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서희12

[제1차 고려거란전쟁] (9) 죽지 마라 기도하는 성종 성종이 어떤 일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해주海州로 행차한 일이 있다. 이때도 서희가 호종했으니 그에서 성종이 서희가 머무르는 막사로 들어가서 한 잔 빨자 한 일이 있다. 하지만 서희는 한사코 임금을 막아선다. “신하의 막사는 임금이 머무를 곳이 못됩니다”라는 논리였다. 또 임금이 한 잔 따라 주려 하니 이것도 막는다. 법도에 맞지 않다는 뜻에서다. 이에 할 수 없이 성종은 막사 밖에 앉아 어주御酒를 내오게 하여 함께 마시는 일로 타협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 보아 서희는 확실히 꼰대다. 그냥 넘겨도 될 일도 그리하지 않았으니 말이다. 또 그 무렵에 공빈령供賓令이라는 직책에 있던 정우현鄭又玄이 봉사를 올려 당시 정치에 관한 7가지 일을 논한 일이 있었는데, 임금이 기분 나쁜 내용이 꽤 들어있었던 듯하다... 2024. 3. 2.
[제1차 고려거란전쟁] (8) 낙타 10마리, 양 천 마리를 끌고 귀환한 서희 제1차 고려거란전쟁에서 결코 지울 수 없는 서희지만 세월의 무게를 이길 수는 없었다. 그의 절대하는 후견인 성종을 먼저 보낸 서희 역시 목종穆宗 1년, 998년 음력 7월에 죽으니 향년 쉰일곱이었다. 그 시대로는 그런대로 장수한 편이지만, 후배 강감찬이 83세인가 살다 간 것을 보면 너무 일찍 갔다. 그는 70세가 되지 않았으므로 죽을 때 현직이었다. 태보太保이자 내사령內史令이었다. 아버지 역시 한가락한 재상 서필徐弼이라, 이런 금수저 집안 자식으로 18세에 갑과甲科 장원급제한 힘 중 하나가 이것이 백 아닐까 하는데 아무튼 그는 승승장구했고 전쟁영웅이었다. 성종이 서경西京에 행차했을 때 영명사永明寺로 몰래 빠져나가 바람 좀 쐬자했다가 서희한테 개쫑크 당한 일도 있고 계사년993 전쟁 때는 앞서 봤듯이 국.. 2024. 3. 2.
[제1차 고려거란전쟁] (7) 宋은 헌신짝처럼 버리고 거란에는 혼인까지 청하는 고려 나는 앞서 실리외교? 이딴 말 함부로 하지 말라 했다. 모든 국제관계 외교관계는 실리를 추구한다. 고려가 실리외교를 추구했다? 지나가던 소가 웃을 일이다. 하나마나한 소리인 까닭이다. 고려가 송과 거란 사이에서 실리를 추구한다? 보자 이 관계가 어찌 되는지. 정식 국교를 성립하고, 거란을 종주국으로 섬기기로 한 고려는 후속 조치에 착수한다. 이를 위해 위선 전쟁이 있은 이듬해인 994년 4월에는 시중侍中 박양유朴良柔가 표表를 들고서는 거란으로 가서 정삭正朔을 시행하였음을 아뢰고, 사로잡아 간 백성들을 돌려달라고 간청한다. 정삭이란 간단히 말해 우리 이제부터 거란의 시간을 쓰기로 했다는 말이다. 외교는 항상 주는 것이 있음 받아내야 한다. 이 경우에도 고려는 그 반대급부를 잊지 않았다. 포로로 잡아간 우리.. 2024. 3. 2.
[1차 고려거란전쟁] (6) 압록강이 경계로 확정되고 담판 결과에 따라 이제 고려 거란은 새로운 관계에 접어들었다. 그 이전 고려는 명목상 종주국을 宋을 삼았지만, 협약에 따라 이제 종주국을 거란으로 바꿔야 했다. 대신 고려는 여진이 점거한 청청강~압록강 유역 땅을 할양받았다. 두 군대가 철군한지 몇 달이 지난 고려 성종成宗 13년 2월, 거란에서는 저번 특사 겸 고려정벌군 총사령관 소손녕蕭遜寧 명의로 고려 조정으로 편지 한 통을 날린다. “근래에 황제의 명[宣命]을 받들기를, ‘다만 고려 신의와 호의로써 일찍부터 통교通交하였을 뿐 아니라 국토도 서로 맞닿아있노라. 비록 작은 나라로써 큰 나라를 섬기는 데에 반드시 규범과 의례가 있어야 하는 것이지만 시작을 잘 궁구하여 마지막을 잘 맺는[原始要終] 길은 모름지기 〈우호관계를〉 오래도록 유지하는 데에 있다 하.. 2024. 3. 2.
[1차 고려거란전쟁] (4) 버선발로 뛰어나가 서희를 맞은 성종 일단 한 번 붙어나 보고 강화를 하건 땅뙈기를 떼어주건 하자는 서희의 제안에 순식간에 조정 여론이 바뀌었으니, 민관어사民官御事를 지낸 이지백李知白 또한 서희에 합류해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다만 시간이 좀 걸린 까닭에 이몽전이 돌아갔으니 뭔가 고려 측 움직임을 보고 다음 타켓을 정하고자 한 소손녕은 더는 참을 수 없어 안융진安戎鎭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 중랑장中郞將인 대도수大道秀와 낭장郞將인 유방庾方을 앞세운 고려군이 거란을 격퇴한 것이다. 중랑장 대도수는 대씨라는 성으로 보아 볼짝없이 발해에서 넘어온 사람이다. 이리 되자 외려 겁을 먹은 쪽은 소손녕이었다. 고려 땅에 들어와 처음으로 공략한 안융진에서 패했으니, 조급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런 때 마침 고려 쪽에서 반응.. 2024. 3. 1.
[1차 고려거란전쟁] (3) 거란의 고려 공포증을 간파한 서희 소손녕을 만난 이몽전이 귀환할 때 성종은 서경에 머문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그 회견 내용을 두고 어떤 이가 말하기를 “어가御駕는 개경開京의 궁궐로 돌아가고, 중신重臣으로 하여금 군사들을 거느리고 가서 항복을 청하게 하십시오.”라는 의견이 나온 데서 엿볼 수 있다. 아무튼 저런 안을 비롯해 어떤 방식으로 거란을 달래느냐 하는 중차대한 문제를 두고 조정 의견은 갈라졌다. 개중에서도 “서경 이북 땅을 나누어서 저들에게 주고, 황주黃州에서부터 절령岊嶺까지 잇는 선을 국경으로 삼음이 옳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한데 중론은 결국 저 땅뙈기를 떼어주자는 쪽으로 결정되고 말았다. 이는 그만큼 고려로서는 급박했다는 뜻인 동시에 애초 거란 침입을 개무시하면서 그에 대한 대비를 전혀 하지 못한 혹독한 대가였다. 일단.. 2024. 3.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