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발굴 두 달 뒤에 나온 무령왕릉 조사 중간보고(71년 9월)

by taeshik.kim 2024. 3. 5.
반응형

 

출전 : 박물관신문 제15호 (1971년 09월)

무녕왕릉 조사 중간보고
(종합 조사단 작성)

고고 및 기초조사반 보고
1, 출토 유물의 분류와 목록작성
발굴과정(發掘過程)에 있어서 출토상태에 따라 구분하여 채집한 유물의 수량은 막대하였다. 이것을 품목별로 카아드를 작성하고 정리하여 분류한 결과 그 수량은 별표 목록과 같이 88종으로서 총 2천5백61점에 달하였다. 

부장품(副葬品)의 대다수는 장신구류(裝身具類)에 속하며 52종 2천4백96점을 차지하고 있다. 이 장신구류는 또한 대부분이 금·은의 귀금속으로 만들어졌으며 그 중에서 금제품은 30종 2천2백21점의 다수를 차지한다. 은과 함께 금을 부분적으로 사용한 유물의 수도 포함시키면 그 수와 종류는 훨씬 증가된다. 이 왕릉의 부장품을 제작하기 위하여 소요된 금괴의 무게는 3kg을 훨씬 넘었으리라고 추산된다. 

장신구 이외에는 동경(銅鏡) 3점을 비롯하여 청동제품(靑銅製品)이 13종 24점, 환두대도(環頭大刀) 등 이기류(利器類)가 3종 5점, 도자기(陶磁器)는 5종 9점, 두침(頭枕) 족좌(足座) 등 목제품이 5종 5점, 석수(石獸) 지석(誌石) 등의 석제품과 기타 잔여품을 합하여 10종 22점 이다. 


2, 고분의 규모와 구조
8월17일부터 29일까지 13일간에 걸쳐 실시된 제2차 조사에서 봉분(封墳)의 구조와, 연도(羨道)전면의 통로(通路) 및 배수구(排水溝)의 존재가 밝혀 졌다. 


봉분은 그 원형을 복원하면, 동서 직경이 약 18m, 남북 직경은 약 21m에 달하며 전체의 윤곽이 남북으로 약간 긴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묘실의 바닥으로부터 봉분의 최고처에 이르는 높이는 약 7.5m이다. 묘실은 풍화된 암반을 굴착하여 지하 깊이 축조하였다. 그 위를 덮은 봉토(封土)는 석회(石灰)를 섞은 사질토(砂質土)를 주고 사용하여 탄탄하게 구축하였다. 그러나 동쪽 사면(斜面)은 경사가 심하여 흙이 유실될 우려가 있었기 때문인지 봉분주위하부에 따라 축조한 호석(護石)이 발견되었다. 


연도 입구로부터 남쪽으로 약 10m지점에 이르는 사이에는 풍화암반을 파고 밖으로 서서히 경사지는 통로를 만들었다. 그 폭은 3.6m이지만 밖으로 갈수록 좁아졌다. 이 통로에 바닥 한가운데를 깊이파고 그 내부에 전(塼)으로 구축한 배수구를 만들었는데 이는 무덤 내부에 스며든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시설이다. 전을 층층으로 포개어 높이 23cm, 폭이 40cm로 일렬로 쌓았으며 그 중심에 6.5x4cm의 배수로를 냈다. 이 배수구는 통로를 지나 그 전면으로 연장되는 것을 알게 되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그 전모를 밝히지 못하였다. 


지석(誌石) 一 (표면(表面))
녕동대장군백제사(寧東大將軍百濟斯)
마왕년육십이세계(麻王年六十二歲癸)
묘년오월병술삭칠(卯年五月丙戌朔七)
일임진붕도을사년팔월(日壬辰崩到乙巳年八月)
계유삭십이일갑신안조(癸酉朔十二日甲申安조)
등관대묘입지여좌(登冠大墓立志如左)
지석(誌石) 一 (이면(裏面))
지석(誌石) 二 (표면(表面))
병오년십일월백제국왕대비수(丙午年十一月百濟國王大妃壽)
종거상재유지기유년이월계(終居喪在酉地己酉年二月癸)
미삭십이일갑오개장환대묘입(未朔十二日甲午改葬還大墓立)
지여좌(志如左)
지석(誌石) 二 (이면(裏面))
철일만문우일건(鐵一萬文右一件)
을사년팔월십이일녕동대장군(乙巳年八月十二日寧東大將軍)
백제사마왕이전건전송토왕(百濟斯麻王以前件錢訟土王)
토백토부모상하중관이천석(土伯土父母上下衆官二千石)
매신지위묘고입권위명(買申地爲墓故立券爲明)
불종율령(不從律令)
과학처리반 보고 


