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의 귀환 쉽지 않은 아스테카 유물…"이동중 파손 우려"
2020-10-15 04:02
멕시코의 '목테수마 깃털 머리장식' 대여 요구에 오스트리아 난색
https://m.yna.co.kr/view/AKR20201015006000087?section=international/all
멕시코 귀환 쉽지 않은 아스테카 유물…"이동중 파손 우려" | 연합뉴스
멕시코 귀환 쉽지 않은 아스테카 유물…"이동중 파손 우려", 고미혜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10-15 04:02)
www.yna.co.kr
출신은 못 속인다. 우리 공장 멕시코시티 특파원 고미혜는 중남미 말고도 브라질 등 일부를 제외한 남미까지 담당하거니와 2008년이던가? 그때 숭례문이 홀라당 탈 적에 문화부에서 문화재 학술담당 2진으로 개고생했다. 1진은 당시 이란에서 탱자탱자 놀고 있었다.
문화부 출신인 까닭에, 또 배운 게 도둑질이라 해서 여타 특파보다 문화 관련 소식을 많이 전하는 편이라고 보는 데 그 까닭이 출신에서 말미암는다고 나대로 해석한다.
![](https://blog.kakaocdn.net/dn/90pv9/btqKTGKc3Zz/hNI0AZQw1tBG0DiDAIxhn0/img.jpg)
암튼 고 특파가 타전한 소식 중에 저가 있으니, 듣건대 2021년이 스페인의 에르난 코르테스가 아스테카를 정복한지 500주년, 멕시코가 독립선언한지 200주년, 그리고 현재 멕시코시티 자리에 테노치티틀란 이라는 도시가 들어선 지 700주년이 되는 뜻 깊은 해임을 고려해 오스트리아 빈 세계박물관이 소장한 아즈텍 관련 중요한 유물 대여를 요청했지만, 파손 우려를 들어 난색을 표시했다는 것이다.
문화재 업계에서는 빌려주기 싫을 적에 꼭 저런 핑계를 대곤 하는데, 이번에도 그 수법을 쓴 듯하다. 점유는 모든 권리에 우선하는 법이니깐 가진 놈이 장땡 아니겠는가?
![](https://blog.kakaocdn.net/dn/n82ER/btqKYl5W6Y0/MBHHgjMAfgSwaIapRMRkH1/img.jpg)
문제의 유물은 아스테카 제국 목테수마 황제라는 친구가 썼다고 전하나 근거는 확실치 않은 깃털 머리장식이라고. 멕시코로서는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까지 나서 대여전시를 요청했지만, 저런 식으로 쌩까였다고 한다.
고 특파 전언에 의하면 이 장식은 케찰을 비롯한 여러 새 깃털 400여 개를 꽂고 금 등으로 제작한 높이 116㎝, 너비 175㎝ 크기라는데, 전하기로는 1502∼1520년 아스테카 제국을 통치한 목테수마 황제가 썼단다.
![](https://blog.kakaocdn.net/dn/wcIXO/btqKZm4BMms/jWOon2KJtsu7nf9KiPqVdK/img.jpg)
멕시코는 내년 저와 같은 해를 맞아서 바티칸과 프랑스, 이탈리아 등지에 소장된 멕시코 관련 유물을 대여하거나 돌려받고 싶다고 했지만 일이 순조롭게 진행될 듯 하지는 않는다.
내친 김에 저 목테수마 깃털장식이라는 자료를 찾아봤다. 나는 본 적이 없어 내 감상을 논할 수는 없는 노릇이어니와, 이걸 영어로는 Moctezuma's headdress 정도로 표현하는 듯하거니와, 깃털장식 왕관 featherwork crown 이라는데 그 용도를 두고 논란이 많은 모양이다.
![](https://blog.kakaocdn.net/dn/deOj5F/btqKYnin5og/rKXwk73vAGEf1STxWLr9R0/img.jpg)
그걸 쓴 주인공으로 지목하는 이는 스페인에 의한 아즈텍 정복 당시 군주인 목테스마 2세 Moctezuma II 이어니와, 사진으로 판단하건대 케찰 quetzal 이라는 새와 다른 새 깃털을 결국 금판 혹은 금실로 짜서 만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는 오스트리아 수도 빈엔나 Vienna 에 소재하는 민족학박물관 the Museum of Ethnology 소장품으로 오스트리아와 멕시코는 2012년 그 복제를 계기로 반환 논란이 한바탕 벌어진 모양이다.
