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무신정변3

되치기 당한 무신, 장교로 임명되는 문관들 한국사를 보면 문반과 무반 그 양극화는 아무래도 신라에 의한 일통삼한을 분기점으로 삼아야 할 성 싶다. 신라를 보건대 그 이전에는 말 그대로 출입장상出入將相이라, 문무반 구분이 엄격치 아니해서 장군이 곧 재상이었고 재상이 곧 장군이었다. 이런 시대가 일통삼한이 되면서 급속도로 문관 일변도로 변해간다. 왜? 전쟁이 없는 평화의 시대가 너무 오래 지속된 까닭이다. 그러다가 신라말이 되면서 이제 300년을 움츠린 막부시대가 개막한다. 진성여왕 시대는 그 고비였으니, 도적이 벌떼처럼 일어났다는 삼국사기 말은 곧 막부시대가 개막했고, 다시 군인들의 시대가 왔다는 위대한 선언이었다. 왕건 자신도 막부정권 지도자였고, 실제로 그 수하 장수들한테 엎혀서 느닷없이 쿠데타로 집권하고는 새로운 왕조를 개창했다. 하지만 마상.. 2024. 2. 19.
무신정변武臣政變과 헤이시정권平氏政権 무신정변 (1170년)과 최씨 막부 성립(1196년). 일본 최초의 무가武家 정권인 헤이시정권平氏政權의 성립 (1160년대 ~ 1185년) 이 두 사건이 거의 동시기에 일어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이 사건이 일어날 때까지의 한국과 일본사 전개를 보자. 한국: 후삼국과 호족의 시대 (892-936) 대 일본: 각지에 무사단 성립 (10세기) 한국: 전시과제도 (10세기-11세기 성립) 대 일본: 장원정리령 (10세기-12세기) 한국: 무신정변(1170년)과 최씨정권 (1196-1258) 대 일본: 호겐의 난 (1156), 헤이지의 난(1159-1160)과 헤이시 정권 1167-1185) 한국과 일본사는 몽골침략기까지는 거의 비슷한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한국사와 일본사가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2023. 5. 22.
덴노天皇의 카운터 리볼루션: 장원정리령荘園整理令 일본사에서 무가정권은 율령제-공전제를 부수면서 출현하였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 첫 단추가 바로 무사단이라 하였다. 그 무사단이 한국사에서는 라말여초의 호족에 상응한다고 하였다. 일본사에서도 율령제-공전제를 부수고 성장하는 무가정권에게 순순히 기존 권력이 자리를 내준 것이 아니었다. 이들은 수시로 공전제로의 복귀를 희망하였는데 그러한 시도는 모두 덴노의 "장원정리령荘園整理令"이라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장원정리령은 쉽게 말해서 토지의 사적 소유인 장원을 공전제로 되돌리자는 시도였다 할 수 있다. 덴노의 장원 정리령은 서기 10세기초부터 12세기 중엽까지 수시로 내려왔는데, 모두 장원을 억제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었다. 아래는 일본사에 보이는 장원정리령이다. 延喜の荘園整理令 902年(延喜2)醍醐天皇 この整理令以.. 2023. 5. 22.
반응형