▲ 연구진행사항
가, 유물정리 및 조사 현재 국립박물관에 보관중인 백제 무녕왕릉 유물을 재질별로 구분·정리한 고고반과 협조하여 각 분야별로 긴급한 응급조치가 필요한 유물에 관하여 서는 응급조치를 행하고 기타는 그 과학적 보존을 위한 처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조사를 행하였음. 


나, 현지답사
유물이 발견되었던 왕릉의 환경 및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서 공주 현지를 답사하고 왕릉자체의 과학적 보존을 위한 응급조치를 현지에서 시달하였음. 공주 박물관에 소장되어있는 유물에 관하여서도 기초조사를 행하였음.


다, 과학적 처리
A, 목조물
관재(棺材)
관재의 과학적 보존을 위한 처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서 시료(試料)를 취하여 실험실에서 처리실험을 행하였음.(Alum Process, Resin Process) 이 실험결과에 관하여서 고고반과 타협한 다음 실제 처리작업을 진행시키고 있는바 그 진행사항은 다음과 같음. 


보관중의 살균처리
목재상자에 보관 중이었던 관재의 변질을 예방하기 위하여서 Pentachloro phenol 살균처리, Sodium fluoride spraying 등을 행하고 실측 및 처리작업에 착수하였음. 


과학적 보존을 위한 처리
관재의 실측이 끝난 다음 증류수를 사용하여 관재에 부착되어있던 오염물을 씻어내고 0.4%의 phenol수용액(증류수)에 침적(浸漬)시켰음(14~16일간). 이 수침(水浸)작업이 끝난 다음 관재의 재질(材質)에 따라서 이를 다시 70%의 알코올 용액 및 94% 알코올용액에 각각 침적시키고 있음.(현재까지 약 9일간 경과되고 있음) 알코올처리가 끝나면 진공건조, Resin 처리 등이 수행되어 갈 것임. 

두침(頭枕) 등의 목조공예품
두침
두침 중 두개는 그 회화(繪畵)표면이 아직 남아있고 목질자체도 비교적 건전하므로 국립박물관 유물계 홍학예사와 협조하여서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을 기계적 방법으로 제거하고 각 부분에 관한 정밀한 사진을 촬영시킨 다음 밀폐된 용기 내에 습기를 주어서 보관 중이며 Pentachloro phenol 처리지(處理紙)로 포장하여서 방균(防菌)시키고 있음. 이 두침들은 일정시간을 경과시킨 다음 그 상태에 따라서 과학적 처리 방안을 마련할 예정임. 


족침(足枕)
족침 중 1개는 위의 두침과 같이 그 웃 표면이 아직껏 선명하므로 기계적 방법에 의한 오염물 제거를 행하고 현재 박물관 창고 내에 보관 중이며 일정시간이 경과된 다음 처리 방안을 마련할 것임. 족침 중 1개는 그 파괴상태가 극심하므로 연구실험실(원자력 연구소)에서 Resin처리를 진행시키고 있음. 

계두(鷄頭) 외 1점
계두 외 1점의 소형 목조 공예품은 현재 연구실험실(원자력 연구소)에서 보존처리작업을 진행시키고 있으며 원형 보존을 위한 과학적 처리가 거의 종료되고 있음. 


B, 금속
응급조치
고고반의 실측작업에 연구 담당원이 입회하고 처리가 필요한 것을 가려내었으며 보존을 위한 응급조치를 행하였음.
청동제품 
청동제품 중 엽전을 2개 연구실험실에서 환원 및 Resin 처리하여 고고반의 담당관과 그 상태를 협의하였으며 앞으로의 처리작업을 진행시키고 있음. 


관정(棺釘)
관못을 환원 처리한바 못에 부착되어있던 은(銀)제품을 확인하였으며 그 처리사항을 고고반과 협의하였음. 현재 처리작업을 진행시키고 있음. 


C, 도자기
도자기에 관하여서는 실측작업이 늦어서 현재까지 현품을 연구담당관이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현품이 확인되는 대로 Washing, Coating 등의 처리작업이 진행되어 갈 것임. 


