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507

걱정할 거 없다고 큰소리 뻥뻥 쳤던 추사 선생 추사 김정희(1786-1856)가 제주에 유배 생활하던 1840~1849년은 동북아시아에 서쪽에서 부는 바람이 크게 불어닥치던 시절이었다.아편전쟁이 딱 1840년에 일어나고, 그 결과 청나라는 불평등조약을 맺고 항구를 여럿 열어 서양의 진출을 용인하게 된다. 조선도 그런 움직임을 어렴풋하게나마 전해듣고는 있었다. 그때 조선 최고의 중국통이라 할 추사의 반응은 이랬다. 제주에 오는 일본 표류민 때문에 골치가 아팠다는 제주목사 장인식(1802~?)에게 보낸 간찰 중 하나다....표류한 왜인에 대한 번뇌는 족히 신경쓸 게 못되오. 다른 나라 배의 경찰詗察에 이르러서는 격탁擊柝의 경계로 보아 확실히 깨우쳐 단속할 바이지만, 천 리 밖의 일이라 어찌 족히 이 땅의 소요야 되오리까. 중국의 오문(澳門, 마카오) 천.. 2024. 8. 3.
[서예가 이완용] (7) 신문 신년 휘호 지금이야 윤전기에서 갓 나와 따끈따끈한 신문지 뭉치를 포장용으로 수출하는 시대가 되었지만, 100여년 전만 하더라도 조선 땅에서 신문이란 참 대단하고 권위가 있는 매체였다. 그때 그 시절 신문사에서는 새해나 기념할 만한 날에 명사의 붓글씨나 그림을 받아 신문지상에 싣곤 하였는데, 이완용의 글씨도 제법 보인다. 첨부 사진들에 신문에 실린 이완용 '휘호'가 보인다.당연하게도(?) 이완용의 글씨는 총독부 기관지 나 일본어 신문 같은 데만 실렸고, 나 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차례대로 1916년 10월 3일자 , 1926년 1월 1일자(왼쪽 아래. 가운데 턱 하니 실린 것은 총독 사이토 마코토(1858~1936)의 휘호) ,   1918년 9월 30일자에 실린 이완용 글씨다. 완完의 마지막 획과 용用의 .. 2024. 8. 3.
[서예가 이완용] (6) 여유는 있었으나 절박함이 없던 삶 앞서 그가 추사체를 따르지 않은 점이 특이하다고 하긴 했지만, 기실 근대 한국의 다른 관료나 문인들 작품을 보아도 추사체보담은 안진경체, 조금 더 엄밀히는 안진경을 깊이 공부해 일가를 이루었던 청나라 말기 서가 하소기(何紹基, 1799~1873)의 글씨체(그림 1)를 따른 경우가 많았다. 그러니 이완용이 안진경체를 쓴 게 이상한 일은 아니다. 하지만 그들과 이완용이 구분되는 지점이 하나 있다.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1864~1953), 소호小湖 김응원(金應元, 1855~1921), 또 고균古筠 김옥균(金玉均, 1851~1894)이나 현현거사玄玄居士 박영효(朴泳孝, 1861~1939)처럼 당시 내로라하는 망명객亡命客들은 으레 생계를 위해 서화를 그려 팔곤 했다. 입에 풀칠하기 위해 쓰고. 도움에 보답하.. 2024. 8. 2.
[서예가 이완용] (5) 안진경을 흠모했지만... 그 주인 행적은 일단 젖혀두자. 철저하게 글씨만 놓고 보더라도 이완용 글씨가 ‘좋다’고 단언할 수 있을지는 약간 갸웃거려진다. 앞서 이완용이 ‘평상심시도’를 즐겨 썼다고 했는데, 남아있는 (사진 1)를 보면 바탕이 크건 작건, 글자 배치나 획 움직임이 거의 같다. 독창성이 별로 없는 셈이다. 또 백은의 글씨와는 달리 글자가 너무 매끄러워 보인다. 비백이 있음에도 거칠다기보다는 부드럽게 흘러가버린다고 해야 할까. 선승의 글씨를 흉내내긴 하였으나 그 내용이나 글씨체 의도에 제대로 맞게 쓴 것 같지는 않다. 는 상대적으로 좀 덜하지만, 이완용의 다른 글씨(사진 2)를 보면 획의 과장이 때로 심하게 느껴진다. 술을 좀 과하게 했던지, 아니면 자기 자랑하는 맛에 글씨를 썼기에 나타나는 현상일까. 애초에 기교가 승.. 2024. 8. 1.
[서예가 이완용] (4) 일품이라 할 만 하나... 배경 설명은 충분히 한 것 같으니 글씨를 보자(조금 더 거친 맛이 있는 지본으로 보겠다). 글씨 오른쪽 어깨가 올라갔다. 이런 경우는 매사 긍정적인 방향으로 보려는 경향이 강하다고 한다. 또 글자 첫 획, 마지막 획이 길게 뻗는데 이는 자기 과시욕이 있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전체로 보면 글자들 균형은 잡힌 편이다. 이완용은 안진경체顏眞卿體를 주로 썼다고 하는데, 여기서도 글자 모양에서 안체顔體의 여운이 약간 느껴진다. 하지만 글씨에 뼈나 근육보다는 살집이 제법 느껴진다. 특히 호와 이름, 제문題文 부분의 작은 글자가 통통하다. 그의 다른 글씨(시고詩稿 같은)는 먹을 많이 묻혀 뭉텅뭉텅 써 내려가는 경우가 많다. 그것을 보면 역시 안진경(顏眞卿, 709~785) 글씨의 모습이기는 하되 이미 꼿꼿하고 날카로.. 2024. 7. 31.
[서예가 이완용] (3) 에도 선승 백은白隱 혜학慧鶴 아무래도 글쓴이가 이완용이다 보니 베낀 대상도 일본인이 아닐까 싶은 선입견이 있게 마련이다.그런데 그 선입견이 맞아떨어진다.백은 혜학(白隱 慧鶴, 1685~1768)이란 일본 에도시대 선승이 그 주인공이다.백은 혜학 - 일본어로는 ‘하쿠인 에가쿠’라 읽는다. 그는 일본 임제종臨濟宗의 개혁자이자 중흥조로 꼽힌다.임제종은 간화선看話禪 곧 화두를 들고 참선하며 깨달음을 찾아가는 중국 선불교 한 종파로, 우리나라 선종도 고려 말기 태고太古와 나옹懶翁 이후 임제종 법통을 이어받게 된다.  백은 스님은 깨달음을 얻은 뒤 특히 대중 포교에 힘썼는데, 어디서든 누구하고든 친구처럼 지내고 쉬운 말과 그림으로 부처의 가르침을 이해시켜주었다 전한다. 백은은 글씨와 그림에도 뛰어났다. 평생 1만 점가량 서화를 그렸다고 하는데.. 2024. 7.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