 딱 잘라 이야기하나? 그래 내가 한 번 써 볼수도 있지. 산성 역사가 아니라 완전 다른 방향으로.ㅋㅋㅋ) 여하튼 양성산성 답사가 있어 궁금하여 찾아 보았던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kAyCn/btq3PBh1KP3/3XD5UNr7f7EvKLIbBC4HsK/img.jpg)
내가 이런 책을 보게 될 줄은 몰랐지만, 뭐 이렇게 또 배우고 공부하는 거니 즐겁다.
![](https://blog.kakaocdn.net/dn/rI30E/btq3I5FA1Q9/OYSgqaMDaA6kOynbHEkTt0/img.jpg)
제목이 청원 양성산성이다.
2001년 보고서 발간 당시 양성산성이 속한 행정지명이 청원군(淸原郡)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2002년 8월 16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 125호 ‘청원 양성산성’으로 지정되었다가 2014년 7월 1일 청주시로 통합되면서 ‘청주 양성산성’으로 명칭이 변경 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ca76np/btq3OOu7LG7/AOXwfHeMWJGY7KVkala5a0/img.jpg)
당시 조사에 참여했던 조사단원들 이름이 보인다.
혹시 잘 알고 계시거나 낯익은 분이 계시는지 궁금하다. 송구스럽지만 나는 한 분 밖에 모르겠다.
하지만 이 분들께서 2001년에 더위 참아가며 추위 참아가며 조사해 주신 덕분에 2021년에 나는 편하게 이렇게 책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감사의 말씀 드린다.
감사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CHJJ/btq3KePBpGf/aQImSLhk47PzIFildYxikk/img.jpg)
이번주 토요일 가려고 하는데, 또 비가 온다고 한다.
저번 이성산성 올라갔을 때도 비가 왔건만... 그러고 보니 그 전전 청주 상당산성 갔을 때도 비가...
이번에도 우중 답사가 되겠구만.
잘 다녀오겠습니다!
***청주 양성산성 설명과 사진은 문화재청 문화유산 검색에 나와있는 것으로 대신하겠다***
청주 양성산성(淸州 壤城山城)
문화재 지정 : 충청북도 기념물 제 125호(2002.8.16.)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미천리 44-13
시대 : 삼국시대
청원군 문의면 미천리 마을 서쪽에 있는 해발 292m의 양성산 정상부를 둘러싸고 흙과 돌을 섞어 쌓은 산성이다. 삼국시대 축조된 산성으로 후삼국시대까지 치열한 격전장소로 군사적·행정적 중심지 역할을 했던 산성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keDAx/btq3N6bQx3t/igMOdfXbDu7G4DkkXKeVW1/img.jpg)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자비마립간 17년(474)에 일모(一牟), 사시(沙尸), 답달(沓達), 광석(廣石) 등 성을 쌓았다는 기록과 고려 태조 8년(925)에 정서대장군 유금필(庾금弼)을 파견하여 후백제의 연산진을 공격하여 장군 길환(吉奐)을 죽였으며 태조 15년(932)에는 왕이 이 곳에 와서 전투를 벌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고 조선시대 지리지에도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VdEOU/btq3KeWm5r9/xjx41d0UcBvrFXCmeJTENk/img.jpg)
돌로 쌓아 만든 성벽은 평면형태가 불규칙하여 빗자루 모양 또는 주걱 모양이다. 높은 위치의 부분이 대체로 네모꼴이고 낮은 위치의 능선을 길다랗게 감싸고 있으며, 성의 전체 둘레는 약 985m이다. 성벽 안쪽으로 성안을 돌아가는 내환도(內環道)가 있으며, 성벽은 여러 부분에서 각기 상이한 축조 양상을 보이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piQ5A/btq3KQ8QcZE/d2nfBsTmVIduZMJFGY3iu1/img.jpg)
현재 남아 있는 상태로 보아 돌로 쌓은 성벽, 곡성(曲城), 문터, 수구(水口), 큰 못, 차단벽, 그리고 크고 작은 건물터가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yD3r4/btq3N6JAPdU/I560ADdZ3LDC3lMSEth9O1/img.jpg)
삼국시대 축조된 산성으로 그 당시 성곽과 성문터 등이 남아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성안 둥근 연못과 수구가 잘 남아 있어 학술상 중요한 산성이다.
'여송은의 뮤지엄톡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쳐 제대로 보지 못한 양성산성(壤城山城) (0) | 2021.05.02 |
---|---|
보은 삼년산성(報恩 三年山城) (0) | 2021.05.01 |
저도 10만 찍은 영상이 있습니다만... (0) | 2021.04.25 |
(예고편) 화성 공룡알 화석산지 리뷰 (0) | 2021.04.24 |
[뮤지엄톡톡] 전곡선사박물관에 동굴벽화가 있다? (0) | 2021.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