D, 석조물
석조물을 각 연구원이 공공 검토한바 지석(誌石)에서는 철분이 많이 석출(析出)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탁본(拓本) 등의 인위적 조작이 심하게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 하였으며 근본적인 처리는 현재로서는 아직 불필요하지만 표면성분의 분석, 구조확인을 위한 사진기록 등을 진행시키고 있으며 이 기록 및 data를 기초로 하여서 보존방안이 마련되어 갈 것임. 석수(石獸)에 부착되어있는 철제(鐵製) 뿔은 그 부식정도가 극심하므로 이를 따로 보존하고 모조품으로 대치시킬 필요가 있었음. 현재 파손되어 있는 뒷다리 1개는 접착제(接着劑)로 부착시킬 예정임. 


E, 환경 및 왕릉 현지의 과학적 보존
현지 왕릉의 과학적 보존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서 담당관이 현지출장하고 있으며 공주사대 교직원들과 협조하여 왕릉 내의 온습도 측정, 성토(成土)성분의 화학분석, 및 기타 필요한 사항에 대한 검토실험을 진행시키고 있음. 


▲기대되는 성과
가, 유물의 과학적 보존을 위한 제반처리 및 조치가 마련될 것임.
나, 왕릉의 과학적 보존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제출될 수 있을 것임. 


▲문제점 및 건의사항
가, 소요되는 예산이 충분히 마련되지 못하고 있어 전반적인 처리가 어렵겠으며 긴요한 품목에 대한 처리작업도 그 재질상 시간이 소요되겠음.(1971년11월30일까지로 우선 제 1차 작업 종료키로 함.) 
나, 소요되는 예산이 시급히 지불되기를 바라며 예산영달이 지연되면 처리작업에 시간적 차질이 있을까 염려되는 바 큼.
다, 백제 무녕왕릉 자체의 과학적 보존에 관하여서는 본 처리조사결과가 마련된 다음에 실제 시공설계가 있기 바람.(조사보고는 1971년 11월30일에 제출하기로 되어 있음) 
라, 별도로 건의한바 있는 미발견 왕릉을 과학적으로 탐사하는 사업을 조속한 시일 내에 착수함이 필요하며 이 방법이 앞으로의 발굴작업에 반영되어야함. 


