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미라 이야기118 북극권 발굴을 위한 조언: 모기 필자는 북극권 발굴을 해봤는데 그 경험을 좀 적어보고자 한다. 나중에라도 북극권 발굴을 들어가는 분들이 참고하시기 바란다. 북극권발굴은 여름 외에는 못한다. 정확히는 백야가 이루어지는 시기, 여름에야 땅이 녹아 발굴이 되고, 가을만 되도 땅이 얼기시작해 철수해야 한다. 여름 발굴은 우리가 생각하는 북극과는 다르다. 물론 북극 근처라면 모르겠지만 북극권은 여름에는 소위 말하는 툰드라 지대다. 여름에는 제법 수목도 울창하고 바닥에는 이끼가 깔려 있다. 이 이끼를 먹고 순록이 살기 때문에 여름에는 순록떼가 북상했다가 겨울에는 남하한다고 들었다. 미국이나 캐나다, 유럽쪽 북극권은 잘 모르겠고 적어도 러시아 북극권 지역 발굴현장은 전화도 안된다. 광활한 영토에 북극권이니 어쩌면 당연하다 할 것이다. 2010년대 .. 2024. 3. 10. 러시아 북극권 발굴 현장에의 접근장면 [동영상과 사진] 앞선 글 러시아 살레하르트 박물관 에 이어진다. 살레하르트 인근 발굴현장에 접근과 철수 장면이다. 먼저 발굴현장으로 들어가는 장면. 모터보트를 타고 들어갔다. 중간에 휴게소는 없지만 잠깐 배를 세우고 커피 한잔. 그리고 현장 도착 장면이다. 외부와 연락은 전혀 안 되는 지역이다. 심지어는 전화도 안 된다. 마중 나오는 분들은 현지 발굴을 진행 중인 고고학자들. 우리가 타고 들어간 모터보트가 사실상 연락선 역할이었다. 2024. 3. 10. SCI 논문 쓰느라 날 샌 조선시대 조선시대에 한문 읽는 건 둘째 치고 한문으로 글 짓고 동문선 백 이십 몇 권을 쉽게 보는 것을 많이 보는데, 필자가 보기엔 우리나라는 한문 때문에 나라 망했다. 한문 익히고 쓰는 그 노력의 10분의 1만 국문에 신경 쓸 겨를이 있었으면 우리나라는 지금보다 100배는 많은 인문적 자산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21세기에도 SCI 논문 한 편 쓰려면 머리털 다 빠지는데 조선시대에 한문으로 글 짓고 시 쓰고 동문선에 왕조실록에 고려사 도대체 왜 그렇게 한문에 집착해야만 했을까? 딴 거 없고, 과거제 때문이다. 과거제의 시험과목이 딱 정해지면 식자층은 거기서 한 걸음도 벗어날 수 없다. 조선시대 내내 사림들은 과거제의 폐단을 지적했지만 문과는 고사하고 사마시라도 붙으려면 과거 시험 공부를 안 하면 어쩔 건데? 젊.. 2024. 3. 5. 신동훈: 시베리아 극지 미라 관련 논문 서지 목록 https://shindonghoon.tistory.com/40 신동훈: 시베리아 극지 미라 관련 논문 서지 목록필자는 2010년대 후반, 러시아 시베리아 극지 지역에서 현지 연구자들과 함께 일련의 인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베리아 지역의 중세 원주민 미라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지만, 미라shindonghoon.tistory.com 필자는 2010년대 후반, 러시아 시베리아 극지 지역에서 현지 연구자들과 함께 일련의 인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베리아 지역의 중세 원주민 미라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지만, 미라만 연구 대상은 아니었으며 인골에 대한 연구도 함께 수행한 것이다. 러시아에서의 연구는 우리에게도 큰 학술적 의미가 있어 계속 진행하고 싶었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더 .. 2024. 2. 25. 신동훈: 조선시대 미라 관련 총 서지 목록 https://shindonghoon.tistory.com/38 신동훈: 조선시대 미라 관련 총 서지 목록 영문 논문 E2023-1. Kim JE, Lee HJ, Hong JH, Kenig A, Zaitsera E, Slepchenko S, Kim S, Shin DH. Cross-Analysis of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 Data from the Remains of Joseon Dynasty Mummies and Other Agrarian People of 16th to 18th Century Eurasi shindonghoon.tistory.com 필자의 조선시대 미라 관련 논문 총 서지 목록을 올린다. 미라 관련 연구는 2022년 이래 을지대 오창석 교수에게 .. 2024. 2. 21. 마왕퇴 (17): 청동기시대의 비단옷 청동기시대의 비단옷이라고 하면 대개 반응이 그 시대에 무슨 비단옷이라는 반응이 나오겠다. 그런데-. 중국은 양잠해서 비단을 신석기시대에 했다. 용산문화기에는 이미 비단 생산이 정착했다고 하니까. 농경이 본격화한 청동기시대에 양잠에 비단이라고 해도 별로 대단할 것이 없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양잠에 비단이라고 하면 요즘 보는 초고급 실크만 연상을 해서 그런데, 누에실로 짠 직물도 천차만별이다. 삼국지 동이전을 보면, 서기 3세기에 이미 바다건너 일본까지도 양잠에 비단은 보편화해 있었다. 種禾稻·紵麻, 蠶桑·緝績, 出細紵· . 其地無牛馬虎豹羊鵲. 삼국지 동이전에 일본열도에 보편화한 양잠은 그렇다면 언제 건너간 것일까? 억측일지도 모르겠지만, 필자는 양잠은 한국과 일본에는 도작과 함께 전파되었다고 본다. 한.. 2023. 11. 2. 이전 1 2 3 4 5 6 ··· 2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