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1465

철솥의 진화: 쇠뚜껑은 언제 출현했나 최근까지 발굴 보고된 것을 보면 우리나라 철솥은 초기에는 쇠뚜껑이 없었던 것 같다. 우선 가장 이른 시기 철솥은 토기로 밥을 쪄먹던 시대의 물끓이는 아래쪽 토기의 역할을 했다고 보이고, 이런 예가 아차산보루에서 나온 위는 토기 시루 아래는 쇠솥의 조합이 아닐까 한다. 이런 것이 어느 시기부터인지 특정하기 어렵지만, 밥을 쪄먹는 것이 아니라 직접 끓는 물로 취사하는 방식의 지금과 같은 밥짓기가 탄생했다고 보이는데 이런 밥짓기가 나온다 하더라도 아마 처음에는 쇠솥의 뚜껑은 나무뚜껑이었지 싶다. 필자가 어렸을 때만 해도 쇠솥의 뚜껑을 나무로 한 경우가 많았다. 이것이 어느시기부터인지 쇠뚜껑이 나올 텐데 필자 생각에는 이 쇠솥의 쇠뚜껑이 나오기 시작하는 시기를 특정하는 것 역시 쇠솥이 출현하는 시기 못지 않게 .. 2024. 1. 25.
대장경, 경판은 왜 만들었고 몇 부나 찍었을까? 한국의 금속활자는 다들 아시겠지만 소량 다품종 도구다. 대량생산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따라서 한번 판을 짜면 한 백부나 찍었을까. 20-30부 찍고 판을 깨버리는 경우도 부지기수였던 듯 하다. 요즘으로 치면 복사기보다 조금 더 찍는 정도 아니었을까 싶다. 이렇게 해야 되는 이유는 간단하다. 수요가 그 정도였기 떄문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더 많은 인쇄가 필요한 경우는 알다시피 목판을 찍었을 테고. 항상 드는 의문은 대장경판목-. 초조대장경부터 재조대장경까지 판목수가 정말 수십만 장인데 이거 판각한 후 과연 몇 질이나 인쇄했을까. 지금 남아 있는 팔만대장경. 조판 후 지금까지 몇 부나 찍었을까. 왜 이런 생각이 드는고 하면 팔만대장경 전체를 과연 몇 번이나 인쇄했을까 싶어서다. 그만한 종이와 먹이 .. 2024. 1. 25.
한국 출판문화의 세계화 우리나라 출판계- 지금 같은 시스템으로는 한국 내에서 출판하여 국제적으로 책 팔아 먹기는 참 요원하다는 생각을 한다. 그러고 보면 천년 전에 목판 수십 만 장을 파서 대장경 수천 권을 사방에 뿌려댄 우리 조상들도 참 대단한 사람들이다. 그 양반들이 요즘보다 낫다는 생각을 한다. 한국출판물은 한반도 남쪽 절반 바깥으로는 단 한 발자국도 못 나가고 있는데 말이다. 2024. 1. 25.
절풍折風과 에보시烏帽子 일본사를 보다 보면 저건 한반도에서 간 것 같은데? 싶은데도 수백년이 사이가 비어 있는 경우를 꽤 여러 번 본다. 대표적인 것이 절풍과 에보시. 필자가 보기엔 일본의 에보시는 어떤 방식이건 한반도 삼국시대 절풍 영향을 받은 복식이다. 에보시는 전국시대에도 성인식 후 착용했고 무가에서도 매우 폭넓게 이용하던 관이다. 그런데 한반도에서는 삼국시대에 고구려, 백제, 신라의 상류층에는 이 에보시와 거의 비슷한 관을 쓰고 있고 이를 고구려에서는 절풍, 신라나 백제에서도 유사한 관을 쓰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양자를 연결시키려 보면 막상 수백 년 공백이라면 공백이 있다는 것이 문제겠다. 또 다른 예. 일본불교에는 전수염불專修念佛, 염불을 죽도록 암기하여 성불하자는 교리의 불교들이 꽤 있다. 그런데 .. 2024. 1. 24.
정조는 근대적 존재인가 항상 그것이 의문이었다. 정조는 근대적 인물인가. 정조의 주장은 당시 집권 서인의 사유의 대척점에 있는가. 나는 아니라고 본다. 정조는 같은 이야기를 사대부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군왕의 입장에서 한 것 뿐이다. 같은 소리다 결국엔. 근대성을 함유한 정조가 반근대적인 신하들에 의해 살해되어 한국이 결국 근대화에 실패했다는 이야기는 그래서 공상이다. 둘 다 반동적이다. 다산? 근대성을 인정할 수 없다. 다산의 어디가 근대적이라는 것인가. 18세기 조선사는 바닥부터 다시 써야 한다. 2024. 1. 23.
자신의 연구를 정리하는 시기에 대하여 (2) 현장에 나타나 누가 물어보면 이거 저거라고 대답해주는 게 학술활동이면 나는 그런 학술활동은 100살까지도 할 수 있다. 1시간 강의를 내 연구 성과로만 해달라고 해도 그런 강의, 내가 죽을 때까지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이야기 하는 학자가 연구를 접어야 하는 시기라고 하는 건, 더 이상 생산적인 결론이 내가 생산한 1차 자료로 만들어지지 못하는 시기를 말한다. 다른 사람의 논문을 읽고 난 감상평으로 쓰는 종설을 말하는 것도 아니다. 내가 생산한 "1차 자료로 생산적인 결론이 나오지 못할 때", 그때가 학자가 자기 연구를 접는 시기다. 이걸 대개의 경우에 정신이 아직 온전해서 사람들이 물어보면 대답이나 해 주고 잡문이나 쓰는 것을 평생 연구한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은데, 그건 여가활동이지 .. 2024. 1.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