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442

개성도서관장이 본국 의원한테 보낸 1937년 감사 편지 교토에 살던 후쿠다 세키지로(1882-1979)란 사람이 있었다. 야마구치현 출신으로 간사이법률학교 졸업 후 제약회사 사장, 비료회사 사장 등을 지낸 뒤 정치에 몸을 던진다. 교토시 의원, 교토부 의원을 거쳐 1932년부터 1942년까지 3연속 중의원 의원을 지낸 그는 1945년 이후 두 차례 의원 선거에 출마하지만 낙선하고, 정계를 떠났다. 10선도 모자라 자손에게까지 지역구를 물려주는 요즘 일본 의원에 비하면 짧게 끝낸 편. 그러고 구순을 훌쩍 넘겨 살았다(정계를 떠나서였는지?). 그런 후쿠다 상은 젊은 시절 한국에서 잠시 소학교 교장을 지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이런 자료가 다 보인다. 대정 12년(1923)인지 소화 12년(1937)인지 모르겠지만 아마 그가 중의원 의원을 지내던 1937년이겠지 .. 2023. 12. 31.
담헌을 만나는 길 2-천안 홍대용과학관 담헌 홍대용이 '과학자' 곧 Scientist였는지는 둘째치고, 그를 '과학자'라 부르는 걸 그가 들었다면 과연 뭐라고 했을까? 우선 "과학자란 무엇이오?"라고 물었겠고, 그 뜻을 어설프게 알면 화를 냈겠으며, 간곡한 설명이 곁들여진다면 심각한 얼굴로 고개를 끄덕이거나 내저었을지 모른다. 홍대용, 그의 고향 마을 산자락에 세워진 '홍대용과학관'에 가면서 든 생각이었다. 천안 장산리, 눈이 비가 되어 추적추적 내리는 와중이었다. 홍대용의 생애, 그의 사상, '과학' 체험기구, 천문 관측 같은 데서 보이는 우리 조상의 과학정신, 태양계의 구성과 별자리...과학관 안은 이런 구성이었다. 소행성 이름으로 붙을 정도로 위대한 조선의 '과학자' 홍대용을 기리면서 어린이들에게 우주,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 2023. 12. 30.
담헌을 만나는 길 1-홍대용 선생 부부의 묘 솔직히 나는 담헌 홍대용(1731-1783)이란 인물을 잘 모른다. 단지 고등학교 때 그가 베이징에 다녀오며 지은 을 번역한 를 꽤 재밌게 읽었던 적이 있고, 중고등학교 역사 시간에 박지원(1737-1805), 박제가(1750-1805)와 함께 '북학파'로 묶이는 사람으로, 또 국어 시간에 "의산문답"이나 "홍덕보묘지명"으로 만나는 이름에 청나라 선비 엄성과의 우정 정도를 기억할 따름이었다. 그러니 그를 만나기엔 퍽 얕은 지식을 가진 셈이다. 하지만 무식하면 용감하다잖는가? 그 유명한 병천순대로 내장을 채울 즈음, 근처에 볼 만한 데가 있나 해서 찾아 보니 '홍대용선생묘'가 1km 안에 있다지 않는가. 옳거니 싶어서 자동차를 몰았다. 들어가는 길 한 켠에 차를 세우고 살살 걸어갔다. 묘는 제법 관리가 잘.. 2023. 12. 30.
봉선홍경사奉先弘慶寺와 그 갈기비碣記碑, 고려 현종이 천안에 남긴 자취 이 제법 흥행하고 있다. 마침 육지 올라온 김에 현종이 남긴 자취나 보러 다녀올까 해서 여기에 왔다. 국보로 지정된 -사실상 봉선홍경사 터다. 직접 와 보니 절이 있을 자리라기보단 휴게소를 세우면 딱 좋을 자리다. 지금도 큰길 옆에 있을 뿐더러 주변에 산은 눈씻고 찾아도 안 보인다. 실제로 여기 절을 세운 뜻도 그러했다. 기록에 따르면 이 절은 1021년(현종 12)에 형긍迥兢이란 스님이 왕명을 받아 창건했다. 그런데 왜 굳이 이 자리에 절을 세웠느냐 하면, 현종의 아버지 대로 거슬러올라가야 한다. 드라마로 잘 알려졌지만(맞나?) 현종의 아버지 안종 왕욱은 태조 왕건과 경순왕의 사촌 누이 신성왕태후 김씨 사이에서 난 아들이다. 그는 평소 을 읽다가 여행자를 부처님이 보호해주는 마을이 있었다는 내용을 보고.. 2023. 12. 30.
전설은 사실을 어디까지 반영하는가, 개성 남대문 한석봉 편액의 경우 개성 한복판에 있는 개성 내성의 남문 '남대문'에 얽힌 이야기이다. 조선 중기의 어느 날, 개성부 사람들은 남대문에 새로 편액을 달기로 했다. 그 편액글씨를 동향의 명필 석봉 한호(1543-1605)에게 청하자, 그는 직접 개성에 왔다. 그리고 사다리를 타고 올라, 미리 걸어둔 빈 편액에 글자를 쓰기 시작했다. 남녁 남자를 쓰고 큰 댓자를 쓸 제, 누군가가 그 사다리를 걷어찼다. 석봉을 시샘하던 이였는지, 그가 망신도 당하고 기왕이면 어디 부러졌으면 했던 모양이다. 절체절명의 순간, 그러나 석봉은 땅에 떨어지지 않았다. 큰 댓자의 마지막 획에 워낙 힘이 들어가 있어서, 붓을 쥔 채로 대롱대롱 매달려있었던 것이다. 지금도 남아있는 개성 남대문 편액의 큰 댓자 마지막 획이 유달리 굵고 힘차보이는 것은 그런 .. 2023. 12. 25.
사천 선진리성을 가다(2) 여름철새 후투티가 뛰어노는 400성상 일본 성은 사람이 들어가 살기 위한 공간이라기보다 적을 끌어들여 싸우기 위한 시설이라 봐야 맞는다. 성문부터가 복잡하다. 우리나라 성도 옹성이나 치 같은 걸 설치해 놓기는 하지만, 왜성처럼 이리저리 동선을 꺾어서 사람을 궁지로 몰지는 못한다. 발굴조사로 확인해 복원한 이 선진리성 성문이 딱 그렇다. 벽을 세워 한 번 두 번 길을 꺾고 그 앞에 총구멍을 떡하니 둔다. 어찌어찌 문을 통과한다 해도 나오는 건 핵심 시설이 아니라 뒤쪽 성벽이다. 지키는 입장에선 좁은 공간을 지킬 병력만 있으면 되지만 치는 쪽이라면? 골치깨나 아팠을 것이다. 사실 여기는 2010년대 발굴을 거치고 성벽 상당수를 새로 쌓다시피 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뭔가 압력을 이기지 못해 깨진 돌들이 성벽 곳곳에 보인다. 하지만 돌 색깔이 묘.. 2023. 12.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