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선시대에 한문 읽는 건 둘째 치고
한문으로 글 짓고 동문선 백 이십 몇 권을 쉽게 보는 것을 많이 보는데,
필자가 보기엔 우리나라는 한문 때문에 나라 망했다.
한문 익히고 쓰는 그 노력의 10분의 1만 국문에 신경 쓸 겨를이 있었으면
우리나라는 지금보다 100배는 많은 인문적 자산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21세기에도 SCI 논문 한 편 쓰려면 머리털 다 빠지는데
조선시대에 한문으로 글 짓고 시 쓰고
동문선에 왕조실록에 고려사
도대체 왜 그렇게 한문에 집착해야만 했을까?
딴 거 없고,
과거제 때문이다.
과거제의 시험과목이 딱 정해지면
식자층은 거기서 한 걸음도 벗어날 수 없다.
조선시대 내내 사림들은 과거제의 폐단을 지적했지만
문과는 고사하고 사마시라도 붙으려면
과거 시험 공부를 안 하면 어쩔 건데?
젊은 시절 죽도록 한문 공부 하다 보면
과거 붙고 나면 뭐가 답답해서 한글을 가져다 시도 짓고 글도 쓰겠나.
과거제는 한국사에서 양면의 칼이다.
문명을 만들었고
문명을 정체시킨 것이 과거제가 아니겠는가.
![](https://blog.kakaocdn.net/dn/ccP2Vc/btsFAanHqma/Cym8p6Gtp4uynOf3cy37LK/img.jpg)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사본이 주류인 초기 고사기 (19) | 2024.03.07 |
---|---|
목판 활자 필사본 (1) | 2024.03.06 |
문명의 구조 (1) | 2024.03.05 |
[당시] 대비백두옹代悲白頭翁: 유희이劉希夷 (1) | 2024.03.04 |
의학이, 생명과학이 인문학과 합일할 수 있을까 (2) | 2024.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