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분 포스팅인가를 보니 화랑세기 관련 출판 소식이 있어 살피니 그 필사본 존재를 부산 쪽에서 맨 먼저 알린 이태길 선생 역주본이라
이 역주본은 나중에 공개된 이른바 모본母本을 발췌했다는 그것을 토대로 삼은 것이니 아마 그것을 시대 감각에 맞게 재출간한 판형인 듯 싶다.
원문 영인을 첨부했다는 것으로 보아 그것이 틀림없을 것이로대 나는 그 판본을 복제본으로 소유 중이다.
그건 그렇고 내 성정이 워낙 어떤 하나에 진득이 매달리지 못해서 쉬 타다 이내 픽 스러지고 마는 솔갈비라 이 화랑세기도 천생 그러해서 발작적으로 가끔씩 미친 듯 매달리다가도 쉬 던져버리고 말았다.
내친 김에 혹 그 망각의 시절에 혹 화랑세기 관련 신간이 뭐가 있냐 들여다 봤더니 맙소사 종수가 엄청 늘어 이른바 대중을 위한 출판물이 제법 보인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또 하나, 이미 생명을 다했노라 그래서 저자조차도 까막득히 망각한 저 책이 꼭 초판 발행 20년째인 지금도 살아있다는 게 더 놀라웠다.
나는 책이 계속 신판이 나와야 그 책이 훌륭하다거나 하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생명을 다한 책은 죽어야 한다는 믿음이 있다.
저자조차 잊어버린 책이 살아있단 게 신기할 뿐이다.
벌써 저 책을 낸지가 20년이 된다는 게 더 미스터리다. 지금도 그렇지만 저때 저자는 더 기고만장했다.
*** related articles ***
이종욱이 《화랑세기》를 진본으로 본 가장 큰 이유
이종욱이 《화랑세기》를 진본으로 본 가장 큰 이유
이는 그의 전공 혹은 관심사와 연동한다. 사석에서도 그런 말을 여러번 했지만, 그는 실은 역사학도이기 이전에 인류학도를 자처했다. 그는 브리티시 콜롬비아 대학인가에 가서 인류학을 공부
historylibrary.net
용수龍樹-용춘龍春의 경우, 똥인지 된장인지도 구분 못하는가?
용수龍樹-용춘龍春의 경우, 똥인지 된장인지도 구분 못하는가?
최근 발간된 모 역사관련 학회 기관지에 투고한 모씨의 논문은 신라 관부官部 중 유독 정체가 아리숑숑한 내성內省을 다루는지라, 이 내성은 익히 알려졌듯이 진평왕 7년에 대궁大宮 량궁梁宮
historylibrary.net
《화랑세기 또 하나의 신라》교정 : 삼아三我
《화랑세기 또 하나의 신라》교정 : 삼아三我
졸저 《화랑세기 또하나의 신라》(김영사, 2002) 72쪽과 76~77쪽에는 그 유명한 신라 신하 박제상朴堤上(김제상金堤上)과 치술鵄述이라는 여인 사이에서 난 딸들에 대한 일을 다루었거니와, 지금
historylibrary.net
신라 왕비를 배출한 대원신통, 뿌리는 倭 왕실
신라 왕비를 배출한 대원신통, 뿌리는 倭 왕실
《화랑세기》에 의하면 중고기 신라왕실에서 왕비를 배출하는 양대 모계 혈통으로 1. 진골정통眞骨正統 2. 대원신통大元神統 두 가지가 있거니와, 진골정통은 그 뿌리가 지금의 경북 의성에 뿌
historylibrary.net
'ESSAYS & MISCELLAN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나리자 무엇을 담을 것인가? (0) | 2022.11.08 |
---|---|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이래 최극성기인 인문학 (0) | 2022.11.07 |
봉화 아연광산 매몰사고가 환기하는 봉다리커피 (0) | 2022.11.06 |
1호선 노선도가 소환하는 복사골 추억 (0) | 2022.11.03 |
관성으로 쓰는 '일부 매체' '일부 언론' (0) | 2022.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