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5.28(토) 충주답사
![](https://blog.kakaocdn.net/dn/n6xwj/btrDKKksBXz/h9hkLyW4tJ9Vm0hi0kbwTk/img.jpg)
정토사는 정토산 자락에 있는 고려시대의 절터로 1983년부터 1984년 발굴 때 고려 전기와 조선 전기 의 건물터가 확인되었습니다.
정토사(淨土寺)와 개천사(開天寺)라 쓰인 명문 기와가 발견되어 이곳 이 정토사가 있던 자리라는 걸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 르면 1530년대에 개천사로 불렸으며 고려 역대 왕조의 실록을 보관하였던 곳이었습니다.
실제 절이 있던 자리는 충주댐 공사로 수몰되어 초석 일부와 신방석 등을 주변 지역으로 옮겨 정비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RS3O/btrDKKrdqCv/CYpQBjRxZC7f37K33AG6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OYQkS/btrDGduDDPg/jY4M6LWLO3ika1XlknKNj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OVXkd/btrDYe8bJqV/upDoJeDWCMgwkfkxhdH1q1/img.jpg)
보물로 지정된 정토사 법경대사자등탑비(淨土寺法鏡大師慈燈塔碑)가 이곳에 남아 있으며,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정토사 홍법국사실상탑(淨土寺弘法國師實相塔)과 비(碑)는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에서 볼 수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가서 늘 실내 전시만 보기 바빴는데, 천천히 야외전시장도 둘러 봐야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0CFv/btrD1hpgcrT/WsVBNkGcwgzEy46vs6iesk/img.png)
홍법국사실상탑과 관련하여 자료를 찾다보니, 흥미로운 걸 발견했습니다.
홍법국사실상탑의 경우 1960년대 초반 상륜부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용산으로 이전(2005년)한 후에도 상륜부 없이 승탑을 세웠고, 내려진 부재들을 수장고에 보관해 왔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2010년부터 진행해온 ‘국립박물관 미정리 유물 및 자료조사’로 상륜부 부재를 찾게 되었고, 이를 토대로 상륜부를 복원해 현재는 홍법국사실상탑의 완전한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fY4RQ/btrD2H8SD2o/BhcwoD6Rj7a2GDiKf398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DuRiL/btrDKLp9pXr/puNI3gkqhIHteVHgOkS5F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JY5l4/btrDGc3yvN6/oHO9WUCk59fqcV8B1ytkc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r2sU/btrDIo3fN7W/TT41LsS8k0GjPFOc7Dx5Q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auNAx/btrDLVMOEpx/ubw0eGGXEYv1Jz9Ahn3J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lHohF/btrDJvgLqd2/mijNVgowMT7qQunD0Kikm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OKct3/btrDKK5Q0pR/tj0hWhecMIuiyrzoH1trHk/img.jpg)
법경대사탑비에 도착했을 때부터 느낀 거지만, 탑비를 보호하는 저 거대한 보호각이 참 어색합니다. 과하다고 할까요.
그래도 다른 곳의 보호각에 비하여 고마운 부분이 있다면, 사방이 열려 있다는 점입니다. 그나마 가까이에 가서 볼 수 있으니깐요.
그나저나 저 솟대는 왜 저렇게 많은지요. 휴…
![](https://blog.kakaocdn.net/dn/tqEkV/btrDLXjy7Jp/pXdP4kV2JvBDnN2j7rzAH0/img.jpg)
충주에 방문하신다면 정토사지에 들러 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홍법국사실상탑과 탑비를 보러 국립중앙박물관에 방문해야 겠습니다.
충주정토사지법경대사탑비
충북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173-2
충주정토사지법경대사탑비 : 네이버
방문자리뷰 1 · 블로그리뷰 17
m.place.naver.com
불교신문 기사(2018.7.10)
상륜부 되찾은 고려시대 승탑
상륜부 되찾은 고려시대 승탑 - 불교신문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이 실내외 전시장과 석조물정원에 전시 중인 석조문화재 21점을 조사해 고려시대 승탑 4기 상륜부 부재를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상륜부 부재가 확인된 승
www.ibulgyo.com
'여송은의 뮤지엄톡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재사랑 6월호에 저희 모임이 소개 되었어요! / 문화재덕후 모임 “문반사우” (1) | 2022.06.08 |
---|---|
[충주답사] 잊지못할 수암 권상하 묘소 (1) | 2022.06.06 |
[충주답사]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1) | 2022.06.01 |
충북대학교박물관 - 흑백으로 보는 반구대 암각화 (1) | 2022.05.31 |
2022년도 한국문화유산협회 채용공고 / 정책개발부 1명 (1) | 2022.05.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