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월성 성벽 인골 발굴 현장을 찾은 까닭은 이것이 과연 성벽 축조와 관련한 인신공희人身供犧인가를 내 눈으로 확인하기 위함이었다.
그 발굴 양상이 혹여 무덤일 가능성이 없지는 않으므로 보통 무덤에서 보이는 묘광墓壙의 흔적이 있다면 무덤 위에다가 성벽을 축조한 셈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인신공희 설은 물건너가고 만다.
![](https://blog.kakaocdn.net/dn/bno6Wn/btsgMcQrJYL/jKHcgUXt8KA8CMkXJghP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UDmcv/btsgE8hebdN/NumKJ5IjjzHiQnKPpUERJ1/img.jpg)
이 점을 경주문화재연구소 조사원들도 매우 주의깊게 살폈다 하며 실제 내가 현장에서 관찰한 바로도 성벽 축조 일환으로 인신을 공희한 것은 분명하다.
이 시신 두 구는 성벽 아랫단 소위 부엽층敷葉層에서 발견됐다.
하지만 이것도 일종의 매장행위임에 분명한 이상 동시대 무덤 매장 방식과 궤를 형성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tmwU0/btsgEDaH6la/qOVPUyodaMDdIeKo3fuvP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3bZEm/btsgJZX75rw/2hF5ZKm10X3M9oHXh4RDf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fKHje/btsgEBYkGao/Z91KMpPiAFz7yKy9oKvZr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yZIWT/btsgJZX75td/HGmPRHueYhiQDHMNbMu5k1/img.jpg)
첫째 머리 방향이 북동쪽이란 점이다.
둘째 묘광 같은 굴광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매장패턴을 따라 시신 주변에선 토기류 등의 부장 양상이 분명히 보인다.
셋째 시신은 둘다 하늘을 향해 누웠다.
![](https://blog.kakaocdn.net/dn/k9l2F/btsgMbYiXw3/yoPcsgAh7zQrH6l0WgyO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2UG7q/btsgMcQrJZ5/4eqiIp4gkgLS0WVKdqYFL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lgbQ/btsgMarywp4/QajRQ8yjTEJQFiODr3pzU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ihbHb/btsgC1C7POJ/M7IXTtYhhaiVKhjnbLWsi0/img.jpg)
요컨대 이 시신은 성벽축조 일환으로 성벽 붕괴 방지 등을 위해 고의로 돼지머리 대신 바친 공양물이다. (2017. 5. 19)
***
저 현장을 찾은 저 무렵 나는 기자 정지상태였다.
그러고 보면 해직시절 현장은 현직시절보다 훨씬 더 많이 자유롭게 움직였다.
이런 나를 누군가는 그 시절 페북 기자라 했다. 썩 틀린 말도 아니었다.
반응형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쓰레기통에서 구출한 천마총 (0) | 2023.06.03 |
---|---|
한 번의 실험으로 끝난 국립박물관 국빈 만찬장 활용 (0) | 2023.05.22 |
좌절한 신라왕경 복원계획 (0) | 2023.05.20 |
10미터 지하에 쳐박은 흉노 무덤, 그래도 도굴은 피하지 못했다 (0) | 2023.05.01 |
I had a dream, back to 2016 (0) | 2023.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