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단칠정이라는 것이 있다.
맹자에 처음 나온다.
이 중에 칠정은 우리 맘에 구비된 사단이 외물을 만날 때
이에 반응하여 움직이며 만들어지는 맘속의 감정이다.
喜怒哀樂愛惡慾으로 맹자에는 쓰고 있다.
나이가 들면서 느끼는 것은
이 칠정이 나이들며 남아 있는 정도가 다르다는 생각을 한다.
예를 들어 哀가 칠정 중 가장 오래 남아 있는 것 같다.
怒와 愛는 필자의 경우에는 빨리 증발하는 감정이다.
화가 나다가도 좀 지나면 잊어버린다.
愛도 비슷하여 확실히 젊은 시절의 愛와는 다르다고 느낀다.
제 삼자가 보면 인격이 원만해져
공자님이 말씀하신從心所欲不踰矩에 가까와졌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실상을 알고 보면 나이가 들면서 마음 속의 칠정이 말라버리는 것이다.
從心所欲不踰矩가 아니라 귀찮아서,
돌아서면 잊어버려서 감정도 증발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VgqLx/btsGfzuN7oX/WuhcxUrlkv9rbu5Al9Dqsk/img.jpg)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 60 이후의 인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대로라면) 끝내 이류로 그칠 한국 학계 (29) | 2024.04.12 |
---|---|
영감님들은 아침을 기다려야 (0) | 2024.04.01 |
육십 이후 계획의 함정 (0) | 2024.03.31 |
연구자의 마지막은 스토리로 장식해야 한다 (20) | 2024.03.23 |
인문학자 노후의 역작은 우연의 산물이 아니다 (19) | 2024.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