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새야 다리미라 하면 전기다리미를 생각하나 전통시대 다리미는 다음과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5qdWP/btsF1JEeh7h/kMgldIGunTVvLkjqleAZq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HCcwd/btsF1CkVQXX/SKtAOEc7fcWWzxDr8kYIV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cqxGm/btsF1kLGkLs/cbG0RLFgqZjHbnsEw7WHz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6ASqV/btsF14acs5P/dEGxpkrfYX6KjJk8udHpv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52wnP/btsF3FAzkcz/Df1L9edUL66aSDlg7nLXs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daMFO/btsF2P4GkGI/QqhInsRp9yAmiP61ALJakk/img.jpg)
실례로는 청동을 제시했지만 철제도 드물지 않다.
저 생김이 흡사 북두칠성이라
![](https://blog.kakaocdn.net/dn/bHB8Mt/btsF1T052b1/78CDtDhkw3anqFkcMIk2R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QfGXj/btsF09DrEEE/PvGkJuwLExnMxnK3UGzdV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fAtPZ/btsF1jlGJEn/JvJu6M6kkYmQAD0sW5bOE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1QUfq/btsF1486ZhG/XkD57Vck8tEmau87Rvft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aHBTc/btsF3DpdLYW/O7p9TVd6M4D8Csq2N4DQy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JX8Zs/btsF133q8Ja/BRzKiO5xEM3xbeKrkqoV0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SnjO4/btsF115INdc/YEfGRIxYz5sPPO6guRqLl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yzwfU/btsF1A1McTo/jgK02rtKWsop7JrkjgIug1/img.jpg)
그 생김이 흡사 청동다리미 단면도다.
그래서 다리미를 위두熨斗라 해서 북두칠성을 의미하는 斗자를 굳이 썼다.
*** previous article ***
북두칠성 상징으로 다리미를 매장한 조영동 무덤
북두칠성 상징으로 다리미를 매장한 조영동 무덤
아직은 불완전하다. 1988년 영남대박물관이 조사한 경산 조영동 E 2-1호분이다. 환두대도가 나온 걸로 보아 묻힌 사람은 남자로 본다. 축조연대는 오세기 후반으로 조사단이 봤다. 저 다리미가 칠
historylibrary.net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방원이 강행 임명한 문서 (18) | 2024.03.25 |
---|---|
[무령왕릉이 봉착한 최대 난제 둘] (1) 왜 남녀 위치 머리 위치는 반대인가? (22) | 2024.03.25 |
3천600년전 키프러스에선 와당을? (3) | 2024.03.24 |
동경은 등때기에 둘러맸지 가슴팍에 걸친 것이 아니라는 내 주장은... (18) | 2024.03.24 |
북두칠성 상징으로 다리미를 매장한 조영동 무덤 (21) | 2024.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