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blog.kakaocdn.net/dn/6JPGT/btsmRrIrB4F/aikHKad9GoUYXliflONr10/img.jpg)
경주 서악동 고분군에는 태종무열왕 김춘추가 묻힌 데가 있다.
시기로 보면 신라가 기존 적석목곽분을 벗어나 석실분으로 갔을 때니 그렇다면 부부 합장일 가능성이 크다.
합장은 왕이건 뭐건 오직 정식 부인이랑만 저승으로 동행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eIRVP/btsmR91SAPb/Vfjvy4vK1KPZhiiKrNsxT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f4HT9/btsmQPQzkWp/n7R2k3HXoblRVvS8fXION1/img.jpg)
따라서 김춘추 무덤은 실상 문명왕후랑 합장일 가능성이 크다.
문명은 누구인가? 본명 김문희, 아버지는 김서현 엄마는 만명이며 두 오빠가 있어 큰오빠가 김유신, 작은오빠가 김흠순이라 다들 한 가닥씩 나라를 말아먹은 거물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WCbB9/btsmQfhtHBl/GA8D9viAhTauVfMuBb7Sk0/img.jpg)
아마도 625년 무렵, 김춘추 방년 22, 23세 무렵에 서른살 장성한 오빠 김유신 계략에 휘말린 김춘추는 본마누라가 있는 상태에서 또 다른 정실부인을 들여야 했으니
일부일처제였던 당시에 이는 파격이었다.
김유신은 문희가 첩이 아님을 보증하고자 둘의 예식장을 포석사로 잡았다.
![](https://blog.kakaocdn.net/dn/Xmt76/btsmYMEPp0i/KYFCTfiYkjxJG13X6SZVP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U8C5M/btsmP7Ee6yv/nrxvb2efkkPkVkS51sKAp0/img.jpg)
저 무덤이 김춘추릉인지는 요새 내가 의심하기 시작했으나 저것이 그것이건 아니건 저에는 그의 본처는 들어가지 못했다.
문명은 김법민 김인문 등의 여러 아들을 두었으니 제1처는 일찍이 고타소라는 딸을 두었고
- 남편이 두번째 정실을 받아들이고 나서 뒤늦게 아들 하나를 두고는 일찍 사망한 듯 한데 내 보기엔 그가 바로 각간 인태仁泰 아닌가 한다.
제아무리 왕의 자식이라 해도 적서구별이 처절한 당시 사회에서 김춘추 아들이면서 문희 소생이 아닌 인태가 다른 적자들과 같은 대접을 받은 이유를 설명할 길이 없다.
![](https://blog.kakaocdn.net/dn/bbybGh/btsmSafnHFE/nftyHFhbK4R8bmR9oLqPD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OUMJ/btsmOIEKa9J/wUctfKMCL7wJ0OqwdwEk7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0sM0P/btsmP6yBgVn/lQ5SSgdVtr0CSHXhRazDAk/img.jpg)
661년 어느날, 저기선 장대한 장송이 있었다.
그 자리에 만감이 교차했을 이로 김유신 문희만한 이가 있을까?
그 아들로 그의 관뚜껑 앞에서 왕위를 이은 김법민도 결코 이해할 수 없는 만감 격감이 있었다.
반응형
'문화재현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꿎은 오르비에토 타령 (0) | 2023.07.10 |
---|---|
편액 읽어 찾아낸 경주 서악서원 역사 (0) | 2023.07.09 |
철근콘크리트, 천년왕국 신라의 천오백년 저승 왕국을 지탱한 힘 (0) | 2023.07.08 |
뚝섬과 수도박물관 Ttukseom and Seoul Waterworks Museum (0) | 2023.07.07 |
한강과 중랑천 두물머리를 똬리 튼 뚝섬 수도박물관 (0) | 2023.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