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blog.kakaocdn.net/dn/bNoiYO/btrX9FJ7cDe/gfT97XoKUgGTgHqeGNa3ck/img.png)
얼마 전에 김단장께서 북한 평양에 새 박물관이 섰는데 여기에 낙랑유물을 모아 전시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아마도 낙랑 구역 어딘가에서 발견된 유물인가 본데, 금제무늬막이 장식이라고 해놨다.
그런데....
여기 다른 것은 모르겠지만 오른쪽 하단의 장식물을 보라.
![](https://blog.kakaocdn.net/dn/b8cPTf/btrX4ZbwEur/D3Kdxqkdh4TRjqLkhOIwd0/img.png)
바로 이것. 이것이 뭐 같은가?
이게 뭔고 하면...
![](https://blog.kakaocdn.net/dn/erov8K/btrX41f2WzQ/hqBa4tLfcSMQTeWIcAGJa1/img.png)
산해경에 나오는 "기"라는 동물이다. 발이 뒷발밖에 없다던가 그렇다.
쉽게 말해 낙랑구역에서 나온 저 금제장식품 중 일부는 산해경에 나오는 동물을 형상화 하고 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저 금제장식품은 모두 산해경에 나오는 동물을 형상화 한 것일까?
만약 그렇다면 저 장식품은 오늘은 사라져 버리고 없는 산해경에 나오는 동물의 그림을 장식물로 형상화한 것이니, 현존하는 유일한 산해경 관련 유물이 되는 셈이다.
그런데 문제는 아래 "기" 그림은 청나라 때 그려진 것이라는 점이다.
원래 남아 있는 산해경은 그림이 다 사라졌고, 지금 남아 있는 그림은 후대에 상상으로 그린 것들이다.
이 정도만 써 둔다.
P.S.) 저게 진품이 맞다면, 산해경에 묘사된 괴수에 대해 남아 있는 유일한 유물로 저 유물의 가치는 비할수 없을 정도로 높아질거라고 본다. 물론, 진품이 맞다면.
P.S.2) 시간이 없어 더 보지 못했는데 위 사진의 다른 동물도 산해경에 나온 동물이 더 있을 수 있다고 본다. 한번 시험삼아 찾아보시기를..
*** 편집자注 ***
고구려 고분벽화 중에 산해경 모티브가 좀 된다. 전호태 선생 연구가 있다.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보는 일본의 이미지는 메이지 이후 창조됐다 (0) | 2023.02.08 |
---|---|
일본학회 참석 유감 (0) | 2023.02.08 |
일본사에서 한국인이 주목해야 할 문제 (0) | 2023.02.04 |
소행성 멸종설은 우주과학자의 횡재 (0) | 2023.02.03 |
큐리오시티 curiosity 와 천문天問 (0) | 2023.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