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동물 사육을 보면 흥미로운 것이,
잡곡 기반 황하유역이 도작 기반 장강유역보다 가축사육이 훨신 집약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잡곡 농사를 짓는 황하유역에서는 돼지 등 가축 사육도 장강유역보다 일찍 시작되었고 사육이 시작된 후에도 돼지를 우리에 가두어 길렀다.
쉽게 말해서 돼지를 먹이를 주어 가둬 키웠다는 말이다.
때문에 황하유역 돼지는 집돼지 특징이 더 많이 나타난다.
반면에
장강유역은 돼지사육이 시작된 시점도 늦고, 돼지도 가두지 않고 놔서 길렀다.
사방을 돌아다니며 자기가 알아서 줏어 먹고 다녔다는 것으로, 이 때문에 장강유역 돼지는 사육돼지 형태를 덜 갖춘 모습으로 멧돼지와 더 비슷한 모양의 돼지였다는 것이다,
요약하면,
가축사육에 관한한 황하유역이 장강유역보다 훨씬 집약적이고, 다양한 종류의 가축을 키우고 있었다 그 말이다.
자, 이제 눈을 돌려 한반도와 일본열도를 보자.
삼국지 위지동이전을 열어보기 바란다.
위로는 부여부터 아래로는 왜까지 이야기가 있는데 어떤 동물을 키우고 있는지가 죽 적혀 있다.
부여, 고구려, 예, 삼한, 왜의 순으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면 가축사육의 양상이 어떠한가?
한반도도 중국과 판박이란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부여 고구려 등 북쪽 국가들이 가축사육이 더 활발하고 남쪽의 왜는 소와 말도 없는 상태였다.
도작은 가장 왕성한 상태였을 텐데 말이다.
이 말은,
한반도와 만주, 위로는 부여에서 남쪽으로 왜에 이르기까지
잡곡에서 도작으로 바뀌어 가는 모양은 중국의 황하유역에서 장강유역으로 이어지는 지리적 변화와 판박이로,
한국사의 초기 고조선, 부여, 고구려는 황하유역과 더 유사한 형태의 농업사회였던 반면,
한반도 남부 해안 지역과 일본열도는 장강유역과 더 가까운 형태의 도작사회였다는 말이 되겠다.
잡곡기반의 황하유역보다 도작 기반의 장강유역이 더 우월하지 않듯이
잡곡기반의 부여 고구려가 도작 기반의 한반도 남부, 왜 보다 더 열등하지 않음은 당연한 일이다.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틀림없이 있었을 한국 신석기시대 휴경 (7) | 2024.09.04 |
---|---|
산나물을 어떻게 볼것인가 (8) | 2024.09.03 |
잡곡농경과 도작농경 (7) | 2024.09.01 |
동-식물고고학의 추이 (11) | 2024.09.01 |
일본사에서 바라본 한국사, 그 유산은 청산해야 (7) | 2024.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