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Y97EP/btst7UkiKn1/XrhSWWE3S44zTcFrjNx2B1/img.jpg)
New Inscribed Properties
Cultural properties
Ancient Jericho/Tell es-Sultan
State of Palestine
Date of Inscription: 2023
Criteria: (iii)(iv)
Property : 5.93 ha
Buffer zone: 22.53 ha
Dossier: 1687
N31 52 16.7 E35 26 38.6
![](https://blog.kakaocdn.net/dn/b4vxir/btsudLNNaYv/d5bMDXLYTp9w3FKkmKoaDK/img.jpg)
요르단 계곡 Jordan Valley 소재 전체 모양은 계란 모양 tell 혹은 mound다. 선사시대 인간 활동 양상을 간직한다. 인근에 '아인 에스-술탄(Ain es-Sultan)'이라는 perennial spring이 있다. 오아시스가 제공하는 비옥한 토양과 쉽게 얻을 수 있는 물이 있다는 환경에서 기원전 9~8천년 무렵 이곳에 영구 정착지가 나타난다. 이곳에서 발견된 해골과 조각은 이곳을 터전으로 산 신석기시대인들의 제사 행위를 증언하며, 초기 청동기시대 고고학 자료는 도시 계획 흔적을 보여준다. 중기 청동기시대 흔적은 대규모 가나안 도시국가Canaanite city-state 존재를 드러낸다.
***
상술한다.
저 Jericho를 제리코로 읽어야는지, 예리코로 읽어야는지 나는 자신이 없으니, 아마 언어권별로 알아서 읽을 것이다.
한국 천주교와 외교부는 '예리코'라 하며 개신교에서는 '여리고'라고 부른다는데 역사성이 다 있을 것이다.
뒷부분 Tell es-Sultan은 텔엣술탄 이라고 읽는 모양이다.
Ain es-Sultan 이라는 말도 보이는데, 이를 Ein as-Sultan 이라고도 쓰는 모양이라, 위키피디아를 참조하면 Ain Sulṭān, lit. 'Sultan's spring'이라 하는데, 이 경우 spring이 봄인지, 샘인지, 혹은 용수철인지도 분간이 어렵다.
사막지대라는 특성에 견주어 본다면 샘이 아닐까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QmI5F/btsuk2Vdi5h/7sGvkoRZ3iNZQHOLONa5j1/img.jpg)
아무튼 이번에 등재된 Ancient Jericho/Tell es-Sultan은 팔레스타인 요르단강 서안지구에 자리하는 고대도시 유적으로, 예루살렘 기준 북동쪽 36km 지점에 위치한다. 현재 인구는 대략 2만명 남짓하며 무슬림이 압도한다. 성경에 등장하는 예리코 전투란 이곳을 무대로 한다고 알려졌다.
저 유적은 현재의 도시 서북쪽에 있는 것으로, 구약 성경이 말하는 당시 시가지 텔엣술탄 Tell es-Sultan 유적이 있다.
이로써 본다면 Ancient Jericho/Tell es-Sultan 라는 타이틀이 문제인데, 이것이 Ancient Jericho와 Tell es-Sultan을 병렬로 말한 것인지, 아니면 동렬로 말한 것인지가 타이틀 자체로는 아리숑숑하기만 하다. 아마 후자로 본다.
이 도시 유적 인근에 다른 문화유산도 꽤 많은 모양이라, 그 서쪽에 헤롯대왕의 겨울 궁전 유적이 있다 하며, 북쪽에는 중세 우마이야 왕조 시절 세운 히샴 궁전 (카리바트 엘마프자르) 유적이 있단다. 그런가 하면 동남쪽 7km 지점 요단강가는 예수 그리스도 세례지라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5fpaj/btsugSSSnIL/SgKescpgJ8NMVpqjhnloI0/img.jpg)
내가 보지 못했으므로, 현장감은 없다. 다만 이번 등재 문건을 참조하면 Jericho/Telles-Sultan은 농업에 적합한 충적토 둔덕이라 한다. 대략 타원형 또는 타원형을 보인다.
위치는 사해 북서쪽 10킬로미터 지점이며, 지금은 아리하 Ariha 라고 부르는 현대 예리코 도시 기준으로는 북쪽으로 1.5 킬로미터 지점이다.
이 고대 도시가 해수면 250m 아래 예리코 평원을 둘러싼 서쪽 가파른 절벽에서 가까운 요르단 리프트 밸리 저지대에 위치하며, 이것이 이곳을 세상에서 가장 낮은 지대에 위치하는 도시로 만든다고 한다.
이 대목이 내가 현장감이 없어 영 이해가 어렵다. 저 깊은 계속 아래에 솟은 둔덕? 이런 뜻인가?
이 둔덕은 주변보다 약 21m 위로 솟아 있고, 면적은 약 5.93 헥타르라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C4xjL/btst823zIbj/tubr0vK8kaNq4KqnqOkTKK/img.jpg)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과 미국 반대 때문에 보통 정상적인 절차를 밟아 세계유산을 신청하는 일은 없다. 이 경우에도 아마 fast track 이라는 절차를 통한 이른바 기습 상정이 아닌가 하는데, 이건 후추 확인하겠다.
현장에서 문서 보고 이해하고자 하며 설명하고자 하는 일처럼 멍청한 일 없다. 때 되면 가 봐야겠다. 총 맞는 건 아니겠지?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야고분군의 세계유산 동기동창들(2) (0) | 2023.09.18 |
---|---|
러시아와 전쟁통 우크라이나 유산, 위험에 처한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올라 (0) | 2023.09.18 |
가야고분군의 세계유산 동기동창들(1) (2) | 2023.09.18 |
세계유산 가야고분군과 그 출토유물들 (0) | 2023.09.17 |
‘Gaya Tumuli’ Inscribed on theUNESCO World Heritage List (0) | 2023.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