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대 한국사 (고고학 포함)의 연구는 일본학계의 영향이 매우 짙다.
필자는 일본의 영향을 받았으니 식민사관 운운하는 이야기를 하고자 함이 아니라,
일본은 농경이 도입 된 초기,
잡곡에 기반한 농경사회가 없었다.
한국사는 다르다.
대략 청천강-원산만 이남은 도작이 있었던 것 같지만
그 이북의 부여, 고구려, 옥저 등은 완연한 잡곡기반의 농경사회였던 듯 하다.
한국사회가 농경사회의 발전을 단순히 도작사회의 입장에서만 살피는 것은 일본 학계의 시각 때문이라고 본다.
일본 측에서 자국 농경사회의 원류로 도작사회론을 짜고 그 시각에 따라 한국상고사를 보기 때문에
한국사 전체를 우리는 마찬가지로 도작사회의 시각에서 보고 있지만
실제로 한국상고사의 북쪽 절반은 엄연한 잡곡기반의 농경사회다.
필자는 그렇게 생각한다.
중국이 진령-회하선을 경계로 그 이북과 이남의 문화가 엄청나게 달랐듯이
도작 기반과 잡곡 기반의 농경사회는 문화가 엄청나게 차이가 있었을 것이라고 본다.
우리는 지금 이것을 무시하고 도작 기반의 사회에서 부여, 고구려까지 조망하는데,
잡곡기반의 농경사회-.
이 주제를 심각히 고민해 봐야 하는 것 아닐까.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자가 보는 5-6세기 독립체 마한론이 가진 함의 (1) | 2023.12.25 |
---|---|
한반도에도 진령회하선이 연장되어 있었다 (0) | 2023.12.24 |
고구려인이 쌀밥을 먹었는지도 해명이 안된 지금 (0) | 2023.12.24 |
잡곡 농경의 구조 (0) | 2023.12.24 |
고대인의 식사 실험: 수수밥 (1) | 2023.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