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반달리즘14

탈레반 집권과 아프간 문화유산 앞날은? 20년 전 석불 파괴한 탈레반…유네스코, 문화유산 보호촉구 현혜란 / 2021-08-20 01:37:10 20년 전 석불 파괴한 탈레반…유네스코, 문화유산 보호촉구 (파리=연합뉴스) 현혜란 특파원 = 오드레 아줄레 유네스코(UNESCO) 사무총장은 19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에 국제법을 최대한 존중해 문화유산 다양성을 보존할 수 있도록 모든 조치를 해달라고 k-odyssey.com 주둔 미군 철수와 더불어 속전속결로 탈레반 수중에 아프가니스탄이 들어가자, 문화재 업계에 몸담고는 벌이를 삼는 나 역시 가장 먼저 떠오른 장면이 탈레반에 의한 바미안석불 파괴였으니, 이른바 무슬림 원리주의를 자처하는 저들이 하필 저 소중한 인류문화자산을 그리도 참혹하게 다이너마이트로 폭파하는 장면을 목도하고는 경악할 수밖에 .. 2021. 8. 20.
동독 정부가 폭파한 라이프치히 성 바울 교회 Paulinerkirche, Leipzig 낭트 대성당이 방화로 추정하는 화재를 만났다는 소식에 四叶草라는 닉네임을 쓰는 이 블로그 열성 독자께서 독일 라이프치히 성 바울 교회 Paulinerkirche, Leipzig 가 어처구니없는 이유로 폭파되고 말았다는 첨언을 했거니와, 내친 김에 궁금해서 관련 자료를 찾아봤다. 요약하자면, 이 교회는 라이프치히 아우구스투스광장 Augustusplatz에 있던 교회로, 1231년, 이 지역 도미니코수도회 the Dominican monastery 에서 건립한 것으로, 1409년 라이프치히대학 the University of Leipzig 이 들어서면서는 이 대학 부설교회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기나긴 생명을 이어오면서 양차에 걸친 세계대전에서도 살아남았지만 옛 동독시절 공산정권에 의해 다이너마이트로 무단 파.. 2020. 7. 19.
이번엔 낭트대성당 프랑스 낭트 대성당서 방화추정 화재…소방당국 "불길 잡혀"(종합) | 연합뉴스 프랑스 낭트 대성당서 방화추정 화재…소방당국 "불길 잡혀"(종합), 박대한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7-18 19:13) www.yna.co.kr 동영상 이거 어째 기시감이 대단하다. 노트르담대성당이야 정확한 원인이 드러나진 않았지만, 공사 과정에서의 실수? 정도로 짐작되지만, 프랑서 북서부 유서 깊은 고딕 양식 낭트 대성당 Nantes Cathedral 화재는 당국이 방화 arson 으로 추정한다 하거니와, 그런 점에서 2008년 숭례문 방화사건을 떠올리게 한다. 우리 공장 특파 전언을 정리하면, 불은 현지시간 18일 오전, 아마도 8시 무렵에 발생했으니 현지 TV가 이 화재 모습을 생중계했다 하거니와, 그 인접 .. 2020. 7. 18.
식민잔재청산운동 표적에 미국 가톨릭성당 방화? https://www.yna.co.kr/view/AKR20200712025800075?input=1195m 249년 역사 미 성당 불타…'식민역사 청산' 방화 가능성도 | 연합뉴스 249년 역사 미 성당 불타…'식민역사 청산' 방화 가능성도, 정윤섭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7-12 12:15) www.yna.co.kr 미국사회도 별 수 없어 이번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을 계기로 그것이 촉발한 운동 중 하나가 식민잔재청산운동이 아닌가 하는데, 그에 직격탄을 맞아 애꿎은 문화유산 파괴로 연결되기도 하는 모양이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설립 250주년을 앞두고 한창 리모델링 중인 가톨릭교회가 화재로 박살이 났다 하거니와, 아직 그 화재 원인이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식민잔재청산운동과 연동한.. 2020. 7. 12.
이탈리아판 삼전도비? '12세 흑인 여아를 성노예로'…伊 인종주의자 동상 철거 논란(종합) | 연합뉴스'12세 흑인 여아를 성노예로'…伊 인종주의자 동상 철거 논란(종합), 전성훈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6-12 23:44)www.yna.co.kr 이태리 출신 저널리스트이자 역사가 인드로 몬타넬리 Indro Montanelli (22 April 1909 – 22 July 2001) 는 국제신문편집자협회 the International Press Institute가 2000년에 지명한 지난 50년간의 세계언론자유영웅World Press Freedom Heroes 중 한 명에 포함됐다. 저널리스트로서 괄목할 만한 흔적을 남긴 그는 아울러 역사에 특장을 보여 《그리스 역사History of the Greeks》와 《로.. 2020. 6. 13.
문화재파괴를 전쟁범죄로 보는 헤이그협약 전쟁시 문화재보호 '헤이그협약', 한국은 미가입송고시간 | 2020-01-09 14:44문화재청 "올해나 내년 가입 목표"…문화재 파괴·손상·은닉은 불법 애꿎은 이란 문화유산 공격 운위한 트럼프 발언에 내가 분기탱천한 일을 기억할지 모르겠다. 그에 대한 다른 사람들 반발 역시 만만치 아니해서, 그러는 와중에 세계유산 관련 업무를 관장하는 유엔 기구 유네스코 사무총장 역시 언론에 나서 그와 같은 행위는 전쟁범죄 war crime 에 해당한다는 경고를 쏴붙이고 나섰으니 그러한 근거 중 하나로써 1954년 유네스코가 채택한 무력분쟁 발생 시 문화재 보호를 규정한 '헤이그협약'을 거론했으니, 에라 잘 됐다, 이참에 헤이그협약이나 다시 한번 봐두자 해서 관련 문서를 뒤적거리는데, 어디선가 우리는 이 협약에 미가입.. 2020. 1.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