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건 어디까지나 가설이지만,
한국 신석기시대. 처음 단계에 휴경-화전으로 시작된 잡곡농경은,
그 후 어떤 변화를 거쳤을지 생각해보자.
우리나라 화전민 촌락에는 농경의 방식이 두 가지가 있다는데,
첫째는 화전하지 않고 경작 관리하는 땅과 화전하는 땅을 함께 가지고 있는 화전민.
이 경우에는 비화전 경작지에 거주지가 건설되고 화전하는 땅에는 가끔 올라가 보게 된다.
둘째는 비화전 경작지 없이 오로지 화전만 하는 경우인데
이 경우에는 화전을 따라 옮겨다니지 않으면 안된다.
대개 한번 불을 지르고 농사를 지으면 4-5년 후에는 옮겨야 했다 하므로
신석기시대 화전민도 4-5 년 간격으로 옮겨다니며 휴경-화전을 반복했을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가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최초의 단계는 순화전민의 단계였을 것이고,
그 다음 단계가 비화전 경작지를 갖고 영구정착촌을 건설하며 화전은 부업 정도로 하게 되는 경우가 되겠다.
그리고 그 다음은 도작의 도래로 화전이 거의 사라지는 단계일 것이고.
첫번째 단계, 순화전민의 단계.
우리는 이것을 "수럽채집민"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한번 생각해 볼 때가 되었다.
왜 영구적인 거주지, 촌락이 아닌 것 같은데
농작물 탄화물이 계속 나오는가?
이것은 계속 옮겨 다니는 수렵채집민이
여가 시간에 잡곡 농사를 지었기 때문인가?
그것이 아니고,
이유는
이들이 순화전민이었기 때문이다.
*** previous article ***
화전민과 매우 비슷했을 한반도 초기농경민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전과 나무뿌리 (5) | 2024.09.05 |
---|---|
화전민은 몇 년 만에 원래 위치로 돌아왔을까? (7) | 2024.09.04 |
화전민과 매우 비슷했을 한반도 초기농경민 (7) | 2024.09.04 |
틀림없이 있었을 한국 신석기시대 휴경 (7) | 2024.09.04 |
산나물을 어떻게 볼것인가 (8) | 2024.09.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