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전에 김단장께서도 비슷한 이야기를 하신 적이 있는데,
한반도 신석기시대, 초기 잡곡농경민은 농경의 최초 단계는 화전 비스무리 했을 것이다.
화전의 특징이 무엇인가?
주기적으로 옮겨 다닌다는 것이다.
시비하지 않고 토지를 단기간에 비옥하게 만드는 가장 빠른 방법은 불을 지르는 것이다.
그리고 그 땅에서 지력이 소모되면 다시 새로운 곳으로 옮겨 불을 질러 그곳에서 경작한다.
물론 주거지도 함께 옮기게 될 것이다.
이런 양식의 농경이라 해도, 농경은 농경이다.
화전민은 여가시간에 농사를 짓는 것이 아니라 농경민이다.
여가시간에 야생동물을 잡으러 다닐 수도 있겠지만. 이들은 주거지와 농경지는 정기적으로 순회하는 방식으로 몇개의 거점을 반복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이었을 것 같다.
방향도 없이 정처없이 불지르고 다니는 것이 아니라 몇년 전 농사짓다가 휴경한 곳에 다시 농사를 짓기 위해 불을 지르고 다시 씨를 뿌리는 그런 방식이었을 것 같다는 말이다.
한국의 신석기 유적이 청동기시대와 달리 주거지가 허술한데도 농경의 흔적이 나온다면 바로 이때문이라고 본다.
농경민이 주기적으로 순회하며 휴경한 땅에 불지르고 농사짓는 화전방식의 농사를 했기 때문이다.
*** previous article ***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전민은 몇 년 만에 원래 위치로 돌아왔을까? (7) | 2024.09.04 |
---|---|
신석기시대 휴경-화전의 종식 (7) | 2024.09.04 |
틀림없이 있었을 한국 신석기시대 휴경 (7) | 2024.09.04 |
산나물을 어떻게 볼것인가 (8) | 2024.09.03 |
황하유역의 가축사육 (8) | 2024.09.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