전체 모양은 반원형. 각기 다른 빛깔을 내는 새 깃털로 장식했다.
그 제작에는 Cotinga amabilis 라는 새의 파란 깃털을 필두로 Roseate spoonbill 깃털, quetzal 깃털, white-tipped red-brown 깃털, squirrel cuckoo의 깃털, Piaya cayana, 그리고 금판 밴드 세 개 등이란다.
중앙지점 quetzal 깃털은 상대적으로 돋을새김이라 한다.
이걸 착용하기 위한 가죽띠도 있는 모양이다.
용도는 논란이 적지 않다. 무엇보다 이 장식은 그림으로 남은 아즈텍 시대 그 상층부를 구성한 사람들 머리장식과는 다른 까닭이다. 19세기 말이 되어서야 Ferdinand von Hochstetter 라든가 Eduard Seler 같은 유럽 연구자들한테 관심을 끌었다.
![](https://blog.kakaocdn.net/dn/RCHYj/btqKXMbFxnG/JS9WSfzDklJLkTVlRkyFm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2JAb/btqKZnJeumj/CuP0c6KohJhLyI9LA8KfoK/img.jpg)
Ferdinand von Hochstetter 는 풀네임 Christian Gottlieb Ferdinand Ritter von Hochstetter로 열라 길어 숨이 넘어갈 듯한 독일-오스트리아 지리학도로 생몰년은 1829~1884년이다. Eduard Georg Seler (1849~1922) 는 독일 출신 인류학도이자 민족지 전문가, 그리고 언어학도이면서 epigrapher라고 한다. 특히 콜룸부스 이전 아메리카사회 연구에 일생을 바쳤단다.
이 깃털장식을 a quetzalapanecayotl 이라고 판정한 이는 멕시코계 미국 인류학자 Zelia Nuttall이다.
Zelia Nuttall...어찌 발음해야 할지도 모르겠으니, 전통적인 영어식이라면 질리아 너탤 정도가 아닐까 하는데, 찾아보니 이 분 1857년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나 1933년 4월 12일 타계한 인류학도로, 어머나, 엄청 깜찍 미모로 완연한 멕시코 풍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QKDh5/btqKROWxjH5/uniyg4Pd6WYlHsSOJBpp11/img.jpg)
요로코롬 생기신 분이라는데 부채춤을 추시려는가 보다. 암튼 이 양반 혈통이 그래서인지 아즈텍 문화에 집중적인 정력을 바친 모양이라, 그 일환으로 저 깃털장식도 주목한 듯 그가 그린 복원도? 혹은 묘사가 남았으니 다음과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dpcD4l/btqKXKLF7Eu/RXLKkr8cVI8I2y6NWG0Dm1/img.png)
이걸 보면 머리장식과는 거리가 먼 듯하고, 목도리장식이 타당한 듯하다.
복원은 1878년에야 이뤄졌으며 어떤 이는 머리 장식이 아니라 망토 mantle, 곧 목도리장식이라고 생각한다. 1575년 이래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Innsbruck 인접 암브라스 Ambras 라는 데 있는 페르디난트 대공大公 Archduke Ferdinand 컬렉션에 소속됐다.
![](https://blog.kakaocdn.net/dn/cBVxeA/btqKRO3jZAw/AXZUs9gesBFk280LEngo61/img.jpg)
19세기 초반에 다른 liturgical artifacts of Quetzalcoatl and Ehecatl 와 함께 현재의 민족학박물관에 기탁되었으니 소장번호는 10402VO이다.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약 밀매가 기승하는 힘은 무과세 비과세 무관세 비관세 (0) | 2020.10.16 |
---|---|
만킬로미터를 냅다 날았다는 godwit (0) | 2020.10.15 |
인천사람들이 겪은 6.25전쟁 (0) | 2020.10.14 |
"폴, 자네 노벨상 먹었어 Paul, You've Won The Nobel Prize" (0) | 2020.10.13 |
부소산성 기슭 사비기 초기 백제건물 (0) | 2020.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