◇종합조사단 명단
▲단장 김원룡
▲고고 및 기초조사반
윤무병 한병삼 김정기 이호관 김영배 안승주 박용진
▲미술공예반
최순우 황수영 진홍섭
▲역사반
이기백 김철준 임창순
▲과학처리반
김유선 조종수 박용완 김원조 이태녕 노재식
유물목록(遺物目錄)
1, 금제관식(金製冠飾)(王) 1쌍
2, 금제관식(金製冠飾)(王妃) 1쌍
3, 금제(金製)뒤꽂이(王妃) 1개
4, 심엽형이식(心葉形耳飾)(王) 1쌍
5, 수식부이식(垂飾付耳飾)(王妃) 2쌍
6, 금제경식(金製頸飾)(9절(九節))(王妃) 1개
7, 금제경식(金製頸飾)(7절(七節))(王妃) 1개
8, 금제천(金製釧)(王妃) 1쌍
9, 금제천(金製釧)(소형(小形))(王妃) 1쌍
10, 은제천(銀製釧)(유명(有銘))(王妃) 1쌍
11, 은제천(銀製釧)(소형(小形)) 1쌍
12, 은제과대(銀製銙帶)(교구부(鉸具付))(王) 1조
13, 금은제요패(金銀製腰佩)(王) 1조
14, 금제과대장식(金製銙帶裝飾)(王) 2개
15, 금제사엽형장식(金製四葉形裝飾)(대형(大形)) 2개
16, 금제누선형장식(金製螺旋形裝飾) 2개
17, 금제영락부소환(金製瓔珞付小環) 4개
18, 금제화형장식(金製花形裝飾)(영락부대형(瓔珞付大形)) 38개
19, 금제화현장식(金製花形裝飾)(영락부소형(瓔珞付小形)) 438개
20, 금제화형장식(金製花形裝飾)(소형(小形)) 121개
21, 금제소주(金製小珠) 265개
22, 금제화형소주(金製花形小珠) 72개
23, 금제소주(金製小珠)(세금세공(細金細工)) 171개
24, 금제원형장식(金製圓形裝飾)(영락부(瓔珞付), 소형(小形)) 970개
25, 금제원형장식(金製圓形裝飾)(소형(小形)) 28개
26, 영락부사각형금판(瓔珞付四角形金板) 1개
27, 오각형금판(五角形金板)(이중7매포함(二重7枚包含) 20개
28, 금제능형장식(金製菱形裝飾) 25개
29, 금제엽형장식(金製葉形裝飾) 14개
30, 감제용금모(嵌製用金帽)(세금세공(細金細工)) 25개
31, 금박(金箔)(장조형(長條形)) 1괄
32, 금박(金箔)(거치형(居齒形)) 1개
33, 금제심엽형영락(金製心葉形瓔珞) 6개
34, 금제영락부은사(金製瓔珞付銀絲) 5개
35, 감금타원형장식(嵌金楕圓形裝飾) 87개
36, 은판장식(銀板裝飾) 7개
37, 은제능형장식(銀製菱形裝飾) 14개
38, 은제소주(銀製小珠) 1괄
39, 은제화형장식(銀製花形裝飾) 92개
40, 은제(銀製) 및 청동제원형장식(靑銅製圓形裝飾)(영락부(瓔珞付)) 1괄
41, 은제나선형장식(銀製螺旋形裝飾) 1개
42, 은제연쇄환(銀製連鎖環) 4개
43, 금두식곡옥(金頭飾曲玉) 4개
44, 경옥제곡옥(硬玉製曲玉) 8개
45, 유리곡옥(琉璃曲玉) 16개
46, 유리동자상(琉璃童子像)(1개는 반파(半破)) 2개
47, 유리구옥(琉璃球玉) 1개
48, 유리금색식옥(琉璃金色飾玉) 1괄
49, 유리소옥각종(琉璃小玉各鍾) 1괄
50, 관옥(管玉) 10개
51, 흑색(黑色)대추옥(玉) 19개
52, 흑색수형장식(黑色獸形裝飾)(소형(小形)) 2개
53, 환두대도(環頭大刀)(王) 1개
54, 금은장도자(金銀裝刀子)(王) 3개
55, 은제도자(銀製刀子)(王妃) 1개
56, 동경(銅鏡)(王2, 王妃1) 3개
57, 동경(銅鏡)(대파(大破)) 1개
58, 청동제유개탁잔(靑銅製有蓋托盞)(王妃) 1조
59, 청동잔(靑銅盞)(王) 5개
60, 청동완(1개반파(半破))(王2,王妃1) 3개
61, 청동호(靑銅壺)(대파(大破)) 1개
62, 청동시(靑銅匙) 3개
63, 청동저(靑銅箸) 1쌍
64, 청동저(靑銅箸)(이부(耳付)) 1쌍
65, 청동제(靑銅製)다리미 1개
66, 십자화형장식부청동기(十字花形裝飾付靑銅器) 2개
67, 청동식리(靑銅飾履)(王) 1조
68, 청동식리(靑銅飾履)(王妃) 1조
69, 금제이엽형장식부철기(金製三葉形裝飾付鐵器) 2개
70, 철기(鐵器)(철모형) 1개
71, 사이도병(四耳陶甁) 1개
72, 육이호(六耳壺)(대형(大形)) 1개
73, 육이호(六耳壺)(소형(小形)) 1개
74, 도자등잔(陶磁燈盞) 5개
75, 도자잔(陶磁盞) 1개
76, 목제두침(木製頭枕)(王) 1개
77, 목제두침(木製頭枕)(王妃) 1개
78, 목제석좌(木製足座)(王) 1개
79, 목제석좌(木製足座)(王妃) 1개
80, 목조(木鳥) 1쌍
81, 석수(石獸) 1개
82, 지석(誌石)(王) 1개
83, 지석(誌石)(王妃) 1개
84, 철전(鐵錢) 1괄
85, 은제장방형장식(銀製長方形裝飾) 12개
86, 관(棺)고리 1괄
87, 관정(棺釘) 1괄
88, 목관재(木棺材) 1괄
계 2,561점

[사진]청동거울
[사진]두침(왕비)
[사진]목조

 

*** related article *** 

 

그땐 다 그렇게 발굴? 김원룡만 그랬다

 

 

그땐 다 그렇게 발굴? 김원룡만 그랬다

무령왕릉이 발견되고 발굴된지 올해가 딱 오십주년이라 서서히 이에 즈음한 펌프질이 시작한다. 그에 맞추어 언론 역시 다양한 관련 기사를 포장 제공하기 시작한다. 무령왕릉을 논할 때 빠지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