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1845

신석기시대 휴경-화전의 종식 이건 어디까지나 가설이지만, 한국 신석기시대. 처음 단계에 휴경-화전으로 시작된 잡곡농경은, 그 후 어떤 변화를 거쳤을지 생각해보자. 우리나라 화전민 촌락에는 농경의 방식이 두 가지가 있다는데, 첫째는 화전하지 않고 경작 관리하는 땅과 화전하는 땅을 함께 가지고 있는 화전민. 이 경우에는 비화전 경작지에 거주지가 건설되고 화전하는 땅에는 가끔 올라가 보게 된다. 둘째는 비화전 경작지 없이 오로지 화전만 하는 경우인데이 경우에는 화전을 따라 옮겨다니지 않으면 안된다. 대개 한번 불을 지르고 농사를 지으면 4-5년 후에는 옮겨야 했다 하므로 신석기시대 화전민도 4-5 년 간격으로 옮겨다니며 휴경-화전을 반복했을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가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최초의 단계는 순화전민의 단계였을 것이고, .. 2024. 9. 4.
화전민과 매우 비슷했을 한반도 초기농경민 일전에 김단장께서도 비슷한 이야기를 하신 적이 있는데, 한반도 신석기시대, 초기 잡곡농경민은 농경의 최초 단계는 화전 비스무리 했을 것이다. 화전의 특징이 무엇인가? 주기적으로 옮겨 다닌다는 것이다. 시비하지 않고 토지를 단기간에 비옥하게 만드는 가장 빠른 방법은 불을 지르는 것이다. 그리고 그 땅에서 지력이 소모되면 다시 새로운 곳으로 옮겨 불을 질러 그곳에서 경작한다. 물론 주거지도 함께 옮기게 될 것이다. 이런 양식의 농경이라 해도, 농경은 농경이다. 화전민은 여가시간에 농사를 짓는 것이 아니라 농경민이다. 여가시간에 야생동물을 잡으러 다닐 수도 있겠지만. 이들은 주거지와 농경지는 정기적으로 순회하는 방식으로 몇개의 거점을 반복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이었을 것 같다. 방향도 없이 정처없이 불지르고 다니.. 2024. 9. 4.
틀림없이 있었을 한국 신석기시대 휴경 지력을 보강하는 방법이 미진하던 시대에는 콩과 식물을 재배하여 연작을 시도하기도 했겠지만 그것도 쉽지 않아 틀림없이 정기적으로 휴경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한 가지 생각해보자. 신석기시대 사람들이 경작지를 여러 곳에 확보해 두고 정기적으로 돌아가며 휴경해야 하는 바람에 일정 순서대로 경작지를 순회하며 농사를 짓고 있었다면이는 "정착농경"인가 아닌가?  위는 유럽 중세의 장원으로 정기적으로 돌아가며 휴경하는 시스템을 보여준 것이다. 신석기시대에는 시비를 했을 리는 없고, 백프로 돌아가며 휴경했을 것이다. 휴경하는 경작지는 쉬게 놔두고 경작하는 땅 근처로 옮겨다니며 농사를 지었다면이것은 정착 농경인가 아닌가? 2024. 9. 4.
산나물을 어떻게 볼것인가 산나물, 산채는 한국에서 현재 유독 많이 발달하고 남아 있는데, 당연한 일이지만 20세기 이전에도 지금처럼 산채가 건강식이었을 리가 없다. 오히려 이 산채는 부족한 경작채소의 양을 보완하는 수단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채소 경작. 조선시대까지도 경작 면적 그다지 넓지 않았을 것이라 본다. 지금도 배추농사 생산 과잉이면 갈아 엎는데 썩기 쉬운 채소를 엄청나게 많이 지었다가 그걸 어떻게 처리하겠는가? 채소농사를 대규모로 짓는 곳은 서울 주변 등 대도시 일각이고 대부분의 시골 농촌에선 텃밭 수준이었을 것이라 본다. 따라서, 심는 채소의 종류도 다양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도 모자라면 산채로 보충했을 것이라 본다. 왜 한국에는 산나물이 이렇게 발달했을까? 사찰음식의 유습인가? 필자가 보기엔 그것이 아니고.. 2024. 9. 3.
일본동물고고학회: 동물고고학 https://www.zooarch.net/latest/ 最新の学会誌|日本動物考古学会『動物考古学』第41号 (2024.3)  3,000円 論文 鹿又喜隆・鹿納晴尚・イワノワ ダリア 「X 線 CT を用いた動物形土製品の内部構造の解析による製作法と儀礼行為の復元」 高橋健・風間智裕www.zooarch.net 일본동물고고학회의 기관지로 1년에 한번 나온다. 일본어, 영어 양쪽 모두로 투고 가능하다. 2024. 9. 2.
고고식물학 학술지 링크 https://link.springer.com/journal/334 2024. 9.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