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36 논과 밭의 차이 우리는 한국사에서 도작과 함께 한국사 수준의 일약 도약이 이루어졌다고 인정한다. 하지만 왜 도작이 전작에 비해 그렇게 우월한지 설명이 명쾌하지 않다. 땅을 갈아 씨만 뿌리면 자라는 줄 아는 전작에 비해 도작은 논도 만들어야 하고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어야 하니 전작보다 우월하지 않겠냐 막연히 짐작할 뿐이다. 그런데, 실제로 전작은 땅만 갈아 씨만 뿌리면 이루어지는 농사가 아니다. 전작을 수준있게 짓는 데는 많은 노력과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시비기술이 발달하지 않은 상고시대의 전작이란 그렇게 만만한 것이 아니다. 전작이란 결코 씨 뿌리고 사냥 다니다 돌아와서 추수만 하면 되는 그런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전작도 도작만큼 노력과 기술이 필요한 농경기술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왜 도작과 함께 일약 생산성의 도약.. 2024. 9. 12. 논농사는 매년 일으키는 인위적인 홍수와 같다 문명중심 지역 특징 중 하나가 하천의 범람이다. 특별한 시비 없이도 매년 새로운 토양이 밀려 내려오고 축적된 노폐물이 쓸려 나가 생산성 높은 농사를 연작하는것이 가능해진다. 신석기시대, 아마도 한반도의 농부들이 척박한 지력을 극복할 길이 없어 정기적으로 화전을 통해 간신히 농사짓던 시절에도 황하유역이나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찬란한 문명이 탄생한 것은 이 때문이다. 그래서 고대 문명은 황하의 선물이자 나일강의 선물이기도 하다. 한반도에서 무논 농사는 매년 인위적인 홍수를 일으키는 것과 같다. 무논에 물을 넣었다 빼고, 상류에서 흘려 내려오는 토양과 거름 성분을 잡아 논안에 가둠으로써 인위적인 홍수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주어 비로소 이전의 정처없는 화전 떠돌이 농경을 종식시킬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이루었다는.. 2024. 9. 12. 고고학에 제안한다 (2): 빅데이터 분석실 또 다른 제안이다. 고고학에는 빅데이터 분석실이 있어야 한다. 이 분석실에는 통계학 전공자가 실장으로 있어야 하며 필요한 통계 분석을 전담할 수 있어야 한다. 무엇을 분석할 것인가? 지난 수십년간 축적된 고고학 보고서의 데이터이다. 전 세계적으로 이런 유례가 없다. 그야말로 빅데이터이다. 이런 데이터의 분석은 통계학 전공자가 아니면 안된다. 통계학 전공자가 지난 수십년간의 발굴보고서의 데이터를 분석해 내면 세계가 놀랄 성과가 이로부터 나올 수 있을 것이다. 2024. 9. 10. 고고학에 제안한다 (1): 고대농업시험장 한국고고학은 고대농업시험장이 필요하다. 내 생각엔 국립기관 산하에 농업시험장이 하나 있으면 아마 굴지의 연구성과가 산출될 것이다. 예를 들어 따비로 농사지을 때와 쟁기로 심경할 때 그 소출차이는 어떨까? 이런 연구는 아무도 해주지 않는다. 온전히 고고학 그리고 역사학의 몫이다. 실제로 이런 고대 농업시험장은 인터넷을 찾아보면 드물지 않게 보인다. 신석기시대에 왜 우리 조상님들은 한 군데 지긋이 앉아 농사짓지 않고 싸돌아다니면서 농사를 지어야 했는지는 아무 비료도 주지 않고 밭농사를 한 장소에서 쉬지 않고 몇년만 지어보면 그 소출량의 격감을 보면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새해 농사를 시작하기 전에 불을 싸지르고 시작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차이는 간단한 실험만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가 보.. 2024. 9. 10. Early Modern이라는 에도 일본, 그 옆나라가 뜬금없는 들고 나온 여전제 일본사는 식민지화하지 않고 자생적으로 제국주의까지 진입했다는 점에서 스스로를 다른 아시아 국가와 차별화하는데 성공하였다. 메이지유신 이전 에도시대 일본사는 서양사의 입장에서 본다면 대략 어느 수준에 해당하는가여기에 대해서는 많은 이견이 있겠지만 최근 나오는 이야기를 보면 대략 Early Modern정도에 해당한다고 보는 모양이다. 그렇다면 Early Modern이라면 어느 정도의 단계인가? 위키 설명을 보면 이렇다. Various events and historical transitions have been proposed as the start of the early modern period, including the fall of Constantinople in 1453, the start of th.. 2024. 9. 10. 신석기시대 화전론에 대한 해외의 시각 앞에서 이야기했지만 필자가 이 블로그에 쓴 신석기시대 화전론은 필자가 처음 한 이야기가 아니다. 온라인만 찾아 봐도 필자의 이야기와 매우 비슷한 이야기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 예를 들자면, A.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slash-and-burn demonstrate that permanent cultivation was not possible without additional organic matter inputs. Therefore, agriculture in the Neolithic could have been maintained by slash-and-burn of new areas of the forest, or by the addition of org.. 2024. 9. 10.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34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