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2037

No Time to die가 각인한 마테라 대니얼 크레이그 007 은퇴작 No Time to die, 곧 하도 바빠서 죽을 시간도 없데이는 실은 내가 제대로 본 적 없고 보는둥마는둥 하다가 이제야 귀국하고선 쿠팡플레이로 두 번째 완주 중이다. 007이야 남성 마초이즘 첨단을 구가하는 영화라 해도 내가 아니라 강변할 생각은 없지마는 코로나 시국에 개봉이 늦춰지는 곡절을 겪은 저 영화 초반 로케이션이 마테라 Matera라는 이탈리아 유서 깊은 남쪽 깡촌이라  마테라 · 이탈리아 75100 마테라이탈리아 75100 마테라www.google.com 요새 한국인 관광지로 한창 뜬다는 바리Bari 라는 데랑은 지척이라 워낙에나 역사문화경관 좋은 데다 저 영화 영향도 있어 더욱 각광받는 데임은 익히 알거니와 그런 까닭에 실은 재작년 유럽여행 때 다녀올까 하며.. 2025. 1. 17.
가장 완벽한 피라미드가 느닷없이 로마에 남은 이유 이집트 가서 피라미드 보고선 와! 하지만 실은 그 대부분은 본래 모습을 잃어버리고 뼈다귀만 남은 형태다. 가장 완벽한 형태로 그 본래 모습을 유지한 피라미드는 놀랍게도 로마 한복판에 있다. 이 말 여러 번 했다. 이집트 피라미드는 다 쥐어뜯긴 몰골이다. 특히 그 피라미드 외양을 장식한 석부재들은 거의 다 다른 건축부재로 활용한다 해서 쓸 만한 것은 다 벗겨가고 꼭대기 부분에만 몇 개 남은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로마 시내 복판을 장식하는 이 세스티우스 피라미드만큼은 그렇지 아니해서 그 겉처리를 이집트 피라미드가 어찌했는지를 유감없이 그대로 보여주는 희귀 사례다. 그렇다면 왜 이런 피라미드가 다름 아닌 로마에? 라는 궁금증이 하나며, 그런 그것이 어찌하여 훼손을 피했는가? 하는 의문이 둘이라 첫째와.. 2025. 1. 11.
의외로 모자이크는 남긴 아야 소피아 에르도안이 멀쩡한 박물관을 느닷없이 회교 사원 모스크로 바꿨다 해서 한바탕 난리친 이스탄불 아야 소피아[하기아 소피아, 소피아 성당] 그 변모한 모습이 궁금했거니와 그에 대해선 외국 언론 보도도 당시 또한 많았고 근자 이곳을 다녀간 지인들전언도 있었으니 물론 많은 변화가 있긴 하나 생각보다 최악은 아니었고 기독교 흔적을 지운다고(엄밀히는 가린다고) 했지만 명백한 기독 유산인 그 유명한 2층 모자이크화 세 건은 변함없이 노출했다.다른 기독교 흔적은 다 가리지 않았나 하는데 이건 왜 남겼을까 궁금하기는 하거니와, 모르겠다 다른 속내가 있는지는. 워낙 이 교회당 마스코트로 유명하다 해서 할 수 없이 남겼는지는 말이다. 나아가 그 가림이 어느 정도인지 실상 대비표를 작성해야겠지만, 지금 그 내력을 내가 구체로 .. 2025. 1. 10.
이스탄불 결의, 그 선언의 의미는? 막판에 이르면 대체로 맥이 빠지는 법이다.귀국 날짜가 코앞에 다가오니, 다들 기진맥진이라, 마지막 기항지 이스탄불은 그런 데로 자칫 애들한테 각인하지 않을까 싶다.애들도 놀란 대목은 이곳 물가.살인적이다.아들놈은 "터키 경제가 그리 안 좋아?"하고 묻는다. 낸들 알 리가 있나?그만큼 고물가에 애들까지 놀란다.쑥쑥 꺼져가는 통장 잔고를 보여줘서 그런가? 이 놈들도 마침내 돈에 민감한 모습을 보이지 시작했는데 지금까지 오늘도 술탄 아흐메트 광장에서 하기아 소피아 바라보며 애들한테 외쳤다."우리는 뭐? 누구의 노예? 돈의 노예가 되어야 한다. 살아가면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가 건강이요 둘째가 돈이니라. 돈만 있어 봐라, 안 되는 일 없다. 그래서 우린 돈의 노예가 되자."하니 애들도 키득키득 웃.. 2025. 1. 10.
지들 스스로 찾아간 라오콘, 그 속내는? 장장 다섯 시간 뺑뺑이를 돈 바티칸 미술관"세상에, 박물관 다섯 시간은 처음 아냐?"막 바티칸 탐방을 마치고 녹초가 되어 들어온 아들놈이 동생한테 키득키득 웃으며 한 말이다. 그랬다.예약에 맞추어 오전 8시에 입장해 다섯 시간 죽치다가 나왔으니 말이다. 박물관은 30분 내지 1시간 관람하는 데다. 아니 그래야 한다. 박물관을 입안하고 운영하는 사람들은 말로는 아니라고 하나 하는 짓은 박물관을 하루 종일 머무는 시설로 만들고자 하는 욕망에 사로잡혀 있다. 박물관은 피곤한 데다. 박물관 종사자들로 다른 박물관 가 본 사람들은 직감한다.박물관 미술관이라는 데가 얼마나 피곤한 데고, 그래서 사람 살 곳이 아니며, 특히 1시간 이상 머물 수 없는 지옥과도 같은 곳이라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왜?세상 돌아다녀 보면.. 2025. 1. 9.
엄마주의를 의심한 종교개혁 서양 중세 가톨릭 미술을 볼수록 이상한 현상 하나가 감지되는데예수는 온데간도도 없고엄마만 비대하게 부각한다는 점이 그것이다.내가 보건대 이런 구도에서 예수는 존재감 제로다.언제나 아가야로만 등장하는데 아무리 예수라한들 걸음마도 못하는 꼬맹이가 무슨 구세주란 말인가?그건 훗날 이야기고 저들은 왜 저리 엄마주의에 집착했을까?아기 예수?다시 이야기하지만 아기로 태어나지 않은 사람 있던가?함에도 왜 굳이 예수만 아기가 따로 있는가?아기 예수엔 엄마주의의 음모가 있다.그렇담 기독신앙에서 마리아는 어떤 존재인가?신심 뛰어난 청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바로 이 의문이 중세를 지나면서 싹트기 시작하니 이른바 종교개혁은 실은 엄마주의에 대한 반동이었다.저 엄마를 끌어엎어버리고 엄마 자리에 예수를 갖다 놓은 개혁, 그.. 2025. 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