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고고학은
고대농업시험장이 필요하다.
내 생각엔 국립기관 산하에
농업시험장이 하나 있으면
아마 굴지의 연구성과가 산출될 것이다.
예를 들어
따비로 농사지을 때와
쟁기로 심경할 때
그 소출차이는 어떨까?
이런 연구는 아무도 해주지 않는다.
온전히 고고학 그리고 역사학의 몫이다.
실제로 이런 고대 농업시험장은
인터넷을 찾아보면 드물지 않게 보인다.
신석기시대에
왜 우리 조상님들은 한 군데 지긋이 앉아 농사짓지 않고
싸돌아다니면서 농사를 지어야 했는지는
아무 비료도 주지 않고
밭농사를 한 장소에서 쉬지 않고 몇년만 지어보면
그 소출량의 격감을 보면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새해 농사를 시작하기 전에
불을 싸지르고 시작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차이는
간단한 실험만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가 보기엔 이런 고대농업시험장이 만들어지면
정말 할 만한 실험이 많을 것이라 본다.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농사는 매년 일으키는 인위적인 홍수와 같다 (3) | 2024.09.12 |
---|---|
고고학에 제안한다 (2): 빅데이터 분석실 (1) | 2024.09.10 |
Early Modern이라는 에도 일본, 그 옆나라가 뜬금없는 들고 나온 여전제 (4) | 2024.09.10 |
신석기시대 화전론에 대한 해외의 시각 (3) | 2024.09.10 |
조선후기, 느닷없이 들고나온 여전제 (4) | 2024.09.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