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조선은 학자들이 현실 참여를 안해 망한 것이 아니다

by 초야잠필 2024. 9. 9.
반응형
해체신서

 
조선은 

소위 자칭 학자들이 현실참여를 안해 망한 것이 아니다. 

그 반대다. 

학자도 아니고 정치인도 아니고 관료도 아닌 

어느 쪽으로 봐도 함량미달인 지식인을 양산했던 것도 

17세기 이후 조선이라는 사회를 아마추어 수준에 머물게 한데 크게 공헌했다. 
 

스키타 겐파쿠杉田玄白(1733~1817)

 
일본 최초의 근대적 해부번역서 
해체신서解体新書를 쓴 스키타 겐파쿠杉田玄白(1733~1817)는 
그 책에서 이렇게 외쳤다. 
 
"이 책(해체신서)을 읽는 사람은 마땅히 그 면목을 고쳐야 한다. 옛 관습에 빠져 내장과 뼈에 대한 한의학 설과 차이가 나는 것을 보았으면서도 다만 의심할 뿐 망설였으니...결국 분명하게 알 수 없었기에 끝내는 지리멸렬하게 되었다....그런 까닭에 진실로 그 면목을 고치지 않는다면 그 방에 들어갈 수가 없는 것이다. 오호라! 사람들 중에는 유능한 사람도 있고 무능한 사람도 있는데, 나는 재주도 없으며 다른 기술도 없다. 오직 홀로 이 분야에 전념하여 밝힐 수 있었으니 진실로 옛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다....내가 비록 문사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이 책에서 잠시 그러한 뜻을 전달할 뿐이니, 독자 가운데 만약 이해하지 못한 것이 있다면 내가 살아 있는 동안 내게 질문하여도 좋다" 
 
스키타 겐파쿠와 그의 동료들은 네덜란드어 사전 한 권 없는 상태에서 네덜란드어로 기술된 해부학서를 번역해 냈다. 

그것이 해체신서다. 

이런 작업은 미치지 않으면 하지 못한다. 

이들은 한의학에서 출발한 의사였는데, 막부에서 사형수를 대상으로 시행한 부검에 참여했다가 

네덜란드어 해부학서에 있는 그림과 사실이 정확히 일치하는 것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 

그리고 바로 그 책을 번역하여 내놓은 것이 이 해체신서다. 

저자는 할 줄 아는 건 이것밖에 없고, 이 분야에 전념하여 밝힐 수 있었으니 누구에게도 부끄럽지 않다고 하였다. 

그리고 내가 살아 있는 동안에는 이 책 내용에 대해 내게 물어도 좋다고 하고 있다. 

학문을 보는 이러한 성실함, 이러한 담백함, 이러한 몰입을 배워야 한다. 

이 해체신서가 이렇게 호기심에 미친 에도시대 의사에 의해 출판되는 순간은 1774년. 

해부학서 한 권 번역한데 불과한 이 책은 일본은 물론 아시아 역사를 뒤바꾸어 놓았다. 

이 책은 지금 역사가라면 누구나 다 알고 있다. 
 

송자대전

 
하지만 송시열이 출판한 "송자대전"은 

목판만 11000장을 써서 꾸렸고, 
총 102책에 달하는 조선왕조 최대급 문집이지만

그 누구도 그 내용을 알지 못하고 
아무도 기억하지 않고 있다. 

안타까운 것은

양국 지식인의 이런 활동 차이는 18세기 이후 20세기까지도 계속되었고 

지금 이 순간에도 완전히 사라졌다고 하기 어렵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