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미증유의 대재난 을축년대홍수, 공공사업으로 이재민 구조에 나서다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4. 2. 17.
반응형

을축년대홍수에 물에 잠긴 서울



다시금 말하지만 1925년 을축년대홍수는 단군조선이래 한반도가 직면한 자연재해로는 미증유였고 그 피해 역시 전국적이었으며 이재민만 물경 60만을 양산했다.

이런 미증유 사태에 정부는 어찌 반응했는가?

우리는 자꾸만 이 시대를 국권을 상실한 시대로 설정하니 정작 봐야 할 것들은 제대로 보지 못하는 당달봉사가 되었으니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이 시기는 권력 공백이 아니라 새로운 국가권력으로 대체된 시절이라는 점이다.



을축년대홍수에 물에 잠긴 서울



국권을 상실한 적은 없다. 그 국권의 주체가 대한제국에서 대일본제국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저 시대를 국권상실로 치환하니 식민당국의 모든 행위는 불법탈법이 될 뿐이다.

권력탈취가 합법이었던 적은 유사 이래 단 한 번도 없다. 고려왕조 개창 조선왕조 개창 역시 다 불법탈법이었다.

그렇다 해서 우리는 고려왕조를, 조선왕조를 국권이 탈취당한 시대라 보지 않는다.

이 시대를 이제는 제 자리에 두고 볼 때가 되었다.


을축년대홍수에 물에 잠긴 서울



저 미증유 사태에 정부는 어찌 대처했는가?

앞선 일본 시정25년사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보인다.

이 외에 국비 450만 원을 들여 재해복구공사를 일으켜 임금 지급을 통해 이재민을 구조하고자 했는데, 그 방법은 1919년(대정8) 한해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므로 이 또한 설명을 생략하겠다. (489쪽) (제3기 사이토 충독 시대)

이 경제부흥책이 흔히 대공황에 따른 뉴딜정책 전매특허처럼 선전되나 천만에.

대규모 공적자금을 풀어 경기를 진작한다는 경기침체 대응방식은 유사 이래 권력이라면 누구나 같았다.

그건 본능이었고 그 본능에서 총독부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을축년대홍수에 성벽이 붕괴한 풍납토성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