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권 제4 정종용혜대왕靖宗容惠大王 원년元年 4월 대목에는 아래와 같은 아주 짧은 기사가 무심하게 적기摘記되어 있다.
○ 禁京城名山樵採, 遍植樹木.
서울의 이름난 산에서 땔나무를 벌채하는 일을 금지하다.
이를 어찌 읽어야 하는가?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물어야 할 것은 왜 이 기록이 남았는가?
왜? 당연히 국가지대사라 생각한 까닭이다. 그래서 남겼다.
이를 통해 이를 편찬한 조선왕조는 무엇을 노렸는가?
이 물음이 곧 저 기록을 유독 대서특필한 이유다.
둘째 지극히 당연하다 개소리하겠지만 저때도 끊임없이 식목을 했다.
예서 관건은 어떤 나무를 심었는가겠지만, 이런 의문이 고려시대 증언에서는 잘 풀리지 않는다.
조선시대 기록들을 찾고, 특히 개경과 가까운 지점 서울 주변에 어떤 나무들을 심곤 했는지를 유추하고, 나아가 동시대 중국과 일본 등지의 식목 사례를 검출해야 한다.
이른바 비교사다.
![](https://blog.kakaocdn.net/dn/bkwUFN/btsDqToBVov/iWP0oSnuZXYkdIMPmGu3Vk/img.jpg)
셋째, 식목 시기가 음력 4월, 양력 5월쯤이다.
고려왕조를 대표하는 성군 중 한 명인 정종은 이듬해 1036년에도 비슷한 제령을 발포한다.
그해 5월, 이번에는 중앙만 아니라 지방의 명산에서도 땔나무 채취를 금지한다는 명령을 내린다.
이는 그만큼 저 무렵 산림 남벌이 심각했다는 증거다.
남벌이 심하니 하지 말라 하지 않았겠는가?
제령은 거꾸로 읽어야 한다.
정종은 식목대왕이다.
반응형
'READING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루와! 거란을 농락하는 고려 (2) | 2024.01.14 |
---|---|
둔전屯田 장착하고 북방으로 진격한 고려 (2) | 2024.01.14 |
[김태식의 讀史日記] 지통의 천황 즉위식과 삼종신기三種神器 (1) | 2024.01.13 |
고려 현종은 불륜의 씨앗, 과부가 된 조카 며느리랑 바람난 왕욱王郁 (1) | 2024.01.10 |
고려사절요 강감찬 졸기卒記, 그 고고학적 중요성에 대하여 (2) | 2024.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