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박물관이 기획한 조선대세시기와 중국대세시기 시리즈물이다. 역주물 전부를 공개한다. 세시기라 할 적에 가장 중요한 한국과 중국의 문헌은 망라한 역작이다. 아래 각각 링크하면 원문다운로드가 가능하다.
1. 조선대세시기Ⅰ
국립민속박물관 > 자료마당 > 자료이용 > 발간자료 > 카테고리별(목록)
발간자료 구분 학술자료집 책제목 조선대세시기Ⅰ 소제목 국립민속박물관 세시기번역총서 1 --> 도서종류 --> --> --> 발간부서 --> --> --> --> 발간년도 20031227 발간언어 한국어 --> 발간지역 --> --> -->
www.nfm.go.kr
이에 수록된 세시기는 다음과 같다.
조수삼 세시기
조운종 세시기속
권용정 한양세시기
권용정 세시잡영
김형수 농가십이월속시
최영년 명절풍속
2. 조선대세시기Ⅱ
국립민속박물관 > 자료마당 > 자료이용 > 발간자료 > 카테고리별(목록)
발간자료 구분 학술자료집 책제목 조선대세시기Ⅱ 소제목 국립민속박물관 세시기번역총서 2 --> 도서종류 --> --> --> 발간부서 --> --> --> --> 발간년도 2005 발간언어 한국어 --> 발간지역 --> --> --> -->
www.nfm.go.kr
이에는 다음이 수록됐다.
유만곡 세시풍요
이덕무 세시잡영
이하곤 원조희작/원석元夕
이안중 비년사 도도곡 상원요 우오절
이성린 농제속담
김려 상원리곡
조수삼 상원죽지사
황현 상원잡영
3. 조선대세시기 Ⅳ : 동경잡기
국립민속박물관 > 자료마당 > 자료이용 > 발간자료 > 카테고리별(목록)
발간자료 구분 학술자료집 책제목 조선대세시기 Ⅳ : 동경잡기 소제목 국립민속박물관 세시기번역총서 6 --> 도서종류 --> --> --> 발간부서 --> --> --> --> 발간년도 20070504 발간언어 한국어 --> 발간지
www.nfm.go.kr
4. 중국대세시기Ⅰ - 형초세시기, 초학기, 동경몽화록, 세화기려보 -
국립민속박물관 > 자료마당 > 자료이용 > 발간자료 > 카테고리별(목록)
발간자료 구분 학술자료집 책제목 중국대세시기Ⅰ - 형초세시기, 초학기, 동경몽화록, 세화기려보 - 소제목 국립민속박물관 세시기번역총서 3 --> 도서종류 --> --> --> 발간부서 --> --> --> --> 발간년
www.nfm.go.kr
이에는 다음이 수록됐다.
형초세시기
초학기
동경몽화록
세화기려보
5. 중국대세시기Ⅱ - 희조락사, 제경경물략, 제경세시기승, 연경세시기 -
국립민속박물관 > 자료마당 > 자료이용 > 발간자료 > 카테고리별(목록)
발간자료 구분 학술자료집 책제목 중국대세시기Ⅱ - 희조락사, 제경경물략, 제경세시기승, 연경세시기 - 소제목 국립민속박물관 세시기번역총서 4 --> 도서종류 --> --> --> 발간부서 --> --> --> --> 발
www.nfm.go.kr
이에는 아래가 수록됐다.
희조락사
제경경물략
제경세시기승
연경세시기
*** related article ***
국립민속박물관 세시기집성에 《초학기》가 들어간 사연
국립민속박물관 세시기집성에 《초학기》가 들어간 사연
이 세시기 집성은 국립민속박물관 야심작 중 하나다. 더구나 그 역주는 웹으로 무료제공하니 말이다. 이 집성을 기획할 당시 박물관 담당 과장이 김종대였다. 이후 그는 중앙대 교수로 이직했다
historylibrary.net
'websites to kn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역주譯注 고농서古農書 (0) | 2020.12.26 |
---|---|
국역 한글고전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0) | 2020.12.25 |
康熙字典강희자전 (0) | 2020.12.24 |
전통문화연구원 동양고전(특히 중국고전) 번역성과물은 이리로!!! (0) | 2020.12.23 |
국립문화재연구소 編 한국고고학사전 (0) | 2020.1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