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장실9 부여 능산리 절터의 백제 똥통 부여 능산리 사지 이 백제시대 목교가 다리껄이 아니라 실은 수세식 똥통이라고 배병선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장이 말한다. 그 말 듣고는 현장 확인차 그제 하루 휴가를 낸 김에 들렀다. 감상은? 똥통 맞다. (2015. 8. 6) *** 이상과 같은 페이스북 포스팅에 아래와 같은 댓글들이 있었다. 음미할 대목이 많아 전재한다. (노기환) 형태와 장소를 생각하면 그렇다면! 생각해봐야하는 유적이, 유구가 있을 듯! (김태식) 유감스럽게도 저걸 발굴했을 땐 기생충 검사를 하지 못했다. 현장을 안내한 부여문화재센터 심상육 부장에 의하면 저와 흡사한 목구조 시설이 부여 관북리에도 발견됐다 한다. 본인이 조사한 유적으로 능산리와 차이는 그곳엔 판재를 대고 뒤쪽엔 흙채움을 한 점이라 한다. 관북리는 추가 조사를 위해 유구는.. 2020. 8. 6. 서각을 푸는 사람들 일전에 내 고향 김천에선 똥을 푸는 일을 '서각을 펀다[혹은 푼다]' 하면서, '서각'이 도대체 무어냐 물었더니 모두가 꿀먹은 벙어리였다. 내 고향에선 뒷간을 가리키는 명사로는 '통시'가 압도적이었으니, 그럼에도 이 통시에서 똥오줌을 퍼 내는 일을 희한하게도 '서각을 펀다'라고 했으니, 이 경우 '펀다' 혹은 '푼다'라는 말이 액체를 바케스 같은 기구를 이용해서 퍼 올리는 일임은 의심할 나위가 없거니와, 통시에서 이 일을 할 때 도구는 딱 두 가지가 필요한데 하나는 '똥장군'이요, 다른 하나나는 '똥바가지'였다. 이 일이 우리 집에서는 말할 것도 없이 선친 몫이었거니와, 이 똥장군 생김새는 다시 말할 나위가 없겠고, 똥바가지로 퍼서 똥장군에 넣은 다음에, 그 주둥이는 대체로 짚풀로 막아서는 그걸 지게에 .. 2019. 12. 10. 덴마크에서 발견된 천년전 바이킹 화장실 http://www.histecho.com/1000-year-old-viking-toilet-uncovered-in-denmark/ 덴마크 Stevns라는 곳에 위치한 바이킹 거주지(a Viking settlement)에서 덴마크에서는 가장 오래됐을 가능성이 있는 화장실용 2미터 깊이 구덩이가 발견됐다. 이 구덩이는 그 문화층 시료를 방사성탄소연대한 측정 결과 바이킹 시대에 속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건 전적으로 우연에 의한 발견입니다. 우리가 기대한 건 수혈주거지(pit houses), 다시 말해 반지하식 작업장 움막(semi-subterrenean workshop huts)이었는데 지표에서 (처음 그 흔적을 찾았을 때는) 진짜 그런 줄로 알았죠. 하지만 이내 그와는 전연 다른 것임을 알았죠”라고 덴.. 2019. 2. 11.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